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뉴진스는 단순한 내부 경영 분쟁을 넘어 글로벌 이슈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법원이 어도어와 뉴진스 사이에서 어도어의 손을 들어주었는데요.
뉴진스 사건, 시간순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2024년 4월22일
하이브는 민희진 대표가 어도어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시도를 발견하며 감사를 착수하고 곧바로 직무 정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이에 민희진은 회사의 뉴진스 베끼기가 원인이었다고 주장면서 어떤 투자자도 만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4월25일
하이브는 무속인과의 대화, 신규 레이블 논의 등 경영권 탈취 계획과 물증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민 대표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무속인은 지인일 뿐, 날조다”라고 주장합니다.
이때 방시혁 의장을 비롯해 “개저씨들, 맞다이로 들어와”라는 충격적인 발언도 하게 됩니다.
법적 공방으로 번지다
2024년 5월
민희진은 “주주 계약상, 5년 동안 대표직을 유지할 권리가 있다”며 대표 해임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합니다.
하지만 하이브는 “10억 이상 손해나 위법 행위 시 해임 요구 가능하다”라고 반박했습니다.
5월18일
뉴진스 멤버들이 직접 탄원서를 제출하며 사건에 본격 개입합니다.
5월30일
서울중앙지법은 민 대표의 가처분을 인용하며 “하이브의 해임 사유가 충분하지 않다”라고 판단.
민 대표는 다시 대표 자리에 복귀합니다.
5월31일
바로 다음 날 민 대표는 2차 기자회견을 열게 됩니다.
하지만 앞서서 하이브는 민 대표 측 이사 2인을 해임합니다.
민희진은 화해를 제안하지만, 하이브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여론전 격화
6월
해외 사이트에서는 민희진 대표가 하이브를 떠날 것을 요구하는 국제 청원까지 번지게 됩니다.
작성자는 방탄소년단 팬으로 추정되는 아미 포에버 ID로 “민 대표가 방탄소년단, 아일릿, 르세라핌과 같은 그룹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는 걸 주도하고, 가치를 하락시키려고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7월
민 대표는 당시 하이브 대표인 박지원을 개인 메신저 내용 불법 취득 및 명예훼손으로 고소합니다.
하이브는 무고죄로 맞고소합니다.
8월27일
어도어 이사회는 민 대표 해임을 결의합니다.
여기서 어도어는 “대표에서는 내려오지만 사내이사 및 프로듀싱은 지속할 것”이라고 발표하게 됩니다.
그런데 민 대표는 일방적 주장이라 반발했습니다.
행동에 나서는 뉴진스
9월11일
뉴진스는 유튜브를 통해 9월25일까지 민 대표를 복귀시키지 않으면 행동을 나서겠다고 말했습니다.
10월15일
뉴진스 멤버 하니가 국정감사에 출석해 하이브 산하 레이블인 아일릿의 매니저로부터 “무시해”라는 말을 들었다며 직장 내 괴롭힘과 따돌림을 겪었다고 증언했습니다.
하지만 여론은 “연 수익 52억원을 버는 외국인 톱스타가 하이브 직원에게 인사를 받지 못한 일이 국감에서 다뤄질 사안이냐”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일방적 계약해지
10월20일
민 대표는 사내 이사직도 사임을 선언했고 “주주 간 계약 위반은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습니다.
11월28일
뉴진스는 어도어에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하며 NJZ 독자 활동을 선언합니다.
그리고 해가 넘어가며 지난 1월9일, 다보링크 회장은 민 대표와 뉴진스 영입 논의가 있었다고 폭로했습니다.
2025년 2월7일
뉴진스는 SNS 이름을 ‘NJZ’로 변경하며 독자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법원의 최종 판단
3월2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어도어의 손을 들어주며 뉴진스의 독자 활동은 금지된다는 가처분을 인용합니다.
3월23일
뉴진스는 홍콩 콘서트에서 회사와 사전 협의 없이 신곡을 발표하고 데뷔했으며 공연이 끝난 뒤 활동 중단을 선언합니다.
[엔딩]
뉴진스는 2023년 어도어로부터 1인당 약 52억원을 정산받았지만 회사와 신뢰가 깨졌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재판부는 “아이돌이 정산 한번도 못 받고 계약 종결을 해달라는 사건은 처리해 봤지만, 이 경우는 특이한 경우”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또 전문가들은 확정 판결까지 3년 이상 소요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는데요.
K-POP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사안이 된 지금 뉴진스는 과연 다시 무대에 설 수 있을까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joun2017@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