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배우 이정재가 짓는 미소에는 대체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 그 미소 때문인지 작품 내에서 그가 씻을 수 없는 악한 행동을 할 때 조차도 묘한 설득력을 갖곤 했다. 그런 그가 신작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에서는 웃음기를 싹 뺐다. 사냥 전, 사냥개의 눈빛만을 장착해 광기의 극단에 있는 인물로 변신했다. 미소 한 번 짓지 않고 파괴적인 악랄함을 표현한 이정재를 만났다.
영화계에는 멋있는 악역이 좋은 작품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멋있는 악역이 만들어질 때 비로소 선한 인물에게 힘이 생기고, 그 힘은 수작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홍원찬 감독의 신작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이하 <다만악>)도 같은 궤에 있다. 악역의 매력이 영화의 수준을 높인다. 악역은 이정재가 맡았다.
사이코패스
극중 이정재가 연기한 레이는 전사도 없고, 대사도 거의 없는 편이다. 영화는 그가 왜 이렇게 됐는지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사람의 내장을 꺼내는 악취로 백정이라 불렸던 인간이자, 자이니치 야쿠자인 ‘레이’는 인상부터가 남다르다. 목에는 긴 타투가 있고, 눈은 항상 약에 취한 듯 미쳐 있다. 사람을 죽이는 것이, 그에게는 콧노래가 흐르는 즐거움이다.
그런 레이가 친한 야쿠자 형님을 죽였다는 이유로 인남(황정민 분)을 매섭게 쫓는다. 형에 대한 복수심은 애초에 중요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저 살인을 즐기는 살인마일 뿐이다.
아름다운 미소를 가진 이정재의 변신은 성공적이다. 워낙 뛰어난 연기력 덕에, <다만악>은 감독의 작품이 아닌 배우의 영화로 평가된다. 실제로 이정재는 배우 이상의 영역에 관여했다.
“시나리오에는 레이의 외형이나, 광기가 잘 표현되지 않았다. 레이에 대한 설명이 적어서, 상상을 가미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우 화려한 인물로 방향을 잡았다. 레이와 등장과 퇴장에도 고민이 많았다. 우리가 보지 못했던 폭력성과 서늘함이 있어야만 관객이 공감할 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개인 스타일리스트와 함께 타투나 의상과 같은 스타일링을 잡아갔다.”
이정재가 만든 극단의 사이코패스
“생각하는 것까지 새로워야 한다”
이렇게까지 작품에 관여하기는 처음이다. 감독 앞에서 PPT를 했다고도 한다. 그 노력은 책임감으로 돌아왔고, 다시 최고의 연기로 이어졌다.
“배우들이 다 비슷할 것이다. 남녀노소 배우라면 모두 강렬한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를 연기하고 싶을 것 같다. 시나리오만 보고 레이에게 그런 매력이 가능하다는 것을 느꼈다.”
레이를 설명하는 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백정으로 불린 사나이’ 정도로 현재의 미친 광기만 있을 뿐이다. 이런 경우 인물에 공감이 되지 않기 마련인데, 레이는 설득력을 갖는다.
“레이에 대한 많은 설명은 필요 없다고 생각했다. 그가 왜 인남을 죽이려 하는지 목적은 관객이 몰라도 된다고 여겼다. 그냥 ‘쟨 저럴 것 같아’면 됐다. 그걸 첫 신에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친한 형이 죽은 건 레이에게 사람을 죽일 명분이 생긴 것에 불과하다. 장례식장서도 조문을 표하는 느낌보다는, 확인 행위에 가까웠다. 그렇게 방향성을 잡으니 수월했다.”
영화 <신세계> <관상> <암살> <신과 함께> <사바하>, JTBC <보좌관>. 그의 필모그라피는 매우 훌륭한 편이다. 대부분 대중성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다만악>에서의 연기는 전작들의 위상을 뛰어넘는다. 타겟을 쫓는 집요함과 짐승같은 면모, 눈을 돌리는 것만으로도 드러나는 광기는 잔상이 깊다.
“난 사실 눈을 돌리려고 한 적이 없다. 무언가를 바라본 것인데 그렇게 나왔다. 사실 레이는 사물이나 공간을 보더라도 남들과 다를 것 같았다. 신경질과 히스테릭함이 전제된 인물로 생각했다. 한 번은 홍경표 촬영감독님이 ‘어우’라며 놀라더라. 눈을 돌리고 있는 장면을 본 뒤였다. 의도는 아니었지만, 내가 생각한 의도와는 맞아떨어졌다.”
그의 말을 들어보면, 이미 레이가 이정재의 안에 장착이 됐던 것으로 해석된다. 완전히 그 인물에 녹아든 셈이다. 최동훈 감독은 가끔 첫 촬영 전에 완전히 그 인물이 돼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고 했다. <타짜> ‘아귀’(김윤석 분)와 <암살>의 ‘염석진’(이정재 분)이 그 예다. 홍원찬 감독 역시 이정재가 레이를 장착하고 나타났다고 했다.
<다만 악에서…> 성공적 변신
웃음기 싹 빼고 악랄함 표현
“그렇다니 감사하다. 첫 번째로 어떻게든 새로움을 보여줘야 한다는 생각은 있다. 웬만해서는 다시 보지 못한 캐릭터여야 관객들로부터 호감을 얻는다. 기시감이 강하면 호감을 얻기 쉽지 않다. 근데 단순히 표피적으로 보이는 새로운 것은 두 시간을 끌고 가기엔 힘이 벅차다. 생각하는 것 자체가 신선해야 한다. 그것을 디뎌내는 건 배우의 몫이다. 생각마저도 새로운 인물을 빚어내고, 외형적인 것마저 잘 표현된다면, 좋은 평가가 나올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
레이의 또 하나의 매력은 절제다. 굉장한 광기가 드러남에도, 감정이 과잉으로 느껴지는 지점이 없다. 그는 과함이 언제나 모자름만 못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목소리도 이리저리 바꿔봤는데, 다 과하더라. 그래서 가장 담백한 톤을 잡았다. 그리고 행동도 많지 않았다. 되도록 간결하게 했다. 넘쳐버리면 오그라든다. 원래 무서워 보이는 사람이 가만히 있으면 그게 더 무섭다. 되도록 넘치지 않으려고 신경썼다.”
인물이 가진 사고의 새로움과 절제의 미학을 완전히 깨우친 이정재는 ‘대체 불가한 배우’의 위상에 올라선 듯하다. 인물이 화려하게 원색적이든 현실적으로 무채색에 가깝든, 그는 언제나 설득력이 있는 얼굴을 만들어낸다.
캥거루족
그런 그가 또 다른 변신을 준비 중이다. 현재 촬영 중인 <오징어게임>에서는 부모에게 기대어 사는 캥거루족으로 나온다. 엄마 지갑서 돈을 훔치는 나약한 인물을 표현한다. 광기에 사로잡힌 사이코패스서 마마보이에 가까운 사회 부적응자까지, 언제나 연기로 확신을 주는 이정재이기에 변신 역시 반갑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