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3 17:40
[일요시사 취재1팀] 서진 기자 = 서울 도심에서 북한 해킹 자금과 연계된 조직이 국내 금융망을 통해 활동했던 정황이 포착됐다. 한국의 자금세탁 방지 체계가 허술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캄보디아 금융그룹 ‘후이원(Huione)’의 대림동 환전소 사례는 빙산의 일각이다. 후이원은 미국 재무부가 북한 산하 해커 조직 ‘라자루스(Lazarus)’의 자금세탁 통로로 지목한 금융그룹이다. 자국 내에서 온라인 사기, 인신매매 자금의 ‘심장’으로 불리던 이 조직이 지난해까지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소재의 한 건물에서 환전소를 운영한 사실이 확인됐다. 수상한 환전소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이 업장은 2018년부터 지난해 여름까지 ‘후이원 환전소’로 운영됐다. 현재는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실제 영업이 이뤄진 기간 동안 수사기관은 첩보 수집 외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 문제는 이 환전소의 정체가 활동하던 시기와 북한의 해킹 자금이 흘러 다니던 시기가 정확히 맞물린다는 점이다. 북한의 해커 조직 라자루스는 지난해 5월, 일본 가상자산거래소 DMM비트코인에서 훔친 3500만달러의 가상화폐 등을 후이원그룹의 ‘후이원페이’를 통해 세탁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 강도가 심해지고 중국인들의 반한 감정이 고조되면서 국내에서도 그동안 쌓여왔던 반중 감정이 표출되고 있다. 특히 서울 속 ‘차이나타운’으로 불리는 대림동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서울의 대표 우범지역 중 하나인 데다 민족주의가 강한 중국 출신 폭력배들도 적지 않아 ‘혐한·혐중’ 분위기를 빌미로 다툼이나 시비가 일어날 수 있다는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영등포 대림역 출구를 나가면 조선족 동포가 쓰는 말투와 중국어가 곳곳서 들려온다. 눈에 들어오는 간판 역시 온통 한자어 투성이어서 한국어가 낯설게 느껴질 정도다. 서울 속 ‘차이나타운’으로 불리는 이곳은 주로 국내 거주 중국인들이 자주 이용하지만 한국을 찾는 유커(중국인 관광객) 단체관광객들도 자주 찾아 최근 관광특수를 누렸던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의 한국 여행 금지령 등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여파인지 거리는 인파가 많지 않아 한산한 모습이다. 절반은 중국인 대림동서 식료품 가게를 운영하는 장모(62)씨는 “주변에 중국인이 많이 살다 보니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많이 듣긴 했지만 별로 신경 안 쓰는 사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