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한국 영화계는 100억원대 대작을 보기 힘든 시장이 됐다. 지난해 <반도>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강철비2:정상회담> 이후로 이른바 텐트폴 영화는 사라졌다. 순 제작비 50억원대의 저예산 영화만 관객 앞에 섰다. 올해 여름 할리우드 대작과 함께 관객들이 영화관으로 발길을 옮기는 추세에 텐트폴 영화 네 편도 여름 시장을 두드렸다. 하늘도 무심한 듯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일어나면서 거리두기는 4단계로 격상됐다. 영화계의 곡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영화계는 오랜 기간 시름시름 앓았다.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이후 의미 있는 결과를 낸 작품은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반도> <테넷>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담보> 정도다. 대부분 영화가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했다.
성수기인데…
국내에서 두 번째 대목인 겨울 시장에는 이른바 대작 영화가 얼굴조차 내밀지 않았다. 저예산 영화나 겨우 개봉하는 수준이었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영화계는 절벽으로 내몰렸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영화산업 전체 매출 추정치는 9132억원으로 2019년보다 63.6% 감소했다. 특히 영화산업 매출의 약 76%를 차지하던 극장에서 1조9140억원을 기록한 매출은 5103억원으로 급감했다.
올해 200만 관객을 넘긴 작품은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귀멸의 칼날:무한 열차편> <소울> 뿐이다. 흥행 1위 작품이 1000만 관객을 쉽게 넘긴 예년과는 다르다. 대기업 자본이 투입된 멀티플렉스가 생겨난 이후 한국 영화 역대 가장 낮은 스코어를 기록 중이다.
그런 가운데 현재 방영 중인 <크루엘라>와 <블랙위도우>가 200만 관객을 넘길 조짐을 보이고, 영화 <발신제한>이 90만 관객을 돌파하는 등 최근 영화계는 긍정적인 시그널을 받았다.
1만명 내외의 일일 총 극장 관객 수가 예년처럼 40만을 넘기기도 하는 등 영화관은 오랜만에 왁자지껄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1000명 넘게 불어나면서 정부의 거리두기 방침이 강화됐다. 우려하던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되자 “이러다 진짜 죽는다”는 업계의 아우성이 흘러나온다.
예전 같으면 7월부터 여름 성수기 시즌이 시작되지만, 4차 대유행으로 영화계 전체가 영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이 오후 10시까지로 제한되면서, 극장 또한 오후 10시 이후에는 영화를 상영할 수 없다. 오후 7시30분까지는 마지막 회차 상영이 시작돼야 한다.
직장인과 같이 저녁 이후에만 시간을 낼 수 있는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모으기 힘든 상황이다.
한 영화 관계자는 “솔직히 말하면 매일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기분이다. 코로나 확진자 수만 바라본다. 확진자 수가 떨어져야 뭐라도 해볼 수 있기 때문”이라며 “영화관에서는 손해가 막심하지만, 배급사는 IPTV에서 매출이 올라 그나마 버틸만했다.
하지만 신작이 없자 IPTV 매출도 같이 줄어들고 있다. 신작이 해결책인데 4차 유행이 번졌다. 눈앞이 깜깜하다”고 말했다.
‘발만 동동 구르는’ 텐트폴 영화 네 편
“팬데믹 대응 방안, 정답 누구도 몰라”
그런 가운데 여름 성수기 시장을 노린 네 편의 대작이 준비 중이다. 류승완 감독이 연출하고 배우 김윤석 조인성 등이 출연하는 <모가디슈>와 배우 황정민 주연의 <인질>, 배우 차승원, 이광수 주연의 <싱크홀>, 연상호 감독이 집필하고 김용완 감독이 연출한 <방법:재차의> 등 네 편이다.
네 작품 모두 성수기 시장을 노리고 개봉일을 고르고 있다. 제작보고회를 여는 등 본격적인 홍보를 시작했다. 네 영화 모두 내부적으로 평가가 좋다는 반응이 나온다.
평소 같으면 전략적인 홍보를 통해 조금 더 많은 관객을 모으기 위해 필사적인 행보를 펼쳤겠지만, 최근 대유행이 번지면서 홍보에 박차를 가하지도 못하고 개봉일을 쉽게 바꾸지도 못하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특히 <모가디슈>와 <인질>을 제작한 영화 제작사 외유내강은 현 시점이 원망스러울 뿐이다. <모가디슈>는 롯데엔터테인먼트, <인질>은 NEW에서 올해 여름을 노린 텐트폴 영화로 지정했다. 자식이나 다름없는 영화가 거의 동시에 개봉하는 흔치 않은 상황에 놓인 것.
하지만 코로나 국면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강혜정 외유내강 대표는 “우리가 의도한 건 아닌데 배급사에서 두 영화를 텐트폴로 지정했다. 영화계의 명운이 달린 시점에 우리 영화가 두 편이 걸리게 됐다. 용기를 갖고 결정하긴 했는데, 하루에도 열두 번씩 마음이 오락가락한다. 빨리 코로나가 잠잠해져서 한국 영화가 다시 활기를 띠길 고대한다”고 말했다.
영화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배급사 역시 답답한 건 마찬가지다. 국내 주요 배급사들은 이미 4~5편의 영화가 창고에 빼곡하게 쌓여있다. 진작에 풀어져서 수익으로 환산됐어야 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불확실성
한 영화 배급사 관계자는 “지금 힘든 건 불확실성에 투자하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팬데믹은 레퍼런스가 없다. 올림픽이나 다른 큰 이슈는 대처 방안이 있거나, 때론 전략을 잘 활용하면 역이용도 가능하다. 하지만 팬데믹에 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정답을 아는 사람이 없다.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는 상황에 계속해서 금전적 손실이 나고 있는 게 가장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