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3 17:14
[일요시사 정치팀] 박희영 기자 = 더불어민주당 쓴소리 담당인 비명계가 뜻을 모았다. 굵직한 한 방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셈이다. 날 선 말이 아플 법도 하지만 지도부는 아랑곳하지 않는 모양새다. 이대로라면 공천도, 민주당 의원으로서의 정치생명도 위험하다. 비명계가 꺼내든 최후의 패가 반전을 가져올 수 있을까? 친·비명(비 이재명)간의 갈등 조짐이 나타난 시기는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조정식 사무총장을 단장으로 하는 총선기획단이 출범하면서다. 친명(친 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조 사무총장을 필두로 하는 만큼 ‘비명계 숙청’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자객 공천’ 논란도 심심찮게 나온다. 원외 친명계가 비명계를 밀어내는 구도가 그려진다. 예상되는 지역구만 20여곳으로 꼽힌다. 단일대오 이처럼 비명계 의원들이 경계하는 건 민주당이 친명으로 채워지는 ‘이재명 사당화’다. 이들은 조 사무총장 사퇴 요구와 함께 이 대표의 험지 출마론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다. 앞서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이끄는 혁신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 최측근 인사로 분류되는 이들과 당 지도부 등에게 수도권 등 험지 출마 등을 권고했다. 국민의힘이 먼저 ‘험지론’을 띄우자 비
[일요시사 정치팀] 차철우 기자 = 희생을 강요하면 누구나 불편한 마음이 생기기 마련이다. 최측근에게 희생을 강요하면 더욱 그렇다. 최근 혁신위가 윤핵관 세력에게 희생을 요구했다. 윤심서 비롯된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그러나 정작 이들은 이를 거부하는 모양새다. 그러면서 조용히 자신들의 지역구로 가 조직을 다진다. 내년 총선서 윤핵관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권고의 후폭풍이 거세다. 이번에는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과 친윤(친 윤석열)을 겨냥했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공식 안건과 별도로 “당 지도부와 중진, 윤석열 대통령과 가까운 의원이 총선 불출마 혹은 험지로 출마하는 것으로 결단을 내렸으면 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내년 총선서 윤핵관의 희생을 요구한 발언이다. 전전긍긍 윤핵관 세력은 인 위원장의 요구에 대해 공식적으론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유일하게 입장을 드러낸 이는 원내대표를 지냈던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갑)으로 그는 공개적으로 험지 출마 요구를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김기현 대표의 경우 “영광을 다 이뤘다”며 최측근에게 자신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전달했다고 전해진다. 이 같은 입장은 사실상 내년 총선 불출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