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10 01:01
[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위기의 벗방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네이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개정한다. 선정성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어떤 행위 또는 방송 주제가 부적합한 콘텐츠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했다. 네이버는 오는 21일 치지직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개정한다. 부적합 콘텐츠 예시와 콘텐츠 등급 정책 등을 주로 개편한다. 음란성 콘텐츠, 노출·선정·성적인 주제에 대한 기준을 추가한 게 특징이다. 특정 부위 이에 따라 앞으로 치지직서 가슴 등 여성 특정 신체 부위에 초점을 맞추거나 중요 부위만 가리는 정도의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방송하는 경우 부적합 콘텐츠로 분류돼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VOD 등 콘텐츠의 신규 업로드가 임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용 제한 중 치지직 내 다른 채널 콘텐츠에 출연할 수 없다. 또 ▲서비스 메인 화면에 노출되거나 노출·클릭 수를 높일 목적으로 콘텐츠 내용과 무관한 태그를 등록하거나 폭력적이거나 성적인 문구 등 부적절한
트위치는 2007년경 저스틴 외 3명의 창업자가 ‘대화나 잡담을 온라인으로 스트리밍하는 것은 어떠냐’는 의견에서 비롯된 인터넷 방송 플랫폼 저스틴 TV에서 시작됐습니다. 2011년 6월6일에 와서야 게임 카테고리 방송을 지금의 트위치TV로 분할해 따로 서비스하기 시작했습니다. 2014년 트위치는 미국 내 가장 트래픽이 많은 사이트 4위로 선정되면서 기존 저스틴 TV의 운영을 중단하고 트위치 티비로 회사명을 변경했습니다. 그 해 8월에는 아마존이 9억7000만달러를 지불하고 트위치를 정식 인수했습니다. 2015년 2월 트위치는 한국 서버를 신설하고 본격적인 국내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당시 한국 내 하스스톤(게임) 방송인을 대상으로 전속계약을 맺었고 트위치를 독점으로 방송할 경우 월급 페이를 약속하는 등 매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습니다. 2016년 10월, 국내 개인 방송 대형 플랫폼 아프리카TV서 갑질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대표적 피해자로는 대도서관이 있는데요. 당시 대도서관의 방송에 모바일게임 ‘아케론’의 홍보모델인 시노자키가 나왔고, 그녀는 방송에 출연해 아케론을 홍보했습 니다. 아프리카TV는 이에 관해 사전 고지하지 않은 채 홍보 방송(상업 방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