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11.21 18:17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PC 위주의 온라인 환경이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모바일로 바뀐 가운데, 최근 1년 새 전국(제주 제외)의 만 13세 이상 국민들은 PC뱅킹보다 모바일뱅킹을 훨씬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5202명에게 ‘금융, 쇼핑, 생활 편의, 미용 관련 서비스 19종에 대한 이용 경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스마트폰(이하 ‘모바일’)뱅킹이 74%로 인터넷/PC(이하 ‘PC’)뱅킹(44%)을 크게 앞섰다. 또 간편 결제(○○페이) 45%,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 44%, 모바일 주식거래 25%, PC 주식거래 17%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쇼핑 채널별 연간 이용률은 모바일 쇼핑 60%, TV홈쇼핑 47%, PC 쇼핑 42%, 해외 직구 23% 순으로 집계됐다. 모바일뱅킹 연간 이용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직전(2019년 7월~2020년 2월, 이하 ‘2020년’) 58%서 올해 상반기 74%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모바일 기반 서비스인 인터넷 전문은행도 21%서 44%로, 간편 결제도 25%서 45%로 연간 이용률 역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국내 거주 중인 유권자 10명 중 9명 이상이 현재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으며 사용 중인 스마트폰 제조 회사는 삼성 69%, 애플 23%, LG 6%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전국의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현재 스마트폰 사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97%가 “사용한다”고 답했다. 국내 성인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2012년 1월 53%서 그해 6월 60%, 2013년 2월 70%, 2014년 7월 80%, 2016년 하반기 90%를 돌파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는 93%에서 정체했으나, 2021년 95%, 2022년 97%로 추가 상승했다. 스마트폰 사용률이 90%대에 접어든 시기는 낮은 연령대일수록 일렀다. 2012년 상반기 20대, 그해 하반기 30대, 2014년 40대, 2016년 50대 순으로 90%를 돌파했다. 60대 이상 스마트폰 사용률은 2012년 상반기 10% 초반, 2013년 7월 30%, 2016년 1월 60%, 2022년 90%, 2023년 92%에 다다랐다. 2021년까지는 60대 이상으로만 집계했으나, 2022년부터
[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총알 막은 방탄폰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최근 미국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에 삼성전자 갤럭시 모델로 추정되는 스마트폰이 러시아군이 쏜 총탄을 막으면서 우크라이나 군인의 부상을 막을 수 있었다는 내용의 영상이 게재됐다. 사실일까. 관통 못해 삼성전자 갤럭시 모델로 추정되는 스마트폰이 총알을 막았다는 소식이 해외 커뮤니티를 통해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에 최근 ‘스마트폰이 탄환을 막아 군인의 생명을 구했다’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우크라이나 전쟁 비디오 리포트(UkraineWarVideoReport)’게시판에 별도로 올라온 영상에 따르면 엄폐물에 몸을 숨긴 우크라이나 군인이 “675달러짜리 휴대폰과 군 인식표가 목숨을 구했다”며 주머니에서 넣어둔 폰을 꺼내 보여주는 모습이 나온다. 해당 군인이 건넨 휴대폰에는 총알로 인해 찢긴 듯한 군 인식표와 보호 케이스 모습을 볼 수 있다. 7.62㎜ 탄으로 추정되는 이 총알은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베일에 싸여 있던 삼성전자의 기대작 스마트폰 ‘갤럭시 S22’ 시리즈가 10일, 전격 공개됐다. 삼성전자는 이날 온라인 사이트에 ‘삼성 갤럭시 언팩 2022(The Epic Standard of Smartphone Experiences)’ 행사를 열고 갤럭시 S22를 공개했다. 이번 갤럭시 S22의 성패에 따라 삼성전자가 2022년 상반기는 물론 하반기의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해나가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출시된 갤럭시 S22는 기본형(6.1인치), 플러스(6.6인치), 울트라(6.8인치)의 3가지 모델로 출시된다. 최상위 모델인 울트라는 갤럭시 노트의 외형을 채용해 각진 모서리와 S펜이 탑재됐으며 특히 갤럭시 S 시리즈와 노트 시리즈의 특성을 결합한 모델이라는 점에서 얼리어답터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삼성전자 측은 “야간 촬영을 위한 카메라 기능을 대폭 개선했고 하드웨어적으로도 역대급 성능을 자랑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전작에 비해 더욱 커진 이미지센서를 채용했고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야간 촬영 품질 향상을 위해 공들였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 사장은 “갤럭시 S2
[기사 전문] 인터넷에 ‘스마트폰 수리’를 검색하면 온갖 사설 업체들이 넘쳐납니다. 액정 수리는 5만원에서 10만원 정도로, 공식 수리 비용인 20~30만원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Q. 사설업체와 제조사의 수리 비용 차이가 어느 정도 되는지? 저희(사설 업체)가 제조사의 한 1/3~ 1/2 가격 정도(저렴합니다.) 현재 일부 스마트폰 제조사는 소비자가 직영 또는 협력업체에서 수리를 받지 않을 경우 이후 수리에 대한 보증을 하지 않는 등의 불이익을 줍니다. 소비자는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가격의 공식 서비스센터를 찾아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Q. 공식업체와 사설 a/s의 서비스 부분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제가 생각하기에는 부품 차이는 없습니다. 정식과 사설 수리점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잘 수리만 하신다면. 사설수리를 쉽게 허용하지 않는 이유는 지식재산권 문제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제품을 무단으로 분해, 개조하는 행위가 불법으로 간주되는데, 국내 전자제품 기업 대부분이 이를 따르고 있습니다. Q. 대기업에서 소비자의 수리를 제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건의 수리, 폐기, 소유권 등은 본인(소비자)이 스스로 결정을
[일요시사 취재1팀] 차철우 기자 = 아이들이 스마트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수업을 들을 때도 시선은 스마트폰에 고정돼있다. 초등학생 대다수가 이미 스마트폰의 노예로 전락한지 오래다. A씨는 초등학생 아들의 원격수업을 위해 스마트폰을 구매했다. 스마트폰을 손에 넣은 아들은 스마트폰을 내려놓으려 하지 않았다. 원격수업을 잘 듣고 있는지 확인을 위해 방문을 살짝 열어보면 스마트폰으로 ‘딴짓’을 하고 있었다. “24시간도 모자라요” 아들은 수업이 끝난 뒤에도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A씨는 “수업 때만이라도 집중하자”고 말했다. 그러자 아들은 A씨를 쳐다보지도 않으며 “엄마도 종일 스마트폰 하잖아요”라며 반문했다. 학부모들은 스마트폰에 노출돼있는 자녀에 대한 걱정이 가득하다. “원격수업에 접속한 뒤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바로 유튜브를 본다” 등과 같은 하소연이 쏟아진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시간을 정해두고 사용했지만, 비대면 수업이 진행된 후부터는 수업을 핑계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딴짓이 늘었다는 것이다. 학부모들은 아이의 스마트폰 과의존 때문에 진도가 뒤쳐질까 걱정이다. 또 다른 학부모는 “방에서 공부하고 숙제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선생님한테 피드
[일요시사 취재1팀] 차철우 기자 = 눈을 뜨고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손에 끼고 산다. 라디오 같이 귀로 듣는 행위는 내가 직접 찾아 눈으로 보는 행위로 바뀌었고, 선택의 폭은 넓어졌다. 1996년부터 2021년까지의 미디어 발달을 5년 단위로 정리했다. 디지털 시대라는 말은 오래전부터 사용됐다. 지난 1996년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미디어는 급속도로 성장했다. 20세기 마지막 시점에는 미디어 발전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두루넷, 하나통신 같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사람들은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얻게 됐다. 디지털화 ▲1996~2000= TV 보급의 확대로 각 가정 당 1.42대를 보유함으로써 개인의 선택권을 존중할 수 있는 시청 환경이 마련되기 시작했다. 미디어 기기 보급 역시 활성화되며 좀 더 개인화됐다. 네이버와 같은 검색 서비스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각자 필요한 부분을 찾기 시작했다. 워크맨, CD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 개인적으로 사용 가능한 미디어 기기 보유가 늘었다. 개인용 컴퓨터의 소유 역시 증가해 채팅, 자료 이용 등이 활성화된 시기다. 포털 사이트 다음은 대한민국 최초 무료 웹 메일 서비스 한메일을 내놓았다. 신문사도 과거 잉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