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7.31 01:01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뉴진스가 연일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소송 결과가 나올 때마다 입지가 좁아지는 모양새다. ‘뉴진스 엄마’로 알려진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도 당장 본인 앞가림이 급한 상황이다. 문제는 하이브를 때리는 악재가 이뿐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방시혁 의장도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아이돌 그룹 뉴진스가 ‘사면초가’ 상태에 빠졌다. 잇따른 법원 판결이 뉴진스를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 뉴진스는 소속사인 어도어가 제기한 소송에서 ‘완패’했다. 법원은 뉴진스 측에서 주장한 바를 단 한 건도 인정하지 않았다. 소송 결과가 전해지자 여론도 등을 돌리고 있다. 오너 리스크 지난 17일 서울고법 민사25-2부는 법원의 기획사 지위 보전 및 광고 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인용 결정에 대한 뉴진스의 항고를 기각했다. 법원은 지난 3월 어도어 측의 기획사 지위 보전, 광고 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을 전부 인용했다. 뉴진스는 이에 불복해 이의 신청, 항고 등을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는 “어도어가 뉴진스 멤버들에 대해 전속계약에 따른 매니지먼트사 지위에 있음을 임시로 정한다”며 “뉴진스 멤버들은 어도어의 사
국내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뉴진스는 단순한 내부 경영 분쟁을 넘어 글로벌 이슈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법원이 어도어와 뉴진스 사이에서 어도어의 손을 들어주었는데요. 뉴진스 사건, 시간순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2024년 4월22일 하이브는 민희진 대표가 어도어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시도를 발견하며 감사를 착수하고 곧바로 직무 정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이에 민희진은 회사의 뉴진스 베끼기가 원인이었다고 주장면서 어떤 투자자도 만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4월25일 하이브는 무속인과의 대화, 신규 레이블 논의 등 경영권 탈취 계획과 물증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민 대표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무속인은 지인일 뿐, 날조다”라고 주장합니다. 이때 방시혁 의장을 비롯해 “개저씨들, 맞다이로 들어와”라는 충격적인 발언도 하게 됩니다. 법적 공방으로 번지다 2024년 5월 민희진은 “주주 계약상, 5년 동안 대표직을 유지할 권리가 있다”며 대표 해임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합니다. 하지만 하이브는 “10억 이상 손해나 위법 행위 시 해임 요구 가능하다”라고 반박했습니다. 5월18일 뉴진스 멤버들이 직접 탄원서를 제출하며 사건에 본
굿이라도 해야 하나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골머리를 썩고 있다는 후문. 소속 아이돌 관련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민희진 사태로 정점을 찍은 줄 알았더니 BTS 멤버까지 사고를 친 상태. 무엇보다 뭘 해도 대중이 ‘조롱’하는 수준으로 이미지가 바닥을 찍은 상태서 개인 스캔들까지 터짐. 여러 모로 진퇴양난 수준이라고. 코로나 덮친 국회 코로나19 확산세 조짐이 심상치 않는 상황 속에서 국회 역시 보좌진의 코로나 확진 소식이 연일 들려와 의원실도 멘붕(멘탈 붕괴 중)이라고. 대부분의 의원실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오거나 감기 기운이 심해 병원 진료가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고 함. 의원실 자체적으로 자가키트를 검사해 코로나인지 아닌지도 확인하고 있음. 보좌진 사무실서 코로나 확진자가 여러명 나와 혼란을 겪는 의원실도 있다는 후문. 국회의장 수난 시대 극한으로 치닫는 국회 덕에 우원식 국회의장이 진땀을 빼고 있다고. 각오는 했다지만 개원식도 못 할 만큼 22대 국회는 그야말로 ‘최악’이기 때문. 어떤 이들은 “한발 물러서서 지켜봐야 한다”고 말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중립 기어가 웬 말이냐. 적극 개입해서 해결책을 내놔라”로 의견이 갈리는 모양. 오죽하면 차분하기로 유명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