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4 11:51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다우키움그룹 오너 2세가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핵심 계열회사에서 사내이 사 선임을 앞두고 있으며, 발언권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찌감치 후계자로 지목됐던 그에게 남은 과제는 언제쯤 경영 일선에 나서느냐 정도다. 키움증권은 오는 26일 정기 주주총회 개최를 예고한 상태다. 정기 주총에서는 ▲현금배당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 등의 안건이 다뤄질 예정이다. 가장 눈에 띄는 안건은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준 키움인베스트먼트·키움PE 대표의 사내이사 선임이다. 이사회 진출 1984년생인 김 대표는 2011년부터 사람인HR, 이머니, 다우기술 등을 거쳤고, 2018년 3월 키움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에 올랐다. 2021년 1월부터 키움PE 대표이사직도 겸하고 있다. 김 대표는 사내이사 선임을 계기로 키움증권에서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키움PE는 김 대표의 사내이사 선임에 앞서 키움증권 산하에 편입된 상태다. 다우기술의 자회사인 한국정보인증은 지난달 25일 이사회를 열고 키움PE 지분 40%(378억원)를 키움증권에 매각하기로 의결했다. 같은 날 키움투자자산운용 역시
[일요시사 취재1팀] 남정운 기자 = SG증권발 폭락 사태의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사태의 주범으로 지목된 라덕연 H 투자자문 대표는 혐의를 일부 부인하는 동시에 “진짜 배후는 따로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라 대표는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시세차익으로 부당이득을 취했다고 주장하고, 김 회장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둘 사이의 진실공방은 법정 다툼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코스피 상장사 5곳과 코스닥 상장사 3곳. 지난달 말, 도합 8종목의 주가가 나흘새 최대 76% 폭락했다. 대규모 매물이 쏟아져 나온 해외 증권사의 이름을 딴, 이른바 ‘SG(소시에테제네랄)증권 발 폭락 사태’다. 주가 폭락 배후 누구? 폭락 사태에 관여한 주요 인물들과 이들의 과거 행적이 점차 드러나면서 피해자 수와 피해 규모 추산치가 계속 불어났다. 수년간 주가 상승을 주도한 인물은 라덕연 H 투자자문사 대표로 알려졌다. 라 대표는 한때 직원 50명을 동원해 투자자 모집과 주식 매집에 나섰다고 밝혔다. 일당이 굴리는 자금 규모가 8000억원 이상이라는 증언에 이어 최대 2조원에 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라 대표는 한 매체와의 대화에서 “투자자 1000여명에게 투자금을 받아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다우키움그룹의 경영권 승계 작업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룹 지배구조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감지됐고, 후계자의 영향력은 갈수록 확대되는 형국이다. 어느덧 오너의 장남은 고속 승진을 거듭하며 지배구조의 정점에 우뚝 섰다. 다우키움그룹은 97개 법인으로 이뤄진 기업집단이다. 8곳의 상장사와 89곳의 비상장사가 소속돼있으며, 지주 회사 격인 다우데이타와 사업 회사인 키움증권이 그룹의 핵심이다. 예고된 밀어주기 그룹 오너인 김익래 회장은 국내 벤처업계에서 ‘살아있는 전설’로 불린다. 1986년 다우기술을 창업한 김 회장은 소프트웨어 한글화 작업을 바탕으로 인터넷 솔루션, 전자상거래, 시스템 통합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1992년 IT서비스기업 다우데이터 설립, 2000년 키움닷컴증권을 통해 금융업에 진출하며 그룹의 뼈대를 다졌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다우키움그룹의 지배구조는 ‘김 회장→다우데이타→다우기술→키움증권’ 순으로 이어진다. 다우데이타의 다우기술 지분율은 44.85%, 다우기술의 키움증권 지분율은 48.33%다. 키움증권이 지배하는 ▲키움인베스트먼트 ▲키움저축은행 ▲키움투자자산운용 ▲키움프라이빗에쿼티 등 금융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