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10 01:01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통상임금 문제로 임단협이 난항에 빠진 가운데, 노조 측이 28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오는 29일 조정 시한까지 합의에 실패할 경우, 오는 30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할 전망이어서 출퇴근을 비롯한 서울 시민들의 불편이 우려된다. 서울시와 시내버스 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이날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그간 양측은 9차례의 교섭을 진행하고 지난 23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서 1차 조정회의를 가졌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날 조합원 투표서 쟁의행위 안건이 가결되고 2차 조정일인 29일 자정까지도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노조는 30일부터 준법투쟁이나 파업에 합법적으로 나설 수 있다. 이는 노동조합법서 규정된 쟁의권 행사의 절차를 이행했기 때문이다. 앞서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해 3월에도 노사 갈등으로 인해 전체 시내버스 7382대 중 7210대(97.6%)가 약 11시간 동안 운행을 중단했던 바 있다. 이번 노사 협상의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 적용 범위다. 통상임금은 ‘소정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을 말한다.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수당·퇴직금 규모가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남녀공학 전환 반대라는 명분 아래 진행된 동덕여대 ‘수업 거부’ 사태가 재학생들의 잇따른 내부고발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앞서 지난 24일, 최현아 동덕여대 총학생회장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서 “투표에 학생 대부분이 참여했고, 거의 모두 수업 거부를 원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재학생들의 의견 수렴 과정의 부실성을 간과한 발언인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주간조선> 단독 보도에 따르면 동덕여대 학생들의 수업 거부 결정 과정은 비민주적이고 일방적인 방향으로 진행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재학생은 <주간조선>과의 통화에서 “학과 차원서 수업 거부에 대한 의견 수렴 절차는 아예 없었다”며 “단지 수업 거부를 진행하겠다는 단과대학별 공지가 내려왔을 뿐”이라고 폭로했다. 심지어 일부 학과에서는 찬반 투표 시도가 있었지만, “당연한 것을 왜 투표하느냐”는 강경한 반발에 부딪혀 투표 자체가 무산된 경우도 있었다. 더욱 충격적인 부분은 동덕여대 총학생회 스스로도 이 같은 절차적 하자를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주간조선>이 확보한 지난 18일자 총학생회와 학생 간담회 속기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