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2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관람했던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에 대해 “부정적이고 자극적인 영상으로 부정선거 음모론을 부추기고 있다”며 유감을 표했다.
이날 중앙선관위는 입장문을 통해 “(해당 영화는)유튜브 등에서 제기됐던 의혹 등을 명확한 근거 없이 주장하며 ‘부정선거 폭로의 결정판’ ‘이번 대통령선거도 부정선거를 확신한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다”며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의혹들 대부분은 이미 우리 중앙선관위서 설명하거나 법원 판결로 해소된 사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의혹에 대한 대응으로)왜곡된 정보 확산을 차단하고 투·개표 등 선거 절차의 모든 과정을 있는 그대로 공개하기 위해 부정선거 의혹 전담 부서를 설치·운영하고 있다”며 “선거 불신을 해소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이번 6·3 대선 역시 학회 주도로 구성된 공정선거참관단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 투·개표 방식에 대해선 “실물 투표와 공개 수작업 개표 방식으로 진행되는 모든 선거 과정서 정당·후보자의 참관인 또는 정당 추천 선관위원이 참여하는 등 공정성과 보안성을 확보하는 제도적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며 “부정이 개입될 소지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중앙선관위는 영화서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서도 하나하나 반박했다. 관련 상황 또는 근거가 구체적으로 제시돼있지 않은 일부는 임의 추정해 반론했다.
‘통합선거인명부 해킹을 통해 유령 유권자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선 “보안컨설팅 당시 진행한 모의 해킹은 국정원 요청 및 효율적인 점검을 위해 자체 보안시스템을 일부 적용하지 않은 상태서 진행한 것”이라며 “실제 환경서 조작하려면 각종 인증 및 보안 시스템 등을 불능으로 만들고, 관련 업무별 내부 조력자의 도움도 필요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잘라 말했다.
‘해커가 선관위 도장을 위조하고 가짜 투표용지를 찍어내 사전투표를 조작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선 “전국 선관위 청인과 사전투표관리관 도장 이미지, 보안 시스템 배제, 사전투표함 CCTV 작동 중지 등 여러 조치가 필요하다”며 “공정성을 보장하는 장치들이 모두 배제된 상황이 전제돼야 해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지난 2020년 4월,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서 논란이 됐던 배춧잎 투표지와 일장기 투표지가 중국서 반입돼 투표함에 추가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도 대법원 판결을 근거로 반박했다.
중앙선관위는 “투표용지 중복 인쇄로 연두색이 번진 것은 투표관리원의 단순한 실수”라며 “(일장기 투표지도)내장된 잉크가 새거나 적색 스탬프를 중복으로 묻히면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의혹은 대법원 판결(2020수30)서도 부정선거의 증거가 될 수 없음이 이미 입증됐다”고 부연했다.
이외에도 ▲서버 리스 및 반납 시 해킹설 ▲선거 임박 시점에 보안관제 미비 ▲서울·인천·경기 지역서 사전투표 득표 비율 겹침 ▲사전투표와 본투표 간 득표율 격차 ▲선관위 교양 방송 ‘1%만 아는 리더들의 비밀’ 관련 중국 개입설 ▲사전투표에 중국 장비 사용설 ▲중앙선관위 ‘유권자 의식 조사’와 실제 투표 결과 불일치 ▲부여군 투표지분류기 오류(리셋) ▲투표지 분류기를 통한 결과 조작 등 총 12가지 의혹에 대해 해명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중앙선관위 누리집서 확인할 수 있다.
이날 중앙선관위는 “영화, 유튜브 등을 통해 선거에 대한 감정적이고 자극적인 주장이나 정보를 접할 경우, 중앙선관위가 배포하는 설명자료와 공신력 있는 언론의 사실 확인 기사를 함께 참고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 21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음모론을 다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가 개봉됐다. 이영돈 PD가 감독을 맡고 한국사 강사 출신 전한길씨가 제작한 이 영화는 개봉 첫날, 윤 전 대통령이 전씨의 초대로 영화를 관람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민경욱 전 국민의힘 의원이 제기했던 21대 총선 부정선거 의혹은 지난 2022년 7월28일,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서 “부정이나 조작은 없었다”며 기각된 바 있다.
<kj4579@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