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11 10:38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국내 유권자 10명 중 6명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굴욕적인 회담이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온라인 매체 <뉴스토마토>가 미디어토마토에 의뢰해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61명을 대상으로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설문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60.2%가 ‘굴욕적 회담’이라고 응답했다. ‘성공적인 회담’이라는 응답은 34.1%, 잘 모름은 5.7%였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하고 전 세대서 ‘굴욕적 회담’으로 평가했는데 특히 40대에선 무려 70% 이상이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지역별로도 충청권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서 ‘굴욕적 회담’이란 평가가 높았다. 주목할만한 부분은 윤석열정부의 핵심 지지층이자, 보수 진영의 심장부로 불리는 TK(대구‧경북)‧PK(부산‧경남) 등 영남마저도 절반 이상, 중도층에서도 60% 이상이 ‘굴욕적 회담’이라고 답했다. 강제징용 구상권 청구 문제가 제대로 매듭지어졌는지에 대해선 ‘차기 정부서 원점 재검토해야 한다’(62.0%), ‘구상권 행사하지 않겠다는 대통령 약속 지켜져야’(32
정부가 제3자 변제 방식을 토대로 하는 일본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보상 해법안을 발표했다. 유족과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피해 당사자인 김성주, 양금덕 할머니가 국회에서 열린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김성주 할머니는 “윤석열은 한국 사람인가, 조선 사람인가, 어느나라 사람인지 모르겠다”고 울분 섞인 발언을 한 뒤 눈물을 훔쳤다. 국내 기업 돈으로 배상금이 지급되며, 가해자인 일본 측의 어떠한 사과도 받지 못해 후폭풍은 계속 될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7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시국선언 중 김성주 할머니가 눈물을 닦고 있는 모습. 글·사진=고성준 기자 joonko1@ilyosisa.co.kr
[일요시사 취재 1팀] 김민주 기자 =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 이 말은 변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산과 강도 세월이 지나면 변한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77년이 지나면 무엇이 바뀔까. 일본은 77년 전 한국인을 강제징용했지만, 사과나 보상은 없었다. 윤석열정부는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나, 실속 없는 졸속 민관 협의회가 구성될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일 관계가 개선되기 위해 선행돼야 하는 일이 있다. 바로 일본이 일본 치하 강제 노역 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하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관협의회가 지난 4일 공식 출범했다. 대화 시작 외교부는 이날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조현동 1차관 주재로 강제 동원 피해자 측 대리인과 학계·언론·정재계 인사 등 12명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협의회 첫 회의를 열었다. 첫 회의에서 구체적 해결 방안이 언급되진 않았지만, 관계자는 “대화의 자리가 문제 해결의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언급하진 않았다. 피해자 측은 일본 가해 기업의 유감 표명이 있어야 한다며 일본의 가해 기업과 직접 협상할 수 있도록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