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11.22 03:01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장기불황이 거듭되면서 실업자 문제는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됐다. 문재인정부는 책임감을 느끼고 강력한 조치를 내리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요원하다. 80만개의 양질의 일자리 공약이 쉽지 않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자 재계가 직접 나섰다. 정부의 기조에 힘을 보태고 있는 셈. 정부 눈치 보기의 결과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문재인정부는 대선 당시 일자리를 첫 번째 공약으로 내세울 만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정운영에 힘을 싣고 있다. 그러나 성과는 미미하다. 지난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확장실업률은 11.8%로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팔 걷는 기업들 특히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부문에 취업하는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제조업 취업자 수는 453만1000명으로 2014년 상반기에 443만2000명으로 집계된 이후 상반기 기준 최저치다. 문정부로서는 머쓱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 이런 가운데 재계가 팔을 걷어붙이는 모양새다. 삼성은 앞으로 3년간 180조를 투자하고 4만명 규모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일자리 확대와 혁신성장, 대·중소기업 상생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이번주 살펴볼 회장님 집은 홍석조 BGF 회장의 집이다. 홍석조 회장은 편의점 갑부로 유명하다. 그는 편의점 업계 1위 CU를 운영하는 BGF그룹을 이끌고 있다. BGF는 1994년 12월1일 설립된 보광훼미리마트서 회사 역사가 시작됐다. 편의점의 왕 1990년 보광훼미리마트는 1호점인 가락시영점을 시작으로 점포를 늘려 2002년 편의점 업계 1위에 올라섰다. 2012년에는 보광훼미리마트서 BGF리테일로 사명을 바꾸고 브랜드 CU를 론칭해 현재까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BGF리테일은 지난해 5조58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6조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홍석조 회장은 BGF리테일이 25년 동안 업계서 1위 자리를 놓치지 않도록 선장 역할을 준수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평이다. 홍 회장의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게임에 사용되는 아이템은 현금에 거래기도 한다. 현금화가 가능한 아이템과 같은 경우는 재화로 인식된다. 게임업계는 이점을 인지하고 내부통제시스템에 상당한 공을 들인다. 게임 유저와의 신뢰 문제이기 때문. ‘열혈강호’로 유명한 엠게임서 직원이 아이템을 빼돌린 사실이 확인됐다. 엠게임에 악재가 발생했다. 내부직원 단속에 실패한 것이다. 엠게임의 게임 열형강호 사업부 서비스팀(운영팀)에 입사한 A씨가 아이템을 불법 생성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면서 알려졌다. 엠게임은 게임 제작과 배급을 주사업 목적으로 하는 회사다. 2년 동안 깜깜 1999년 12월 위즈게이트로 설립됐다. 2007년 7월 인터넷 게임사이트 엠게임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3년에는 현재 사명인 엠게임으로 변경해 현재까지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온라인 게임 개발 1세대로서 현재까지 왕성하게 게임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주요 게임으로는 열혈강호, 영웅, 드로이얀, 풍림화산, 이터널시티, 홀릭2, 아레스, 나이트 등이 있다. 2008년 12월에 코스닥에 입성하면서 화려하게 증권 시장에 데뷔했다. 수많은 게임회사가 설립되고 사라지는 업계 분위기 속에서 20년간 꿋꿋이 버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오늘 살펴볼 회장님 자택은 저비용항공사 ‘티웨이항공’을 운영하는 예림당 나춘호 회장 집이다. 나 회장은 입지전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처음부터 나 회장이 키운 회사는 아니다. 2011년 자본잠식 상황이었던 티웨이항공이 매물로 나왔다. -출판사가 항공사를 인수를 위한 경쟁사들이 나왔지만 최종 인수는 의외의 곳에서 이뤄졌다. 2013년 출판사인 예림당이 최종 인수자가 된 것이다. 인수 당시 출판사가 항공사를 운영하게 된다는 점 때문에 재계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강했다. 두 사업회사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의외였다. 2012년 기준 141억원이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티웨이항공은 이듬해 36억원 영업이익을 기록한 뒤 흑자폭이 확대되면서 지난해 기준 470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에서 확인했다. 오늘 살펴본 회장님 자택은 국내 사무용 가구업체 1위 그룹을 이끌고 있는 손동창 회장의 집이다. 그는 1983년 회사를 창업해 오늘날의 퍼시스그룹을 만들었다. 지난해 주력 계열사 퍼시스는 2894억원의 매출을 시현했다. 잠실 사랑 퍼시스그룹은 퍼시스홀딩스를 통해 주요 사업회사인 퍼시스를 지배하고 있지만 그 외 주요 계열사인 일룸과 시디즈는 손태희 부사장이 이끌고 있다. 현재 퍼시스그룹은 손 회장 체제에서 손태희 부사장 체제로 거의 넘어간 상태로 평가되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손 회장이 35년 만에 경영 일선서 물러났다. 손 회장은 지난 3월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내 이사직을 사임했다. 퍼시스홀딩스의 지분은 손 회장이 80.51% 가지고 있지만 그의 인생은 이제 황혼기에 접어든 모습이다. 황혼기에 접어든 그의 보금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이 오는 17일 운영 1주년을 맞는다. 그동안 말 못 할 고충을 하소연할 데 없는 청원인들이 청원 게시판을 이용하면서 많은 사연들이 세상에 알려졌다. 평가는 긍정적이다. 재계도 마찬가지만, 국민청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습이다. <일요시사>서 관심이 필요한 게시글들을 모아봤다.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이하 청원 게시판)에는 많은 글들이 올라온다. 정책 제안부터 자신이 당한 억울한 일까지 국민이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을 게시판은 허용한다. 이에 따라 자신이 억울한 일을 당했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의 호소의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다. 대기업 벌벌 임원들 긴장 기업에 대한 적폐 역시 국민들이 관심을 많이 갖는 분야다. 직간접적으로 의식주를 제공하는 직장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은 자사 관련 내용이 청원 게시판에 올라오면 부담스럽다. 하지만 그동안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청원인들의 목소리이기에 피할수 없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진행하고 있는 IBK기업은행서도 갈등의 목소리가 청원 게시판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이번주 <일요시사>가 살펴볼 ‘회장님’ 집은 유유제약의 유승필 회장 자택이다. 유 회장은 아버지 고 유특한 회장에 이에 회사를 이끌고 있다. 2세 경영인인 셈. 2001년 회장 자리에 오른 뒤 회사의 선장 역할을 하고 있다. 업계 터줏대감 그의 아버지 고 유특한 회장은 1941년 회사(당시 유한무역)를 설립했다. 고 유 회장의 형은 유한양행의 설립자인 유일한 박사다. 유한양행과는 형제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한양행은 유일한 박사의 유지에 따라 전문경영인 체제로 기업이 운영되지만 유유제약은 오너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유제약은 업력이 77년이다. 업계 터줏대감이지만 매출은 700억원 수준이다. 업계 순위는 40위권 대를 맴돌고 있다. 반면 전문경영인 체제를 택한 유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현재 재계의 분위기는 전전긍긍이다. 최근 사정기관의 압박이 거세기 때문이다. 사정권 밖의 기업도 안심할 수 없다. 다양한 관계가 실타래처럼 얽혀있어 언제든지 사정 칼날 위에 설수 있다는 부담감이 있다. 최근에는 사돈기업에 대한 압박이 높다. 사돈관계가 또 다른 리스크로 부각되고 있다. 재계는 현재 3·4세 경영인이 주름잡고 있다. 회사 창업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던 창업주와 2세대 경영인들이 세월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3·4세 후계자에게 자리를 넘겨줬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들은 다양한 혼맥으로 얽혔다. 사각지대 거래 특혜·부당거래 재계서 오랜 기간 사업을 영위한 그룹의 경우 대부분 직간접적인 혼맥으로 얽혀있는 모습이다. 혼맥으로 이어진 그룹들 간 거래가 발생하면 특혜성 거래 아니냐는 의혹의 시각을 받게 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존재한다. 서로 간에 이해관계가 맞아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거래를 할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단순히 거래 자체만으로도 의혹의 시선을 쉽게 거두지 않는다. 문재인정부가 내세운 적폐 청산 작업에 따라 재계 역시 적폐로 분류되는 모든 것에 대한 검증작업에 들어갔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이번주 살펴볼 ‘회장님’의 집은 마니커의 지배회사 지원철 이지바이오 회장이다. 1985년 설립된 닭고기 업체 마니커는 국내 계육 업계서 인지도가 높다. 하림에 이어 국내 업계 2위 회사다. 서초서 서초로 시장점유율은 2016년 기준 9.8% 수준이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546억원, 69억4265만원을 시현했다. 하지만 수장의 일탈로 회사는 위기를 겪었다. 한형석 전 회장과 서대진 전 부회장이 횡령·배임 혐의로 법정에 선 것이다. 횡령액은 66억6000만원으로 적지 않았다. 배임액은 105억6000만원에 달했다. 총 172억2000만원 규모였다. 당시 마니커 자기자본의 19%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 한 전 회장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경기도 동두천의 회사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한국타이어 세무조사를 두고 설왕설래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그 중 하나가 그동안 꾸준히 제기됐던 오너 일가 해외 부동산에 대한 검증의 목소리다. 조양호 한국타이어 회장의 해외 부동산 사랑은 공공연히 알려진 사실. 따라서 국세청의 칼날이 해외 부동산을 향할지 눈길이 모아진다. 조 회장 일가의 해외 부동산 사랑을 확인했다. 한국타이어는 그동안 재계의 관심이 집중되는 곳 가운데 하나였다. 그 이유는 현 정권의 적폐청산 의지에 따라 가장 먼저 검증의 칼날이 미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한국타이어는 일감몰아주기 등으로 각종 문제제기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국세청 4국 관전포인트? 눈길을 끄는 부분은 한국타이어 오너 일가의 해외부동산 규모에 대한 부분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해외에 은닉한 재산이 적법하게 형성됐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정부는 해외 은닉 재산의 환수를 위해 강력한 사정을 예고했다. 지난 5월 문재인 대통령이 “불법으로 재산을 해외에 도피 은닉해 세금을 면탈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공정과 정의를 해치는 대표적인 반사회 행위이므로 반드시 근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시작됐다. 그동안 초미의 관심사였던 한국타이어에 강력한 사정 칼날이 들어갔다. 국세청이 특별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 MB 사돈기업이라 관심이 더욱 집중되는 상황에서 향후 있을 압박의 신호탄이 될지 시간이 답해줄 예정이다. 흔들리는 한국타이어를 확인했다. 국세청이 한국타이어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지난 10일, 서울지방국세청은 서울 강남구 한국타이어 본사에 조사관을 투입해 회계 장부 등 회계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세무조사는 조사4국이 맡았다. 특별 세무조사 초미 관심 집중 한국타이어 측은 2014년 세무조사 이후 4년 만에 실시하는 정기 세무조사 성격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재계의 해석은 한국타이어의 생각과 달랐다. 이번 세무조사를 맡은 조사4국은 ‘국세청의 중수부’라 불린다. 통상 대기업의 탈루, 비자금 조성 의혹 등의 정황을 포착했을 경우 세무조사에 착수한다. 이 때문에 특별 세무조사라는 시각이 강하다. 한국타이어그룹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돈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조양래 한국타이어그룹 회장은 이 전 대통령의 셋째 딸 이수연씨가 조 회장의 차남 조현범 사장과 2001년 혼인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비리 경영인이 이끄는 회사가 있다. 그 자체만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더욱 놀라운 사실은 비리 경영인의 두 아들 역시 회사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두 아들도 비리 논란으로 유죄가 확정됐거나 재판이 진행 중인 만큼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해당 기업은 정수기 사업으로 인지도가 높은 웅진그룹이다. 웅진그룹은 최근 유의미한 그룹인사를 단행했다.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의 차남 윤새봄(39) 전무에 그룹 사업운영 총괄을 맡긴 것이다. 웅진그룹은 최근 하반기 그룹인사를 단행했다며 윤새봄 웅진씽크빅 대표이사를 웅진 사업운영총괄에 선임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유죄 낙인 윤 전무는 미시간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회사에 입사한 뒤 씽크빅 전략기획팀, 웅진케미칼 경영관리팀 등을 거쳐 웅진 기획조정실장, 웅진씽크빅 대표이사를 맡았다. 그가 이번에 사업운영총괄을 맡게 되면서 그룹의 기업회생절차 조기졸업, 그룹 및 계열사 재무구조 개선 등을 이끌 계획이다. 웅진그룹의 재건을 책임지는 막중한 임무를 책임지게 된 셈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윤 전무가 경영자로서 자격이 있는지 여부에 의구심을 제기한다. 경영자로서 도덕적 자질에 흠결을 남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보수적인 재계서 오너 일가 여성 경영인의 숫자는 많지 않다. 통상 주요 그룹에선 장자 승계원칙을 따르고 있는 경우가 많아 여성에게 기회가 적게 돌아가기 마련인 탓이다. 이 때문에 소수 여성 경영인은 더욱 주목받는다. 구설에 오르면 거센 질타를 받기도 한다. 다소 억울할 수는 부분. 시험대에 섰던 여성 경영인을 정리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계열사 금호리조트서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지난 3일 단행한 인사였는데 비교적 규모가 크지 않은 계열사의 인사에 눈길이 쏠렸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장녀 박세진씨가 상무로 입사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제대로 된 경영수업 없이 박 신임 상무가 경영진으로 직행하자 뒷말이 나왔다. 최근 재계는 평사원부터 단계를 밟아가는 경우도 많다. 박 상무는 이화여대를 졸업한 뒤 요리학교 ‘르 코르동 블루 도쿄’를 거쳐 ‘르 코르동 블루 런던’을 졸업했다. 르코르동 블루 조리 자격증과 일본 국가조리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영과는 무관하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일본 아나호텔도쿄서 근무했다. 박 상무는 이번 인사전까지 평범한 가정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동화약품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가장 오래된 연혁을 가진 회사다. 1897년 노천 민병호가 대한민국 최초의 신약 ‘활명수’를 개발했다. 이를 주력 상품으로 민강이 ‘동화약방’을 설립했다. 1910년에는 ‘부채표’를 상표등록 했다. 오너 3세 동화약방은 1931년 주식회사로 전환했다. 1962년 동화약품 공업주식회사로 상호를 전환하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됐다. 121년의 전통을 가진 동화약품은 현재 안정적인 모습으로 순항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기준 258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109억원의 영업이익과 4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동화약품은 2008년 윤도준 회장이 회장직에 취임해 현재까지 이끌고 있다. 윤 회장은 오너 3세다. 1937년 고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거액의 세금을 납부하면서 지급 보증인으로 지주사를 세웠다. 납세당국으로서도 어리둥절한 상황. 내용을 취재하는 과정서 셀트리온 그룹과 관련해 일감 몰아주기 증여세가 과세된 정황이 드러났다. 과세 규모만 150억 수준. 적지 않은 액수라 실체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에 셀트리온홀딩스는 서정진 회장에 대한 지급보증을 서줬다. 채권자는 남인천 세무서였다. 내용은 과세에 대한 지급보증이었다. 채무보증기간은 이달 31일부터 2023년 7월31일까지였다. 수상한 과세 서 회장이 갚아야할 채무금액은 152억9525만원이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홀딩스가 채무보증한 금액은 183억5430만원이다. 자기자본 대비 4.8%로 결코 작지 않은 금액으로 해석된다. 재계 관계자의 눈길은 끈 것은 채무에 대한 지급보증인으로 셀트리온홀딩스를 내세웠기 때문이었다. 통상 세무당국으로부터 과세를 받았을 때 당장 유동성이 없을 경우 물납을 하거나 가진 주식 등으로 공탁을 걸고 분할 납부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특히 주식 부자 명단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서 회장이다. <포브스코리아>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서 회장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오너 일가가 사는 집에 들어가는 비용을 회사가 부담하면 일종의 배임으로 해석된다. 종종 총수들이 꼼수로 비용을 법인에 전가하다 매스컴에 불명예스럽게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한다. 심지어 검찰이나 경찰의 조사를 받기도 한다. 이 같은 상황서 설빙이 오너 전세대금을 대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일요시사>에서 관련 내용을 추적했다. 디저트카페 프랜차이즈 설빙은 2013년 직영매장을 시작으로 외연을 확장했다. 빙수를 주력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한 결과 비교적 빠른 시간에 인지도를 높였다. 그 결과 설빙은 지난해 기준 421개의 가맹점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문제 없나? 매출액은 지난해 기준 117억7074만원을 기록했다. 수익성도 나쁘지 않다. 영업이익은 10억1340만원, 당기순이익은 4억2559만원으로 5년도 채 안돼 양호한 수익성을 나타냈다. 설빙은 현재 정선희 대표가 이끌고 있다. 그는 설빙의 오너이기도 하다. 설빙의 지분구조는 정 대표가 40%의 지분율로 최대주주 신분에 올라있다. 이 외 그의 오빠인 정철민 이사가 38.6%로 2대주주에 그의 부모인 정용만, 배양례씨가 각각 10.7%씩 지분을 가지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가 재계에 강력한 경고장을 보냈다. 그동안 오너 일가 승계 수단으로 이용되던 업태를 콕 집어 개선하라는 ‘시그널’을 보낸 것이다. 부동산임대업, SI, 광고업이 대상 업종이다. 긴장감이 높아지는 기업들을 정리했다. 김상조 위원장이 작심발언을 했다. 지난 14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서였다. 김 위원장은 대기업 총수 직계 일가가 보유한 비주력·비상장 계열사를 매각하라고 했다. 대상 업종은 시스템통합(SI), 부동산관리 업체였다. 승계 자금줄 조사 그동안 이들 업종은 기업을 이끌던 오너의 승계 작업시 자금줄 역할을 하면서 뒷말이 나왔다. 개선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이같이 업태를 정확하게 지적해 오너 일가 지분을 처분하라고 압박한 것은 처음이다. 이에 따라 관련 업종 지분을 가지고 있는 오너 일가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재계서 주목하고 있는 곳은 한국타이어다. 한국타이어의 경우 김 위원장이 말한 문제될 법한 계열사를 다수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계열사가 시스템관리 및 시스템통합 서비스 제공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는 엠프론티어다. 2000년 8월 설립된 엠프론티어는 한국타이어그룹의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프랜차이즈 창업주의 상표권 소유에 대한 논란은 꾸준하다. 최근 상표권을 독점한 창업주들을 검찰이 기소하기도 했다. 가맹점주에 피해가 전이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위기감이 고조되자 창업주들은 자신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운영본부에 상표권을 넘기는 추세. 하지만 프랜차이즈 조마루감자탕은 흐름을 역행하는 모양새다. 창업주가 주요 상표권을 꼭 쥐고 있다. 논란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지난달 프랜차이즈 업계서 눈길을 끄는 이슈가 있었다. 검찰이 프랜차이즈 상표권을 독점한 대표를 기소한 것이다. 검찰은 지난달 15일 상표권을 개인 명의로 등록해 가맹점주들에게 사용료를 걷는 등 부당행위 혐의가 드러난 본죽과 원할머니보쌈 대표를 기소했다. 사정권? 그동안 프랜차이즈 업계에는 오너 및 창업주의 상표권 독점을 놓고 뒷말이 많았다. 통상 프랜차이즈의 오너나 창립자가 상표권을 독점해 운영본부와 가맹점주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이번 검찰의 기소를 두고 업계는 주목했다. 오너 일가의 상표권 독점 논란이 시작되면서 오너 소유로 돼있던 권한을 법인으로 넘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번 검찰의 기소는 여전히 오너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부광약품은 현재 승계작업이 진행 중이다. 지난 4월 부광약품의 최대주주 김동연 회장이 자신 가지고 있던 약 870만주 가운데 200만주를 장남인 김상훈 이사에게 증여했다. 증여일 전일 종가로 산정하면 증여주식의 가치는 1170억원 규모로 평가되고 있다. 승계작업 중 당시 증여로 김 이사의 지분율이 기존 4.16%서 8.25%로 4.09% 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김 회장의 지분율은 17.74%서 9.61%로 낮아졌다. 회사가 김 이사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모양새다. 김 이사가 이끄는 부광약품은 제약업계 40위권 규모의 회사다. 지난해 기준 1507억4345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76억7592만원, 110억9062만원을 기록했다. 이번 증여로 김 이사는 매출 1500억원 규모의 회사에 대한 책임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아버지 회사 소유의 땅을 기반으로 자식의 회사가 성장하고 있다면 의심의 눈초리가 쏠린다. 혹시 모를 특혜에 대한 시선이다. 코스맥스그룹이 비슷한 맥락서 뒷말이 나온다. <일요시사>서 관련 내용을 확인했다. 코스맥스그룹은 화장품 ODM(제조개발생산) 업계서 한국콜마와 1, 2위를 다투는 그룹이다. 중국을 기반으로 성장해 K-뷰티의 기술력을 알리는 역할을 했다. 성장을 거듭한 끝에 코스맥스그룹은 매출 1조원이 넘는 회사로 탈바꿈했다. 간접적 지원? 수출 위주의 경영 전략을 짠 코스맥스그룹은 2015년 ‘5000만달러 수출의 탑’을, 2016년에는 ‘1억달러 수출의 탑’을 받았다. 화장품 ODM업체가 1억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한 것은 코스맥스그룹이 처음이었다. 기분 좋은 흐름에 그룹의 외연은 빠르게 확대됐다. 2015년 8087억원이었던 매출은 2016년 1조1103억원, 지난해 1조3096억원으로 증가했다. 코스맥스그룹의 성장에는 이경수 회장이 있었다. 경영인으로서 성공적인 삶으로 살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최근 두 아들에 대한 승계 작업 움직임을 보이면서 검증의 시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