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침에 눈뜨면 가장 먼저 하는 일, SNS를 열어보는 일이다. 밤새 세상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내 친구들이 무엇을 했는지를 확인한다. 팔로하는 친구의 새로운 게시글이 올라와 있으면 주저하지 않고 ‘좋아요’를 눌러준다. 그리고 내 게시글에 ‘좋아요’가 얼마나 달렸는지도 확인한다.
문제는 이 ‘좋아요’ 숫자가 그날 하루의 기분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우리는 남에게 주는 ‘좋아요’든 남에게 받는 ‘좋아요’든 이런 지표에 중독돼있다. 마치 ‘엄지척’ 말고 딱히 쓸모를 몰랐던 엄지의 혁신적인 기능(‘좋아요’를 누르는 것)을 발견한 듯이 말이다. ‘좋아요’를 누르는 엄지에는 인정 욕구가 숨어 있다.
우리는 이제 어떤 행위, 특히 성과를 냈을 때 실시간으로 칭찬받고 인정받는 세상에 살고 있다. 지금의 10대 아이들은 태어나는 순간조차 ‘좋아요’를 받았고, 삶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숫자 지표로 응원받거나 칭찬받았다. 소셜 미디어 관련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좋아요’를 받으면 자존감이 높아지는 경험을 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존감은 자기긍정감이다. 그래서 자기긍정감을 점점 더 느끼려다 보니 중독성을 띤다. 하나의 성과를 통해 자기긍정감을 느끼고 났을 때, 이후에 또다시 자기긍정감을 느끼려면 그보다는 조금 더 큰 성과를 올려야 한다.
성과 지향적인 사회서 자기긍정감을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 비인지적인 뇌를 활용해서 나만의 개성과 자기존재감이 충만한 인생을 살 수 있다.
전국서 보험 영업 1위를 하는 세일즈맨이 있다. 그는 ‘언제나 실적이 좋아야 한다’ ‘영업부서 1등을 해야 한다’는 자기긍정감의 굴레에 빠져 최고의 실적을 올리는데도 항상 초조하고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하지만 자기존재감을 기르고 나서 비록 전국 1등은 아니지만 적당히 좋은 성적으로 즐겁게 일하고 있다.
시험서 백점을 맞는 것보다, 프로젝트 성공으로 연봉이 오르는 것보다, 영업 실적 전국 1위를 달성하는 것보다 내 심장을 뛰게 하는 무언가가 내 안에 있다. 이제는 그것을 찾아야 할 때이다. 매슬로의 욕구 5단계 이론서 맨 꼭대기에 있는 ‘자아실현 욕구’다. 자아실현 욕구는 절대 외적인 성과로는 충족할 수 없다. 나 자신이라는 존재에 만족할 때 비로소 채워진다.
어릴 적 놀이터서 친구들과 하루 종일 모래 장난을 하고 그네와 미끄럼틀을 타고 집에 돌아와서 뿌듯하게 잠들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흙장난은 어떤 성과도 없는 그저 놀이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는 어떤 성취를 이룬 것보다 더 행복하고 흡족한 기분을 느꼈다.
저자는 자기존재감을 느끼면 일도 얼마든지 즐기면서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미 내 안에 있는 자기존재감을 느끼기만 하면 현재 내 모습도 충분히 괜찮고, 내 삶도 남부럽지 않다고 말이다. 남들의 일상에 ‘좋아요’를 누르던 하루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고 진정으로 만족감을 느끼면서 ‘좋아요’ 하나를 꾹 눌러보자.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