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1 16:43
1930년대 서울 조선에 재력가라고 불리던 한 남성이 있었습니다. 재산은 총 6000억원(현재의 원화 가치).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유산이었습니다. 하지만 어린 청년이 감당하기엔 너무나 많은 돈이었습니다. 일본에 붙어 친일파로서 자신의 재산을 몇 배로 늘리며 대대손손 부유함을 누릴 수도 있었지만, 이 청년은 자신이 짊어진 무게가 크다는 것을 알고 스승이었던 독립운동가 오세창 선생에게서 올바른 사용에 대한 답을 얻습니다. “우리는 꼭 독립하네.” “어느 나라든 문화가 높은 나라가 낮은 나라에 영원히 합병된 역사는 없고.” “이것이 바로 문화의 힘이라네.” “일제가 방법을 가리지 않고 우리의 문화재를 약탈하려는 이유가 여기 있네.” 이 이야기를 듣고 누가 봐도 낡아빠진 골동품을 말도 안 되는 금액에 사들였습니다. 이걸 본 사람들은 그런 그를 바보라고 손가락질했습니다. 일제강점기 한 해에 수만점의 문화재가 도굴되어 해외로 팔려 나가던 우리의 암흑기였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조선 최고의 재력가 청년 전형필의 문화재 수집이 시작됐습니다. 그는 누구도 거들떠보지도 않는 골동품부터 시작해 반 강제적으로 해외로 팔려나갈 문화재를 제시된 금액이 얼마가 됐든 몇 배의 금액으로 사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가 선정한 2023년 한국의 자산가 순위를 공개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위에 올랐다. 집계된 재산은 12조8000억원. 처음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10조5500억원)을 제쳤다. ⓒ뉴시스 <parksy@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