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1 16:43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사태가 확산된 가운데 대주주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책임론이 부상 중이다. 국세청 조사4국이 세무조사에 나섰고, 국회는 긴급 현안 질의를 열겠다고 나섰다. 이번 사태로 금융감독 당국이 사모펀드 운용사(PE)에 대한 검사권을 꺼낼지 관심이 모인다. ‘국세청의 특수부’로 불리는 조사4국이 김병주 MBK파트너스(이하 MBK) 회장의 역외 탈세 의혹을 들여다볼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MBK는 최근 자구 노력 없이 홈플러스 기업 회생 신청을 하면서 ‘먹튀 논란’에 휩싸였다. PEF 운용사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지 10년 만에 내린 기습적인 결정이다. 협력사들의 대금 미정산 우려와 투자자 손실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어떻게 털었나 MBK파트너스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10년간 점포 매각 등으로 빚을 갚고 배당을 받아 왔다. 인수할 때 들었던 차입금 등 투자 원금 회수에 주력하면서 홈플러스 경영은 지속적으로 악화됐다.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 신청 직전까지 투자자를 상대로 기업어음(CP) 등을 판 것으로 드러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 비판까지 확산됐다.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지난 4일, 홈플러스가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소비자뿐만 아니라 홈플러스에 물품을 납품하던 업체들까지 불안감이 나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다 휴지 조각이 되는 것 아닌가 싶은데요. 이번 홈플러스 사태가 왜 발생했는지, MBK파트너스와 사모펀드가 무엇이기에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인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MBK파트너스는 2005년 김병주 회장이 설립한 동아시아 최대 사모펀드인데요. 우선 사모펀드란 사모와 펀드에 합성어로 ‘사적으로 모인 펀드’를 말합니다. 공모펀드는 누구나 쉽게 투자할 수 있지만 사모펀드는 비공개로 고액 자산가나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소수의 사람을 모아 주식이나 돈을 운용사가 기업 등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핵심 전략은 ‘바이아웃(Buyout)’ 투자자들은 펀드 수익에 따라 배당금을 받게 되고 사모펀드 운용사는 상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인수해 성장시킨 후 기업 가치를 높여 되파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큰손끼리 돈을 모아 기업을 인수하고 비싸게 되팔아 수익을 내는 방식인 거죠. 즉, 기업을 장기적으로 키운다기보다는 단기간에 차익을 실현하는 데 집중하는 구조입니다. 가입 금액도 최소 3억 원 이상인 경우가 많아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MBK파트너스의 골칫덩이로 전락한 홈플러스가 좀처럼 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천문학적인 몸값이 재매각을 어렵게 만들었고, 당장 갚아야 할 빚을 막기 위해 신경을 쏟느라 분주한 양상이다. 투자금 회수가 더뎌질수록 이래저래 난감한 일 뿐이다.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는 2015년 9월, 영국 대형마트 기업 테스코로부터 대형마트 업체인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당시 홈플러스에 책정된 몸값은 7조2000억원에 달했고, 이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인수·합병 사례였다. 어느 세월에… 홈플러스 인수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투자업계에서는 MBK파트너스의 선택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였다. 통상 사모펀드는 인수한 기업의 가치를 끌어올려 5년 안에 재매각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경영 방식을 취한다. 이는 곧 MBK파트너스가 적어도 2020년 말까지는 7조2000억원 이상을 지불하면서 홈플러스를 사들일만한 기업을 찾아야 함을 의미했다. 그러나 홈플러스에 매겨진 천문학적인 몸값은 재매각을 어렵게 만들었고, 8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보다 못한 MBK파트너스는 올해 초부터 홈플러스 매각에 적극적인 태도를 드러낸 상태다. 홈플러스는 지난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홈플러스가 꺼내 든 초저가 치킨이 화제의 중심에 섰다. 저렴한 가격표가 붙자 대중이 칭찬을 쏟아내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홈플러스는 무엇을 노린 걸까. 일각에서는 당당치킨에서 드러난 홈플러스의 마케팅 전략을 사모펀드의 재매각 의지와 연결 짓는다. ‘당당치킨’은 홈플러스가 물가안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시한 저가 치킨이다. 당일 제조해 당일 판매한다는 뜻에서 당당치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프라이드 치킨 기준 한 마리 가격은 6990원, 두 마리는 99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문전성시 홈플러스가 당당치킨 가격을 낮게 책정한 건 대량 구매와 함께 중간 유통단계를 생략했기 때문이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 6월30일 판매를 시작한 당당치킨은 한달여 만에 30만마리가 판매됐다. 당초 1일 판매량이 1만마리 근접하는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한 셈이다. 당당치킨에 대한 높은 주목도는 2010년 12월 출시됐던 롯데마트의 ‘통큰치킨’ 사례를 떠올리게 한다. 당시 통큰치킨은 500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을 앞세워 출시 직후 소비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통큰치킨 열풍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곱지 않은 시각을 인지한 롯데마트가 판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