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1 10:38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부산 해운대구 소재 데이트갤러리에서 김기린의 개인전 ‘안과 밖, 그리고 경계 위의 감각(Inside and Outside, and the Sensation upon the Threshold)’ 전시를 준비했다. 김기린은 단색화의 선구자이자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으로 불린다. 2021년 작고한 김기린은 미술가 가운데 드물게 인문학을 전공했다. 한국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뒤 프랑스에서 활동했다. 1961년 프랑스 파리 디종대학교에서 미술사 학사 과정을 시작으로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와 국립고등장식미술학교에서 미술 학사와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음악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등 국내뿐만 아니라 프랑스 니스 이티네레르 화랑, 파리 자크 바레르 화랑 등 해외에서도 활발한 전시 활동을 펼쳤다. 디종미술관, 파리시립현대미술관, 파리 퐁피두예술문화센터 등에서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최근 갤러리현대에서 열린 개인전으로 다시 주목받았다. 김기린은 <어린 왕자>로 잘 알려진 소설가 생텍쥐페리를 연구하기 위해 프랑스에 갈 정도로 시와 문학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언어의 한계를 느껴 글 대신 그림으로 생각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한국 추상미술의 대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현대화랑은 김환기, 유영국, 이성자의 작품을 한자리서 감상할 수 있는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 김환기, 유영국, 이성자’전을 준비했다.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 김환기, 유영국, 이성자’전에는 세 작가의 예술적 기량이 집대성된 주요 작품 26점이 소개된다. 김환기 화백이 뉴욕시대에 제작한 1960~1970년대 작품과 유영국 화백이 1970년~1990년대에 강렬한 색채로 조형 실험을 완성한 작품, 그리고 이성자 화백이 1960~1970년대 제작한 ‘대지 시리즈’와 ‘도시 시리즈’ 등을 선보인다. 예술적 기량 현대화랑은 1970년 개관 이후 한국 근현대미술 전시를 적극적으로 개최해 왔다. 특히 추상미술을 대중에 알리는 일에 매진했다. 1974년 프랑스서 활동 중이던 이성자 화백을 초대해 개인전을 열었고 1975년에는 유영국 화백의 첫 개인전을 선보였다. 1977년에는 1974년 작고한 김환기 화백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회고전을 개최한 바 있다. 김환기는 1963년 제7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참가했다. 이른바 뉴욕시대(1963~1974년)로 불리는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