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0.14 01:01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이보형 전 드론작전사령관이 물러난 건 지난해 5월이다. 임기를 다 마치지 못했다. 사실상 쫓겨난 거나 다름없다는 뒷말이 잇따랐다. 김용대 전 사령관으로 교체된 후 드론사는 수상한 보고 체계로 내부 불만이 쌓여갔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경호처장임에도 드론사 작전에 직접 개입했다는 의혹이 핵심이다. ‘북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은 이보형 전 드론작전사령관(소장)이 1년도 채 되지 않아 옷을 벗고 김용대 전 사령관이 임명되면서 본격화됐다. 군 안팎에서는 이 전 사령관이 물러난 게 경호처장이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입김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오영대 전 국방부 인사기획관이 지난해 초부터 드론사를 수차례 방문한 사실도 해당 의혹에 무게를 더한다. 여인형 추천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지난달 19일, 드론사 예하부대 A 전 여단장(대령)과 김 전 사령관 비서실 근무자 B 소령, 장호진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북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규명을 위해서다. 우선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과 김 전 장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평양 무인기 작전을 공모했다고 보고 퍼즐을 맞추는 중이다.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드론사는 합참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어떤 훈련이나 작전을 진행할 때는 김명수 합참의장이 허가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에서 김 의장은 배제됐다. 군 지휘 체계상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드론사의 평양 무인기 작전은 사실상 대북 작전이다. 사전에 공작 플랜을 짜야 한다. 군 정보본부가 알면서도 묵인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내란 특검(특별검사 조은석)팀은 드론작전사령부(이하 드론사)의 북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에 국군정보사령부(이하 정보사)가 가담한 정황을 확인했다. 사실상 ‘북풍 공작’을 준비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보사가 알았다면 상급 기관인 국방정보본부가 알았어야 한다. 다만 특검팀은 내란 비선으로 지목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이 계획을 주도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해 초 계획·실행 특검팀은 최근 국방과학연구소(이하 국과연) 관계자로부터 “지난해 여름 정보사에서 드론에 전단통을 달 수 있는지 문의했는데, 비슷한 시기에 드론사에서도 비슷한 문의를 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국과연 관계자는 “정보사에서 드론에 전단통을 달 수 있는지 문의를 해와서 ‘말도 안 되는 소리’라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성민 기자 = 12·3 불법 계엄 사태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민간인 신분임에도 정보사 안가서 군 간부들과 회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비상계엄 때 활동할 HID 요원 선발을 계획했다. 회의를 마친 노 전 사령관이 수시로 접촉한 이들이 있다. 탈북민 출신 휴민트들이다. 노 전 사령관이 실제 북풍 공작을 실행하려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계엄 전부터 회의를 진행한 데 중 한 곳이다. 탈북민 출신 휴민트도 연루돼있다.” 한 군 고위 관계자의 말이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주도한 이 모임의 장소는 대방아트센터로 알려진 국군정보사령부(이하 정보사) 중앙신문단 건물이다. 이들은 이곳에서 12·3 불법 계엄과 관련된 회의를 진행했다. 계엄 전 적극 회의 <일요시사>와 접촉한 복수의 군·정보사 관계자들은 노 전 사령관이 회의를 마치면 탈북민 출신 휴민트(Human Intelligence)와 접촉했다고 강조했다. 21세기의 대북 첩보는 HID뿐만 아니라 북한 사람과 탈북민이 휴민트로 활동하며 첩보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노 전 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