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지나치게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인공지능의 발달로 나라별 인구부터 실시간 환율과 주가까지 원하는 정보는 언제든 쉽게 손에 넣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를 얻었다고 해서 모두 머릿속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많이 받아들인 만큼 쉽고 빠르게 잊힌다. 언제든지 친구에게 전화를 걸 수 있고 원하는 목적지에 찾아갈 수 있지만, 전화번호를 외우거나 목적지를 찾아가는 길은 머릿속에서 사라진 지 오래다. 수많은 정보가 연결되고 저장되지만 나의 지식으로 쌓이지 않는 지금, 지식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약 4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설립된 최초의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쳤을까? 놀랍게도 지금과 다르지 않았다. 연필 잡기와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며, 학년이 오르면 더 어려운 지식을 배워야 했다.
역사적으로 침략자들은 정복을 위해 침략국의 문화를 말살시켰으며, 그 시작은 도서관 파괴였다. IS는 이라크를 침략하면서 가장 먼저 모술도서관을 파괴했으며, 스리랑카의 자프나도서관, 폴란드 국립도서관 등 세계적인 도서관들은 모두 비극을 만났다.
문자가 탄생한 이래로 우리는 지금껏 알려진 것과 학습된 것, 가르치고 토론하고 이의를 제기하고 논쟁하고 결정할 수 있는 수많은 것을 수집하고 보관하고 보호할 방법을 모색해왔다. 이런 결과로 책이 탄생했으며, 책은 도서관에 보관됐다. 지식은 오래전부터 귀한 것으로 단순히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하게 확실히 보관해야 했기 때문이다.
사이먼 윈체스터는 이 책에서 지식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져 어떻게 전승됐는지 이야기한다. 경험을 통해 습득하는 지식을 시작으로 학교의 역할과 문자의 발명으로 탄생한 책, 이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도서관, 백과사전과 정보 검색의 탄생, 참과 거짓인 지식과 인간의 지식 노동을 대신해주는 현대의 인공지능까지 인간의 앎과 지식 대한 모든 것이 담겨있다.
또한 이 책은 지식의 연대기기도 하지만, 언론과 가짜 뉴스, 프로파간다의 연대기기도 하다. 이라크를 세계의 적으로 만든 걸프전쟁을 확전시킨 것은 쿠웨이트의 가짜 피해자 ‘나이라’의 증언을 기획한 미국의 ‘힐앤놀튼’이라는 홍보 대행사였다.
세계를 사로잡았지만 많은 사람의 인생을 바꾼 사진들 뒤에는 조절된 의미가 존재했다. 사진이 주는 충격에는 이야기의 맥락이 생략되었기 때문이다.
천안문 사건 등 사회와 언론이 가담해 잘못된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가짜 지식의 연대기 속에서 우리는 안다는 것에서 더 나아가 무엇이 진실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된다.
20세기 가장 뜨거운 현장의 목격자였으며, 21세기 변화하는 역사의 증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온 저자는 박식한 입담과 유려한 문체로 우리에게 지식의 정의와 의미, 그에 따른 다채로운 이야기를 전한다. 지식의 가치가 사라져가고 있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가 던지는 질문을 따라가다 보면 지혜의 회복이라는 궁극적인 해답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