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10 11:20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60년 동안 견고하게 쌓아온 벽에 작은 균열이 생겼다. 단단히 맞잡은 손이 만든 ‘카르텔’에도 생채기가 났다. 그동안 ‘표절은 있지만 표절 시비는 없었던’ 한국미술사학회는 처음으로 논란에 대한 잘못을 인정하고 조치를 취했다. 표절 의혹이 제기된 지 꼭 1년 만에 나온 결과다. 김모 교수는 지난해 12월 한국미술사학회에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박모 박사가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에 투고한 학술논문이 자신의 박사논문을 표절했다는 내용이다(<일요시사> 1446호 ‘<단독> 한국미술사학회 표절 방관 의혹’, https://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240932). 한국미술사학회는 연구윤리위원회를 꾸려 표절 의혹을 심의했고 지난 8월 최종 결과를 내놨다. 환영하지만… 박 박사가 학술논문을 쓰는 과정서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은 맞지만 그 정도가 경미하다는 게 한국미술사학회의 입장이었다. 한국미술사학회는 이 같은 내용을 <미술사학연구>에 게재하고 3개월 동안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으로 논란을 갈무리했다. 박 박사의 학술논문에 수여한 ‘올해의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지난달 29일, 3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이태원 참사로 인해 오는 5일 자정까지 국가 애도 기간으로 지정되면서 부산불꽃축제 등 전국에 예정돼있던 지역축제들이 모두 올 스톱됐다. 부산시는 지난달 31일, 오는 5일에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예정돼있던 ‘제17회 부산불꽃축제’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이태원 사고에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며 “국가 애도 기간에 맞춰 5일 개최 예정인 부산불꽃축제 무기한 연기 결정을 내린 점, 시민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부산시에 따르면 이번 불꽃축제는 코로나19로 인해 3년 만에 진행되는 만큼 시민들에게 위로 활력을 주기 위해 ▲불꽃 버스킹 ▲토크쇼 ▲해외 초청 불꽃쇼 ▲부산멀티미디어 불꽃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있었다. 이외에도 ▲한우바비큐페스티벌(충남 홍성, 5일) ▲‘2022 제주올레걷기축제’(제주, 3일~5일) ▲‘2022년 보육인 한마음대회’(제주 탐라문화광장, 5일) ▲해남미남축제(전남 해남, 4일부터) 등의 지역 축제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됐다. 충청권에선 ▲세종시의 베어트리파크 단풍축제 ▲충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