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07 16:56
[일요시사 취재1팀] 김철준 기자 = 노소영 사수대의 마지막 보루인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도 결국 재판에 넘겨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에 대한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는 등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을 감싸다가 국민들의 눈살을 찌뿌리게 만든 결과다. 다른 노소영 사수대들이 법원에서 모두 처벌을 받은 만큼 박 대표도 중한 처벌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오랜 지인이자 측근으로 알려진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가 결국 재판에 넘겨졌다. 박 대표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동거인 김희영 티앤씨재단 이사에 관한 유언비어를 지속적으로 유포한 혐의를 받는다. 재판행 법조계 및 재계에 따르면 서울북부지검 형사1부(임유경 부장검사)는 지난달 21일 박 대표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박 대표의 주장이 다수의 유튜브,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확산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표는 2023년 6월부터 10월까지 자신의 유튜브 채널 ‘박영숙미래TV’와 블로그를 통해 “최태원 회장이 김희영 티앤씨재단 이사에게 1000억원을 증여했다” “자녀 입사를 방해했다”는 식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모두가 입을 다물면 없던 일이 된다고 생각한 걸까? 3개월짜리 시한부 공지를 홈페이지에 걸어놓고 ‘할 일을 다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통렬한 반성도,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도 전무하다. 보다 못한 미술사학계 원로 교수가 나섰다. 지난해 12월 김모 교수는 한국미술사학회에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박모 박사가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에 발표한 학술논문이 김 교수의 박사논문을 표절했다는 내용이다.(<일요시사> 1446호 ‘<단독> 한국미술사학회 표절 방관 의혹’) 깜깜이 회의 한국미술사학회가 구성한 연구윤리위원회는 표절 의혹에 대해 ‘연구부정 행위에 해당할 수 있으나 경미한 정도로 판단된다’는 최종 심의 결과를 내놨다. 그러면서 해당 내용을 <미술사학연구>에 명시하고, 10월31일부터 12월31일까지 3개월 간 홈페이지에 게시한다고 밝혔다. 그것으로 끝이었다. 박 박사의 학술논문에 우수논문상을 수여한 전 집행부나 학술논문을 피어 리뷰(동료 평가)한 3명의 교수, 박 박사가 학술논문을 작성하는 데 참고한 서울대 박사논문의 지도교수 등 책임론을 피할 수 없는 이들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