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타나베 부인’(Mrs. Watanabe)이란 이름은 30년 세월의 저금리 환경에 적응하려는 일본인을 상징한다. 경기침체(Recession)는 물가하락(Deflation)을 이끌고 낮은 물가는 경제를 더 끌어내리는 악순환을 겪었다.
일본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경로에 빠져들었다는 것은 은행에 돈을 맡긴 국민이 이자를 받기는커녕 오히려 돈 보관비까지 물게 된 것과 마찬가지다.
한 푼의 이자 수입이 절실한 일본인이 금리 관점으로만 엔화를 바라본다면 엔화는 돈도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다른 나라의 돈, 그 중에서도 단연 미국 달러화다. 일본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계속 확대돼 5.5%에 이르렀다. 와타나베 부인 입장서 캐리트레이드는 더 나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 그 자체였을 것이다.
‘엔캐리트레이드’라는 이름의 투자 방식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크게 끼쳤다. 1990년대 후반, 국내 외환위기 때, 외화대출 중에서도 특히 엔화 대출은 악명이 높았다.
눈떠보니 하루아침에 대출금이 두 배, 세 배로 커지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던 달러/엔 환율은 떨어지고 심각한 경제위기를 맞은 우리나라의 원화는 달러당 800원 선에서 2000원 위로 뛰어 올랐다. 필자의 기억이 틀리지 않다면 당시 달러당 원화 환율 최고점은 2400원을 넘겼다.
썰물처럼 우리 자본시장서 빠져나간 엔화는 그 뒤로도 틈틈이 한국시장을 노크했다. 일본 돈이 본격적으로 미국 자본시장에 침투하게 된 건 지난 2008년 미국 금융위기 때였다.
위기의 미국은 비행기서 돈을 뿌렸고 일본은 미국이 발행한 채권을 미친 듯이 사들였다.
엔화는 미국 주식시장을 벌겋게 달구기도 했고 덕분에 이자에 굶주린 와타나베 부인은 미국 시장서 꽤 짭짤한 수익을 올렸다. 누이 좋고 매부 좋은 행복한 시절이 영원하다면 아마도 이 같은 칼럼은 쓰게 되지도 않았겠지만, 모든 일에는 그 끝이 보이는 법이다.
캐리트레이드를 위해 엔화가 일본을 빠져나가면서 일본 돈의 가치는 평가절하될 수밖에 없었다. 일본으로 향하는 관광객이 늘었고 수출 증가 효과를 누렸던 건 환율 덕분이었다.
역사상 유래 없이 길어진 디플레이션과 저금리 환경서도 ‘아베노믹스’가 힘을 받는 것처럼 보였던 이유다.
하지만 일본이 영원히 제로 금리를 유지할 수는 없으리란 전망은 시간문제일 뿐 현실이 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일본은행이 드디어 제로(0%) 이하 금리의 탈출 신호탄을 쐈다. 때마침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하를 강력히 예고하고 나섰다. 해외로 흩어진 엔화 투자자금이 다시 일본으로 돌아올 것이란 견해에 이견은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
1980년대에 기록한 달러당 엔화 환율의 역사적 고점(엔화 약세)은 280엔에 근접했지만 ‘플라자 합의’ 이후 지난 1995년도엔 달러당 80엔을 위협할 정도로 강세로 돌변했다.
2010년대 초반엔 75엔선까지도 깨질 것을 우려했다. 지금 달러 대비 엔화 환율은 150엔 수준이고 이를 역사적 관점서 본다면 그다지 높지도 낮지도 않은 중간쯤에 있다. 앞으로 몇 년 뒤엔 반 토막이 나거나 두 배로 뛰어도 그다지 이상하지 않다는 얘기다.
시장 참여자 수백만, 수천만명의 의견을 다 들어보지 않는 한 확증적이진 않지만 얼마 전 세계 증시 동반 폭락 원인이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위험 때문이었다고 보는 분석도 있다.
얼마나 많은 엔화 투자금이 미국을 비롯한 해외로 나갔는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니 앞으로 얼마나 많은 엔캐리 포지션이 청산될지 가늠하기는 더 어렵다.
와타나베 부인과 엔화의 운명, 그리고 세계 경제의 미래 흐름을 예측하긴 어렵지만, 낙관적이기보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사건의 전말이 뒤엉키고 본질적 원인이 모호해진 상황을 설명하는 ‘붉은 청어’(Red Herring) 현상으로 일본 경제의 난맥상을 해석하기도 한다.
파생 상품화된 형태로 해외상품시장과 자본시장에 투자된 엔화 자금의 규모는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 세계 금융시장의 위기가 다시 온다면 그 이유가 누구 잘못 때문인지는 몰라도 파생상품이 관련됐을 가능성은 매우 크다.
리먼 사태로 시작된 미국 금융위기도 역시 파생상품이 주인공이었다.
일본의 진짜 위기는 화산이나 지진이 아니라 파생화돼 전 세계에 침투한 와타나베 부인의 돈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이유다.
엔캐리트레이드 청산이 세계 경제위기의 서막을 이제 막 연 것이라면 진짜 공포는 아직 시작되지도 않은 셈이다. 엔화의 미래가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지 깊은 고민이 필요한 대목이다.
[조용래는?]
▲ 전 홍콩 CFSG 파생상품 운용역
▲ <또 하나의 가족>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