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9 14:13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됐다. 대한민국 헌정사상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를 지나면서 온 국민이 힘들어하고 있다. 경제는 파탄 나고 민주주의는 붕괴했다. 윤석열, 김건희를 둘러싼 권력형 비리는 온 나라를 뒤덮었다. 이런 와중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윤석열 내란의 핵심 인물로 의심되는 이완규 법제처장을 헌법재판관으로 지명하면서 국민의 분노를 폭발시키는 뇌관이 됐다. 뜨거운 논란의 중심에 선 두 인물, 이완규와 한덕수는 내란 세력의 끝판왕이다. 이완규라는 인물은 윤 전 대통령의 40년 지기이자 내란 사태의 핵심 의혹 가담자로 지목되고 있는데, 한덕수는 이를 아무렇지 않게 헌법재판관 자리에 앉히려 했다. 이건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다. 민주주의를 짓밟고 내란의 불씨를 헌법재판소에 심으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완규가 윤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내란 혐의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헌재 지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닌, 헌정 질서를 둘러싼 중대한 논쟁으로 번지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지난 2월4일, 국회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 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 이 법제처장이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발동한 비상계엄령 사태가 ‘서울의 밤’이라는 수식어로 빗대어졌다. 1979년 12월12일 일어난 군사 반란을 주제로 한 영화 제목인 <서울의 봄>을 인용한 것이다.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이라는 배우 황정민의 대사처럼 쿠데타에 성공한 전두환과 노태우는 후손들과 함께 눈감기 직전까지 호사를 누리다 생을 마감했다. ‘12·12 사태’의 진압군으로 저항한 장태완 소장은 본인뿐 아닌 가족들도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다. 장 소장의 아버지는 아들의 고초를 비관하며 이듬해인 1980년 4월 별세했고, 1982년 서울대학교 자연대학에 입학한 장 소장의 아들은 그해 실종돼 칠곡군 야산서 변사체로 발견됐다. 권력의 잔혹함 장 소장은 생전에 “12·12 군사반란을 막지 못한 국민의 죄인이자 가족 3대를 망친 가문의 죄인”이라고 진상규명을 위해 평생을 싸우다 지난 2011년 숙환으로 사망했다. 장 소장의 부인도 다음 해 자신의 아파트서 투신해 생을 마감했다. 12·12 당시 총격전으로 사망한 김오랑 소령의 부인 백영옥씨는 충격으로 시신경 마비 증세가 심해지면서 결국 앞을 못 보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
Q. 실화 기반의 <서울의 봄>은 어떻게 다룰려고 했는지? 어떤 걸 말하기 위해 포인트를 잡았나? 김성수 감독 : 어떻게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19세 고3 때 집이 한남동이라 육군 참모총장이 납치될 때 그 총격전을 들었어요. 총소리 듣고, 또 바로 앞까지 가서 들었는데, 그 땐 정말 무슨 일인지 알 수가 없었어요. 왜냐면 굉장히 오랫동안 꽁꽁 숨겨져 있던 일이었고, 나중에 30대 중반이 돼 한 16년 지나서 알게 됐을 때 많이 당혹스럽고 놀라웠어요. ‘이렇게 쉽게 우리나라 군부가 무너져 내렸나? 그것도 불과 하룻밤 사이에?’ 이런 놀라움과 의구심이(들었죠). 벌써 제가 그 총소리를 들었던 겨울밤으로부터 44년이 지났는데…계속 마음속에 의구심이라는 게 있었고… 대체 ‘그날 무슨 일이 있었길래 그날의 사건이 한국 현대사에 어떤 운명적인 전환점이 됐나?’ 이런 것들이 저한테는 뭐 일종의 화두같은 거였던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오래된 숙제를 이 영화로 이렇게 여러분들에게 보여드린다고 생각하고 있고요. 저는 인생에서 중요한 순간이 되면 우리가 각자 자신의 생애와 가치관 및 세계관으로 결정과 판단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79년도 12월12일로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