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1 16:43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유명 연예인들에게 제주도는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로망의 땅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아름다운 풍광과 여유로운 분위기, 휴양지 느낌 물씬인 제주도는 그들에게 창업의 이상적인 무대를 제공해 왔다. 과거 가수 지드래곤은 2015년 10월 제주 애월읍에 카페를 오픈해 운영했다. 당시 국내외를 막론하고 수많은 팬들이 줄지어 방문할 정도로 화제가 돼, 그의 카페는 ‘관광 필수 코스’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했다. 남편의 버닝썬 논란으로 연예계 활동을 중단했던 배우 박한별도 제주 서귀포서 카페를 운영 중이다. 그는 제주로 이주한 뒤 2021년 직접 카페를 기획하고 오픈해 새로운 삶을 꾸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연예인들의 카페 창업이 꼭 성공 가도만 달리는 것은 아니다. 가수 이상순은 2022년 제주 구좌읍에 작은 카페를 열어 아내 이효리와 함께 화제를 모았지만, 몰려든 인파로 인해 인근 주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면서 결국 2년 만에 문을 닫았다. 이처럼 스타들의 제주도 카페 창업은 새로운 기회인 동시에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양날의 검이 되고 있다. 최근 배우 이동건도 제주 애월읍에 카페를 오픈하면서 이 같은 논란의 중심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최근 한 아이가 카페에 진열된 빵에 혀를 갖다 대는 영상이 온라인에서 화제인 가운데, 부친이라는 사람의 적반하장식 태도가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지난 13일, 자신을 아이의 아버지라고 주장한 A씨는 해당 영상에 댓글로 “애들이 왜 애들이겠느냐, 잘 몰라서 그런 거다. 여러분들은 어렸을 때 사고 한번 안 치고 살았나 봅니다”라며 비꼬았다. 그는 “혀를 댄 걸로 상품성이 떨어지진 않는다”며 “저출산 시대인데 애들한테 뭐라고 하는 이런 미개한 문화 때문에 한국 국격이 무너진다”고 부채질을 하기도 했다. 한 누리꾼이 대댓글로 “혀 댄 걸 알면 누가 사겠냐, 비위생적인 상품이 됐는데 상품성이 안 떨어진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당신과 같이 자기 자녀만 감싸고 도는)마인드가 멀쩡한 부모들까지 욕먹게 만드는 거다. 저런 상황이면 공중도덕을 가르치는 게 부모 역할”이라고 충고했다. 그러자 A씨는 “애들이 실수하는 걸로 공중도덕 교육 운운하면서 부모들의 마녀사냥을 정당화하지 말라”며 “못 배운 티가 난다”고 해당 누리꾼을 공격했다. 그는 자신의 SNS에 “저는 평택시 오성면에 사는 왕OO이다. 아들은 왕OO이고 아내 이름은 견OO이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한 카페 아르바이트생이 근무 중 ‘혼자 근무하고 있느냐’고 묻는 할아버지, 아저씨들 때문에 무섭다며 고통을 호소하는 글이 화제다. 자신을 ‘카페 알바생’이라고 밝힌 누리꾼 A씨는 지난 23일, 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에 “근무하다 보면 ‘혼자 있어?’ ‘혼자에요?’라고 물어보는 할아재(할아버지 아재), 아재(아저씨), 할배(할아버지)들이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한 달에 6번 이상은 같은 질문을 받아보는 것 같고 자주 오는 사람 중 2명은 유독 계속 물어본다”며 “아침 근무할 때는 절대 안 물어보고 혼자 근무하는 낮에서 저녁 시간 때만 와서 물어보고 간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너무 무섭고 소름끼친다. 방금은 어제 왔던 아저씨가 오늘 다시 와서 혼자냐고 물어보던데 갑자기 미리 나온 직원분 보고 깜짝 놀라면서 ‘어우, 아니네’ 하며 나갔다”며 “진짜 역겹다. 혼자면 뭐 어떻게 하려고요? 범죄 저지르려고요? 너무 무섭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같은 사례가 반복되면서 근무시간도 야간서 오후부터 저녁 시간대로 바꿨는데 (변경한 후에도 계속되니)너무 소름 돋는다. 전엔 친절하게 대답해준 적도 있는데 뭘 사주거나 하는 건 없
[일요시사 취재1팀] 남정운 기자 = ‘노키즈존’에 이은 ‘노시니어존’ 논쟁이다. 한 작은 카페서 “60세 이상 어르신 출입제한”이라는 방침을 세운 것을 두고 찬반 양론이 대립하는 모양새다. 한쪽에서는 점주의 야박함을 비판하고, 반대쪽에선 점주의 자유를 옹호한다. 전문가들은 논쟁의 맥락에 세대 갈등이 숨어 있다고 지적한다. “노시니어존(No senior zone, 60세 이상 어르신 출입제한)”. 지난 8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 속 카페 출입문에는 이 같은 문구가 적혀 있었다. 사진을 올린 커뮤니티 이용자는 “참고로 이곳은 딱히 앉을 곳도 마땅치 않은 한적한 주택가의 한 칸짜리 커피숍”이라며 “무슨 사정일지는 몰라도 부모님이 지나가다 보실까 무섭다”고 했다. “노인 혐오” 하필 게시글이 어버이날에 올라온 탓인지, 점주의 ‘운영 방침’을 비판하는 목소리와 되레 옹호하는 의견 간의 대립도 한층 격했다. 방침을 비판하는 측은 “특정 연령대 출입을 모두 제한하는 건 혐오를 조장한다” “결국 누구나 늙는다. 늙음이 잘못은 아니다” 등의 반응을 남겼다. 반면 “자기 가게 운영방침은 마음대로 정할 자유가 있다”며 점주를 옹호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일각에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최근 인천 서구의 한 프랜차이즈 카페서 담배를 피는 남성에게 아르바이트생이 금연구역이라며 다른 곳에서 흡연을 요청하자 “잘 치워봐”라며 커피를 쏟고 조롱까지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7일, 국내 자동차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프랜차이즈 카페 관계자로 보이는 A씨가 ‘금연 안내했을 뿐인데 잘 치워봐 라고 조롱’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고통을 호소했다. A씨는 “일반 프랜차이즈 카페고 테라스 책상에 금연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 당당히 담배 피셔서 직원이 테라스 옆 골목서 피워 달라고 요청했는데 저렇게 행동하시나요?”라고 반문했다. 그는 “앞으로 무서워서 금연 안내할 수 있을까요? 커피 부으시면서 ‘잘 치워봐’ 이런 말씀하시면서 조롱하는데 하…”라며 “진짜 너무 무섭고 힘드네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함께 첨부된 영상에는 아르바이트 생과 50대로 보이는 남성 2명이 등장한다. 사건은 지난 6일, 오후 8시2분에 시작됐다. 주문했던 커피가 나온 상황서 한 남성이 담배 피우는 모습을 확인한 아르바이트 생은 그에게 다른 곳에서 흡연해달라고 요청했다. 해당 남성은 자리서 일어나 이동했지만 일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