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9 01:01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최근 서울 광장시장에서 유튜버를 상대로 한 바가지 요금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해당 노점은 상인회로부터 결국 10일간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광장시장 상인회는 지난 10일, 내부 회의를 열고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 쇼츠 영상에 등장한 노점에 대해 10일 영업정지 징계를 내렸다. 이번 조치는 상인회 자체 규정상 최장 수준의 처벌로 “시장 내 다른 상인들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상인회 측은 “시민들의 관심이 큰 사안인 만큼, 징계 규정을 넘어선 이례적 중징계를 내렸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시장 전반의 신뢰 회복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문제의 노점은 유튜버가 8000원짜리 순대를 주문했음에도 상인이 임의로 고기를 섞었다며 1만원을 요구한 사실이 알려지며 공분을 샀다. 영상은 공개 하루 만에 200만 조회수를 기록했고, 11일 오후까지도 조회수 1100만회를 넘어서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광장시장 내 노점 상당수는 사업자등록이 돼있지 않은 ‘무허가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들은 일반 음식점과 달리 식품위생법상 영업 허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위생 점검이나 가격 표시 단속 등 지자체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한류 열풍을 타고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한국의 다채로운 음식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K-푸드 메카’로 자리 잡은 서울 광장시장이 또다시 바가지 요금과 불친절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난 2023년 모둠전 논란 이후 서울시와 상인회가 서비스 개선에 나섰지만, 2년이 흐른 현재까지도 고질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이번 논란은 149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가 지난 4일 광장시장 방문 후기를 담은 쇼츠 영상을 공개하며 불거졌다. 해당 쇼츠는 하루 만에 조회수 200만회를 넘기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 유튜버는 광장시장에서 겪은 불쾌한 경험들을 영상을 통해 상세히 공개했다. 그는 시장 내 노점 5곳을 방문했는데 “4곳이 불친절했다”며 특히 가격을 멋대로 올려 받는 상인의 행태를 지적했다. 그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면을 삶을 때 섞었다”고 설명했다. 손님이 먹다 남은 음식을 ‘재탕’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더 황당한 일은 한 분식 노점에서 벌어졌다. 그는 순대
[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소 잃은 시장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던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이 결국 ‘정량표기제’를 도입한다. 서울시는 광장시장의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해 종로구, 광장전통시장 상인회, 먹거리노점 상우회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섰다. 1만5000원?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은 한 전집이 턱없이 적은 양의 모듬전 한 접시를 15000원에 판매하면서 공론화됐다. 유튜브 채널 ‘희철리즘’은 최근 ‘한국 광장시장의 바가지에 충격 받은 베트남 미녀상인’이란 제목으로 영상을 게재했다. 채널 운영자인 유튜버 윤희철씨가 지인과 함께 광장시장을 방문, 모듬전을 시켰다가 당황하는 표정이 담겼다. 모듬전엔 애호박전 1개, 맛살 1개, 꼬지 1조각, 두부 한조각 등 1만5000원어치라고 보기엔 다소 빈약한 모습이었다. 이를 본 베트남 지인은 “1500원이 아니라 1만5000원이냐?”면서 “1500원인줄 알았다. 너무 비싸다”고 당황했다. 광장시장은 120년 전통을 자랑하는 서울 최대 규모의 재래시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