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최윤성 기자 =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의 주요 서적이 매진 행렬을 이어가는 가운데 중고 서적이라도 찾기 위해 헌책방까지 사람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한강의 영향인지 청계천 헌책방 거리를 찾는 사람은 늘었지만, 점주들은 마냥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온라인 서점과 기업형 중고서점의 등장에 오랜 시간 명맥을 이어왔던 헌책방 거리는 시대 변화에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최근 소설가 한강이 한국 작가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으면서 국내외 서점과 도서관에 ‘한강 신드롬’이 몰아쳤다. 시민들이 한강의 책을 구하기 위해 아침 일찍부터 나와 줄을 서는 오픈런 상황까지 벌어졌다. 온·오프라인 서점을 가리지 않고 한강의 작품이 연일 품절 행진을 이어가면서 중고 서적이라도 찾으려는 이들의 발걸음이 헌책방까지 이어지고 있다.
뒤안길로
서울 중구 지역 ‘청계천 헌책방거리’에 찾아오는 손님들이 늘기는 했지만, 점주들은 마냥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한때 신학기 시즌이 되면 전공 서적을 사러 온 대학생과 명저를 구하러 온 손님들로 북적거렸던 거리는 온라인 서점과 기업형 서점의 등장에 사람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
이번 한강의 인기에 힘입어 그동안 한산했던 거리가 전처럼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란 예상과 달리 <일요시사>가 만난 점주들의 속사정은 달랐다.
지난 14일 오후 1시께 도착한 청계천 헌책방 거리 맞은편 오간수교 횡단보도는 신호를 기다리는 시민들과 외국인 관광객으로 북적거렸다. 신호가 바뀌자 한두 명씩 줄지어 횡단보도를 건너가고 있었지만, 수많은 사람 중 헌책방 거리로 들어서는 이는 불과 5명 정도였다.
거리 초입 켜켜이 쌓인 책들 사이로 점주들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드문 이어지고 있었으나 책에 관심을 보이는 이들보다 그냥 지나치는 행인이 더 많았다. 거리를 약 30분가량 지켜봤지만, 상점 입구에 쌓인 책들을 두리번거리거나 책을 펼쳐보는 손님 외에 책을 구매하는 손님은 찾아볼 수 없었다.
입구서 책을 펼쳐보고 있던 A씨는 “여기를 자주 오지는 않는데, 옛날 느낌에 향수 때문에 이번에 오게 됐다”며 “책은 주로 온라인을 이용해서 구매한다”고 말했다.
현재 헌책방 거리서 생존한 책방은 14곳뿐이다. 한때 70여곳이 운영하던 것과 비교하면 초라한 수준이다.
이곳에서 20년 넘게 헌책방을 운영해 온 B씨는 “한강 덕분에 손님이 늘긴 했는데, 처지가 크게 달라진 건 없다”며 “요즘 찾아오는 손님마다 한강 책 있냐고 물어보는데 그것만 찾고 다른 건 찾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인터넷이 등장하고 나서부터는 오는 사람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다른 서점서 안 파는 거 다 갖다 놓고 했는데도 사람들이 여기서 찾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손님 늘었어도 달라진 건 없어”
“인터넷 등장에 손님 절반 줄어”
인근서 헌책방을 운영하는 C씨 사정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한강의 인기가 식으면 전처럼 사람이 없을 것 같다”며 “기존에 많으면 3~4명 정도 왔는데, 최근에 늘긴 했어도 6명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확실히 인터넷이 등장하고 나서부터는 매출이 줄었다”며 “오래 장사했지만 요즘 벌이가 좋지 않아서 조만간 접을까 고민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이날 만난 점주들은 2000년대 초반까지는 거리에 손님들로 가득했지만,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책을 구매하려는 손님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졌다고 입을 모았다.
이후 기업형 대형 서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손님은 얼마나 될지 비교해 보기 위해 종로구에 위치한 알라딘 중고서점과 교보문고 광화문점을 찾았다. 오후 2시께 방문한 알라딘 종로점에서는 손님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앞서 찾은 청계천 헌책방 거리와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알라딘 중고서점엔 15~20명가량 손님은 책을 고르거나 보고 있었다. 이곳에서도 30분가량 지켜본 결과 손님들이 급격히 빠지거나, 한산해지는 분위기는 아니었다.
매장 밖을 떠난 이후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새로 매장을 찾은 손님들로 다시 채워지는 식이었다. 해당 매장 직원 D씨는 “평일에 평균적으로 손님이 10명서 15명 정도 있고 시간별로 방문하는 손님까지 포함하면 더 많다”며 “한강의 수상 소식 다음날부터 책을 찾는 사람들이 몰렸는데, 지금은 책이 다 품절돼 매장에 있는 손님이 이 정도”라고 말했다.
해당 지점서부터 도보로 15분 거리에 있는 교보문고 광화문점도 찾았다. 매장 입구 회전문을 밀고 들어서자 세기도 힘들 정도의 인파로 가득했다. 매장에 들어선 이후에도 회전문을 통해 손님들이 줄지어 들어오고 있었다. 매장 밖으로 나가는 손님보다 들어보는 손님이 더 많을 정도였다.
특히 매장 내 손님들은 한 손에 한강의 책을 들고 돌아다니며 다른 책을 찾고 있었다. 한강의 책 외에도 코너별로 책이 놓인 곳은 몇 부씩 가져간 흔적도 보였다.
보는 것 외 구매 못 봐
“오는 사람만 이용한다”
매장 내 진열된 책만 본다면 청계천 헌책방 거리에 있는 책 수와 비슷해 보였지만, 방문하는 손님들의 수는 크게 차이가 났다. 이후 매장 계산대로 발걸음을 옮기자, 무인 키오스크까지 책을 구매하려는 손님들로 줄을 이어 기다리고 있었다.
서울 모 지역서 출판사 직원으로 근무한다는 E씨는 “한강 책을 구매하기 위해 오게 됐다”며 “요즘 사람들만 봐도 온라인이나 이런 기업형 대형 서점서 많이 산다”고 말했다.
이어 “청계천 헌책방 거리는 예전에 많이 갔는데, 지금은 안 간다”며 “그곳을 안 간지도 한 몇 년 됐고, 인터넷이 없던 시절에 가던 사람만 이용하는 곳이 됐다”고 말했다.
헌책방 거리의 침체는 알라딘·교보문고·예스24 등 기업형 대형 중고서점이 본격적으로 중고 책 시장에 진출하면서다. 이들의 온라인 상거래 활성화와 오프라인 매장 확대로 헌책방 거리는 잊힌 거리로 전락하게 됐다.
오랜 시간 명맥을 이어왔던 헌책방 거리는 시대의 변화에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서울시는 헌책방 거리가 미래 세대에게 전할 가치가 크다고 판단해 지난 2013년 청계천 헌책방 거리를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하고 보전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헌책방 시장은 2000년대 들어 눈에 띄게 위축됐다. 독서를 하는 국민의 수도 매년 감소하는 추세로, 중고 책 시장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활성화 기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3 국민 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종이책을 한 권 이상 읽은 성인은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성인의 독서 장애 요인은 ‘일(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책 이외의 매체를 이용해서’ 등으로 파악됐다. 이에 정부는 국민독서문화증진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올해는 관련 예산이 59억8500만원 상당 삭감됐다.
<yuncastle@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