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대 코로나 시대’. 외국에 다녀오거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으면 그 즉시 자가격리 조치를 받는다. 정부의 경고를 무시하고 이리저리 돌아다니기라도 하면, 여론의 맹비난과 함께 행정적인 불이익을 받는다. 올해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은 전에 없던 생경한 장면을 목격한다.
배우 유아인과 박신혜가 출연하는 신작 <#살아있다>는 이 같은 시대 상황과 정확히 맞닿으며 공교로운 공감을 일으킨다. 갑작스럽게 좀비들이 횡행하면서, 인터넷과 TV 등 모든 통신이 끊긴 가운데 아파트 안에서 홀로 시간을 버티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영화 <부산행>과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는 한국 좀비물이다. 장르적 특성은 적당히 살리면서 인간과의 유대감과 홀로 있을 때의 외로움 등 인간의 감정에 초점을 맞췄다.
FPS 게이머이자 스트리머인 준우(유아인 분)는 여느 날과 마찬가지로 해가 뜬 오전 10시에 일어나 비비적거리며 게임 세계로 들어간다. 온라인서 만난 친구들은 갑자기 화들짝 놀란다. 뭔가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베란다로 나간 준우는 끔찍한 장면을 목격한다. 사람이 사람을 물어뜯고 있고, 그리고 그 사람은 어딘가 미친 듯 행동한다. 가족은 밖에 나가 있다. 홀로 집을 지켜야 하는 신세가 됐다.
TV에선 똑같은 뉴스를 반복하고, 해결책은 나오지 않는다. 인터넷은 끊겼고, 연락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갑작스럽게 몰아치는 외로움에 준우는 넋이 나간다. 가족의 생사는 알 수 없고 불안한 생각만 든다. 그렇게 20여일, 아버지의 양주가 유일한 양식이었던 준우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 한다. 그때 우연히 살아있는 여성 유빈(박신혜 분)을 만난다. 반대편 아파트에 있던 그녀와 연락이 닿는다. 그리고 구조를 위해 합심한다. 이들은 구조될 수 있을까.
준우를 비롯한 사람들은 갑작스러운 좀비의 출몰로 문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이미 아파트의 복도는 좀비들이 점령했다. 통신도 마비,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창구가 없다. 극도의 외로움에 빠진 찰나에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용기를 얻는다. 인간과의 유대감이 이 영화를 관통하는 키워드다.
극단적 공포 상황서 인간의 복합적인 감정을 온전히 드러내는 건 유아인이다. 당황하고 놀란 상황 속에서 바뀌지 않는 현실로 인해 충격을 받고, 억누를 수 없는 감정에 휘말려 오열하기까지, 유아인의 퍼포먼스는 상당하다. 유아인은 “초‧중반부를 지루하게 느끼면 이 영화는 실패”라고 말했는데, 적어도 유아인이 홀로 채운 앞부분은 이 영화의 미덕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새롭다.
중반부 우연히 알게 된 유빈과의 과정까지 꽤 흥미진진하게 진행된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 서로를 교감하고, 희망을 찾아가는 과정까지 즐겁다. 감성적인 준우에 비해 이성적이고 냉철한 유빈을 만든 박신혜도 눈에 띈다. 인물에 대한 해석에 많은 공을 들인 것이 느껴진다. <#살아있다>는 기존 좀비물의 강렬한 서스펜스 대신 좀비 시대의 일상을 자연스럽게 그려낸다.
선명히 드러나는 제작 의도로도 충분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안정적으로 잘 쌓은 이야기는 후반부부터 급격히 무너진다. 좀비로 번진 아파트를 벗어나기 위해 유빈과 준우가 도망치는 과정은 상당히 어설프다. 이럴 거라면 뭐하러 그 오랜 시간을 참았나 싶다. 액션도 어설프다. 유빈이 좀비들과 싸우는데 구경만 하는 좀비도 있고, 그리 강력해 보이지 않는 구타에 좀비들이 나가떨어진다.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두 사람이 어영부영 살아남는 장면은 헛웃음마저 나온다.
우여곡절 올라와 8층서 만난 한 사람이 가진 잘못된 신념도 이해하기 힘들다. 그들과의 혈투도 개연성이 떨어진다. 액션 장면서 좀 더 정교한 아이디어와 연출이 필요했다. 적당한 편집으로 넘어가려 하는 제작진의 ‘꼼수’가 엿보인다. 8층과 옥상 시퀀스는 관객들에게 비판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엔딩 부분은 <부산행>이나 <킹덤>만큼 강렬하지는 않으나, 그래도 시원한 맛은 있다. 굳이 많은 생각을 하지 않고 편히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좀비물답지 않게 귀여운 맛도 있으며, 웃음이 나오는 장면도 적지 않다. 일부 개연성이 부족한 측면 때문에 갸웃거리겠지만, 비교적 즐거운 마음으로 영화관서 나올 것 같다. 무엇보다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작은 위로와 힐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