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6·3 조기 대선을 향한 국민의힘 대선 경선 B조 토론회가 ‘죽음의 조’라는 평가에 걸맞게 후보들 간 치열한 각축전으로 전개됐다.
지난 20일 서울 강서구 아싸아트홀서 열린 토론회서는 나경원·이철우·한동훈·홍준표 경선후보들이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문제를 놓고 격렬한 공방을 벌이며 한 치의 양보 없는 설전을 이어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책 공약 토론 후, 한 후보가 먼저 반탄파(탄핵 반대파) 후보들을 겨냥해 “비상계엄은 불법이었기에 막았다”며 공세를 이끌었다.
그러자 홍 후보는 “2시간짜리 해프닝에 실질적 피해는 없었다”며 “(윤 전 대통령이)정치적 책임을 지고 자진하야해야 했다”고 반박했다. 나 후보는 “한 후보의 내란 몰이 탄핵 선동이 오늘의 혼란을 초래했다”며 한 후보의 과거 행보를 강하게 비판했고, 이 후보는 “탄핵소추 자체가 잘못”이라며 한 후보의 경선 출마 자격을 의문시했다.
사퇴 압박도 이어졌다. 나 후보는 한 후보를 향해 “보수가 통합돼야 중도로 갈 수 있고 대선서 이길 수 있다”며 “보수 통합을 위해 한 후보가 대통령 후보를 그만두라”고 촉구했다. 이에 한 후보는 “저도 국민을 위해서 지금 이 상황서 꼭 필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 최선을 다하겠다”고 맞받았다.
홍 후보는 한 후보에게 “이번 선거 목적은 이재명을 잡을 사람을 뽑는 선거인데, 한 후보는 법무부 장관일 때 이재명을 못 잡아 넣어 사법적으로 패배했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있을 때는 총선서 참패했다. 이번에는 어떻게 하실 건가”라고 물었다.
이에 한 후보는 “계엄에 대해 떳떳하게 얘기한 사람이 저”라며 “윤 전 대통령과 이재명 후보를 같이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 저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홍 후보가 “배신자 프레임을 어떻게 벗을 것이냐”라고 묻자, 한 후보는 “국민을 배반하지 않기 위해 계엄을 저지한 것이다. 12월3일 당 대표로 제 입장이었으면 계엄을 막았을 것이냐. 아니면 대통령 잘한다고 했을 것이냐”고 되묻기도 했다.
그러자 홍 후보는 “나는 (당시) 대구시장으로 있었다. 가정을 전제로 그렇게 물어볼 것은 아니다”며 대답을 회피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후보들 간 인신공격성 네거티브 공세도 펼쳐졌다.
홍 후보는 한 후보에게 “내가 정치 대선배다. 어떤 말을 묻더라도 고깝게 듣지 말고 편하게 답해 달라”며 “‘청년의 꿈’(홍 후보 온라인 플랫폼)에서 꼭 질문해 보라고 해서 몇 가지 질문하겠다. 키도 크신데 무엇 하러 키높이 구두를 신느냐”고 물었다.
한 후보가 “그런 질문 하시는 것 보면 (질문한 사람이) 청년이 아닌 것 같다”고 맞받아치자 홍 후보는 “생머리냐, 보정 속옷을 입었느냐는 질문은 유치해서 안 하겠다”고 응수했다. 다시 한 후보는 “유치하다”고 냉소했다.
한 후보의 당 대표 시절 이른바 ‘당게(당원 게시판) 논란’에 대해선 나머지 3인 후보들이 협공을 펼쳤다.
나 후보가 홍 후보를 향해 “우리 당 댓글 게시판 논란을 알고 있느냐”고 묻자, 홍 후보는 “경찰서 결론 낸 거 같은데”라고 응대했다. 이 후보는 “박근혜 탄핵 때 적폐 청산해서 보수가 거의 궤멸되다시피 했는데 그 장본인이 한 후보”라며 “그때 칼춤 추고 ‘화양연화’(가장 아름답고 찬란했던 시절)라고 즐긴 사람”이라고 겨냥했다.
홍 후보가 “지난 당 대표 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명태균에게 여론조사 조작을 두 번이나 당했는데 억울하겠다”고 ‘명태균 논란’에 대해 나 후보에게 공격하자 그는 “홍 전 시장이 명태균 사건으로 계속 엮이니까 이 기회에 털어보려고 이 말을 꺼낸 것 아니냐”고 응수했다.
외교·안보 정책을 두고는 4인 후보 모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협상을 강조하며 차별점을 어필했다.
나 후보는 백악관서 북미 종전 선언을 막은 경험을, 홍 후보는 남북 핵균형을 통한 안보 실현을 내세웠다. 한 후보는 반도체·원전 협상 카드를, 이 후보는 트럼프와의 신뢰 회복을 각각 강조했다.
이번 B조 토론회는 ‘죽음의 조’라는 평가답게 90분 내내 혈투가 벌어졌다. 계엄·탄핵 논쟁은 물론, 인신공격성 네거티브까지 겹치며 오히려 유권자의 피로감을 높였다는 평가도 나온다. 반면, 후보들은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이길 수 있는 유일한 인물”임을 강조하며 본선 경쟁력을 부각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토론회 후 당 내부에선 “역대급 자폭”이라는 비평도 나왔다. 전날 A조 경선 토론회를 치렀던 안철수 후보는 페이스북에 B조 토론회를 이같이 지적하며, “이게 당 대표 전당대회냐. 모두 대권은 포기하고, 당권만 노리고 나온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에 나 후보는 “적반하장도 유분수다. 내부 총질로 경선판을 흐리고 분열을 획책하려는 저의가 개탄스럽다”며 “남의 둥지에 알 낳고 다니는 뻐꾸기 그만하고 차라리 탈당해 안철수당 만들어 갈 길을 가라”고 반격하는 등 당 내 갈등도 노정됐다.
한편, 1차 경선 공식 일정이 마무리되면서 국민의힘은 21~22일 이틀간 후보자 8명을 대상으로 100% 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해 2차 경선 진출자 4명을 가려낸다. 2차 경선 결과는 22일 오후 발표 예정이다.
<jungwon933@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