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뒷담화> GS 꼬마 부자들 설왕설래

  • 박민우 pmw@ilyosisa.co.kr
  • 등록 2013.09.02 11:45:37
  • 댓글 0개

대통령 말대로…창조적 대물림

[일요시사=경제1팀]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아이들. 'GS 일가'엔 유독 꼬마 부자들이 많다. 허씨 손자·손녀들은 '어린이 주식부자'상위에 올라있다. 모두 부모 잘 만난 덕이다. 그중 한 형제를 두고 말들이 많다. 왜일까.



부동산 임대 및 콘도사업을 벌이는 GS 그룹 계열사 승산은 최근 승산레저(골프장 운영업)·STS로지스틱스(운송 서비스업)를 각각 1대 0.1863632, 0.0141990 비율로 흡수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합병기일은 9월30일.

벌써 경영권 포석?

승산 측은 합병 목적에 대해 "사업 역량 집중화로 경영효율성 제고"라고 밝혔지만, 업계에선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과세 등 당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한 '내부거래 희석용'이란 시각이다. 그도 그럴 게 '정리'된 회사들이 하나같이 오너 지분이 있으면서 내부거래 금액이 많다.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줘 적지 않은 실적이 '안방'에서 나왔다.

이번 합병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단숨에 승산의 주요 주주로 부상한 'GS 일가' 꼬마 형제다. 합병에 따라 승산레저·STS로지스틱스 주주들은 기존 주식을 내놓고 승산의 합병신주를 각각 29만727주, 2만2150주씩 총 31만2877주를 받게 된다. 승산 주식은 기존 156만주에서 187만2877주로 늘어난다. 신주는 주주들의 지분율에 따라 배분된다.

승산레저와 STS로지스틱스는 오너 일가의 개인 회사다. 승산레저는 허완구 승산 회장(24.5%·49만주)이 대주주. 그의 자녀 허인영 승산 대표(15%·30만주)와 허용수 GS에너지 부사장(2%·4만주)도 지분이 있다.

문제는 나머지 주주들이다. 주인공은 허 부사장의 두 초등생 아들 석홍·정홍군. 올해 12세, 9세인 이들은 앞서 할아버지 허 회장의 증여로 승산레저 지분 35%(70만주)·23.5%(47만주)를 갖고 있다. 두 명은 각각 30%(1만8000주)·70%(4만2000주)씩, STS로지스틱스 지분도 100% 소유하고 있다. 이번 합병이 이뤄지면 석홍·정홍 형제는 승산 주식을 각각 5.79%(10만8399주)·4.48%(8만3826주)를 확보하게 된다.


승산, 레저·STS 합병…초등생이 주요주주로
노림수는? 증여·내부거래 두마리 토끼 잡아

승산 허씨 일가는 합병을 통해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 해소'란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셈이다. 승산그룹은 GS그룹의 '방계기업'으로, 허 회장이 1969년 설립한 물류업체 대왕육운이 모체다. 공정거래법상 GS그룹에 편입돼 있지만, 사실상 허 회장 일가의 개인회사나 다름없어 그룹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LG그룹과 GS그룹 운송부문을 맡아 급성장한 승산은 대표적인 '알짜 계열사'다. 지난해 매출 3299억원에 영업이익 72억원, 순이익 13억원을 올렸다. 총자산은 3906억원, 총자본은 2341억원이다. 합병 전 기준으로 이익잉여금을 2132억원이나 쌓아두고 있다.

석홍·정홍군은 이미 수백억원대 주식 부자다. 석홍군은 GS그룹 지주회사인 ㈜GS 지분 0.85%(79만341주)도 있다. 정홍군 역시 0.35%(32만1000주)를 보유 중이다. 석홍군(6.67%·4만주)과 정홍군(6.4%·3만8400주)은 GS ITM 지분도 있다. 지난 16일 기준으로 이들의 지분 평가액은 석홍군 445억원, 정홍군 181억원 등 총 6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형제는 현재 '재벌가 어린이 주식부자'순위에서 1, 2위에 올라있다.

업계 관계자는 "석홍·정홍군은 부모나 가족으로부터 지분을 증여받은 국내 미성년자 주식 부자 순위에서 상위에 올라있는 '어린이 부자'"라며 "형제가 보유한 지분을 모두 합치면 600억원이 넘는다. 이는 어지간한 중견기업 오너 재산보다 많은 금액"이라고 말했다.

부모 잘 만나…

허 회장은 LG그룹 공동창업자인 고 허만정 GS그룹 창업주의 5남으로, 슬하에 1남1녀(용수-인영)를 두고 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과 사촌지간인 허 부사장은 미국 조지타운대 국제경영학과와 카이스트 경영대학원(EMBA)을 졸업하고 승산 상무와 대표이사를 거쳐 2007년 ㈜GS 상무로 자리를 옮긴 뒤 2009년 전무, 지난해 말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부인 정혜신씨와 사이에 2남(석홍-정홍)을 두고 있다.

GS 경영에 참여한 허 부사장을 대신해 여동생 허 대표가 '승산 지휘봉'을 이어받았다. 허 대표는 한때 GS 계열사인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근무하다 현재 허 회장과 함께 승산 공동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승산레저, STS로지스틱스 대표도 겸임 중이다.


사실 GS 일가의 어린이 부자는 석홍·정홍군만 있는 게 아니다. GS 일가엔 막대한 주식을 소유해 '미성년 주식 거부'에 오른 꼬마 부자들이 유독 많다. 모두 부모 잘 만난 덕이다.

대기업 정보사이트 재벌닷컴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기준으로 상장사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지분 가치를 평가한 결과 100억원대 미성년 주식 부자는 모두 7명이었다. 이 가운데 3명은 GS가 자녀였다. 석홍·정홍군 외에 허태수 GS홈쇼핑 사장의 딸 정현(13세)양은 131억5000만원을 기록해 5위에 올랐다. 허경수 코스모화학 회장의 아들 선홍(14세)군은 64억6000만원으로 18위를 차지했다.


박민우 기자 <pmw@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