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6 00:01
[일요시사 취재1팀] 남정운 기자 = 강남 한복판서 납치 살인사건이 터졌다. 경찰은 관련자 신병을 확보하고 정확한 범행동기 파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사 과정서 ‘살인 교사’ 의혹을 받는 배후도 드러났다. 피의자들과 피해자의 관계도는 한 가상화폐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들이 투자했던 코인의 등락 폭은 약 1800배에 달한다. 지난달 29일 서울 강남구 주택가서 발생한 납치·살인 사건은 철저한 계획범죄였다. 경찰에 따르면 이경우, 황대한, 연지호 등 일당 3명은 범행 2~3개월 전부터 피해자 A씨를 미행하는 등 주도면밀한 납치 계획을 짰다. 늘어나는 피의자들 황대한과 연지호는 범행 당일 오후 4시경부터 A씨의 사무실 인근서 대기하다가 오후 7시경 퇴근하는 A씨를 미행했다. 때를 기다리던 이들은 오후 11시48분 강남 역삼동의 한 아파트 앞에서 A씨를 폭행하고 차량으로 납치했다. 이들이 납치 당시 ‘신종 마약’을 동원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지난 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서 “납치범들이 마취제로 알려진 약물을 사용한 흔적이 있다”며 “최근 연예인들이 약물로 많이 검거되는데, 그들이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좋을 땐 한없이 좋지만 나쁠 땐 또 한없이 나쁜 법이다. 주식이나 코인 등 자산시장의 부침은 개인에게 각기 다른 진폭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격이 오를 때야 모두 행복하지만 떨어질 땐 감내해야 할 몫이 다르다. 문제는 자산시장의 몰락으로 인한 부작용이 사회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때 광풍으로 칭해졌던 가상화폐에 대한 투자 기세가 잠잠해졌다. 최근에는 가상화폐 시장의 가격변동보다 그로 인한 범죄가 더 많이 언급되는 실정이다.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역대급으로 풀렸던 돈줄이 바짝 마르자 가상화폐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본인 돈으로든 남의 돈으로든 가상화폐에 투자한 사람 역시 큰 타격을 입었다. 광풍의 끝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한 아파트 앞에서 40대 중반 여성 A씨가 납치, 살해되는 일이 일어났다. A씨를 납치한 일당은 시신을 대전 대청댐 인근 야산에 암매장했다. 경찰은 납치와 살해에 가담한 피의자 3명을 범행 42시간 만에 모두 검거했다. 지난 5일까지 피의자는 5명으로 늘었다. 사건에 직접 가담한 3명과 공범 1명을 비롯해 1명이 추가 입건된 것. 서울 수서경찰서는 지난 5일 언론 브리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