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3 15:21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내 딸 슬비야, 이 세상 최고의 딸이었고 엄마 인생서 기쁨이고 최고의 행복이었어. 나중에 하늘에서 엄마랑 다시 만나자. 이 세상서 제일 이쁜 내 딸 이슬비. 사랑해.” 결혼을 1년 앞두고 있던 어린이집 여교사 이슬비(29)씨가 뇌사 장기기증으로 5명의 생명을 살리고 하늘의 천사가 됐다. 이씨의 모친 권영숙씨는 눈물을 흘리며 이 같은 편지를 하늘로 띄웠다. 20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 따르면 이씨는 지난 1월28일 설 연휴 기간 중 부모를 만나기 위해 고향으로 가던 도중 차량 안에서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의식을 찾지 못하고 뇌사 상태에 빠졌다. 이후 지난달 27일 뇌사 장기기증으로 영남대병원에서 심장, 폐장, 간장, 양쪽 신장을 기증하며 5명의 귀한 생명을 살렸다. 이씨의 가족들은 당초 회복 가능성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못했다. 하지만 의료진의 비가역적 뇌사 판정 이후 기증 결정을 내리기까지 심적 갈등을 겪었다. 결국 고인의 희생을 통해 타인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 아래 가족들은 장기기증을 결심했다. 대구서 1남1녀 중 막내로 태어난 이씨는 항상 밝고 명
[일요시사 취재1팀] 김민주 기자 = 39명. 올 한 해 동안 장기기증을 하고 세상을 떠난 이들의 숫자다. 한 사람이 장기기증을 해서 최소 3명의 사람을 살렸다고 하면, 올 한 해 장기기증으로 인해 새 생명을 얻은 사람은 100명이 넘는다. 사랑하는 가족의 마지막을 장기기증으로 선택한 가족은 “어디서든 살아있길 바란다”는 마음이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장기이식 대기자는 5만명인 반면, 뇌사 장기 기능자는 405명에 불과했다. 장기이식 대기자는 매년 약 2000명씩 늘고 있는데 기증자는 해마다 줄어드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장기이식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기증자가 없어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고도 설명된다. 장기이식이 이렇게 어려운 이유는, 장기이식에 대한 국민의 인식개선 때문이다. 해마다 줄어들어 국내 장기조직 기증 희망등록률은 2021년 4.5%로 미국은 15배인 60%에 달한다. 뇌사 장기기증 제도에 대한 논의가 계속돼야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지난 10월3일 국립 장기조직 혈액관리원에 따르면 한국의 장기이식 대기자는 2019년 4만253명, 2020년 4만3182명, 2021년 4만5843명, 지난해 4만9765명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반면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불의의 사고로 장애를 얻어 2년간 투병하다 뇌사에 빠진 다섯 살 아이 전소율양. 어린이 환자 3명에게 장기를 기증해 새 생명을 선물한 뒤 짧은 생을 마치고 하늘의 별이 됐다. 소아 장기기증 자체가 손에 꼽을 정도인 상황에서 보여준 소율이와 가족의 숭고한 선택이 안타까움과 감동을 주고 있다. 뇌사상태에 빠져있던 전소율(5)양이 지난달 28일 서울대병원에서 심장과 좌우 신장을 환자 3명에게 기증하고 세상을 떠났다. 3명 살리고 엄마 곁으로 소율이는 임신이 어려웠던 전기섭(43)씨 부부에게 결혼 3년 만에 찾아온 기적이었다. 부부는 기적처럼 찾아온 소율이를 애지중지 키웠다. 평소 놀이터를 좋아했던 소율이는 그곳에서 2~3시간을 놀 정도로 활동적이었고 특히 그네를 타면서 까르르 웃어대던 명랑한 아이였다고 한다. 하지만 행복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소율이가 3살이던 2019년 키즈 카페에서 놀다가 물에 빠지는 사고를 당해 뇌가 제 기능을 못하게 됐다. 이후 소율이는 2년간 코를 통해 음식을 먹으며 투병생활을 이어갔다. 앞서 폐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이던 소율이 엄마에게 딸의 사고는 큰 충격이었다. 아픈 가족 두 명을 돌보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