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내년부터 종이 교과서를 패드로 바꾼대요. 도입 반대 서명 부탁해요.”
지난 25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초등 아이들 디지털교과서 도입 반대 서명이다. 종이 교과서 없애고 패드로 바꾼다고 한다”며 “가뜩이나 패드로 게임이나 유튜브 보는데 학교서까지? 집에 낮에 부모 없는 어린 아이들은 패드에 중독되기 딱인데 어떻게 못 막나요?”라고 호소글이 게제됐다.
글 작성자 A씨는 “아이들이 오후엔 눈이 아파서 패드를 못 본다는데 누구 배불리기 정책이냐? 졸속행정을 막아 달라”며 “마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해당 글에는 “누구 머리서 나온 건지 안 그래도 미디어 노출이 심각한데 패드로 교과서 제작이라니…말도 안 된다” “유럽서도 실패한 정책인데 이번에도 전문가 없이 대충 진행하려고 하는 게 보인다” “내년부터 패드 교과서고, 오는 2028년부터는 종이 교과서를 아예 없앤다. 안 그래도 괴물 많은 세대인데 집에서도 폰, 학교서도 폰이라니…” 등의 비판 댓글이 베플로 선정돼있다.
한 회원은 “노트북과 데스크탑의 용도가 다르듯 종이책과 전자책도 용도와 몰입도 및 집중도가 다르다. 유럽이 괜히 디지털기기서 종이책으로 돌아온 게 아니다”라며 “대학생 때나 PDF 문서를 패드서 작업하는 게 편리하겠지만 아이들 교육용으론 종이책이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회원들도 “선진국에선 이미 시행착오 인정하고 AI 교육도 다 철회한다고 했는데 시대를 역행하겠다는 건가?” “결국 정치인들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어떻게 되든 전혀 상관하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이들에게는 경제적인 이해가 훨씬 더 중요한 것이 분명하다” 등 부정적인 반응이 쇄도하고 있다.
반면 디지털로의 전환은 세대가 막을 수 있는 흐름이 아니라며 두둔하는 댓글도 눈에 띈다.
한 회원은 “막아봐야 나중에 고등학교, 대학교는 이미 패드/노트북이 필수품이 된 시대”라며 “책 몇 백만권이 패드 하나에 다 들어갈 수 있는 시대에 무거운 책 들고 다녀봐야 어깨만 무거워질 뿐”이라고 동조했다.
AI 디지털 교과서란 말 그대로 디지털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과서로 기존 종이 교과서를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지난달 28일 ‘교육부의 2025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유보에 관한 청원’이라는 제목의 청원글이 올라와 있다.
청원인 강모씨는 “성장기 어린이 청소년에게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고 여러 가지 부작용이 큰 디지털기기를 수업 시 사용을 축소 및 유보하고 종이 교고서와 글쓰기, 읽기 등의 아날로그적 교육 방식을 재도입 확대 중인 해외 사례를 고려해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 결정도 재논의해야 한다”며 청원 취지에 대해 설명했다.
강씨는 “정부는 과연 이 나라 아이들의 진정한 건강과 올바른 교육에 대한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며 “전면 취소할 수 없다면 적어도 ‘도입 유보’를 발표하고 보다 면밀한 검토 및 연구 분석으로 전면적 디지털 교과서 사용이 서면 교과서를 사용하는 것보다 객관적, 과학적으로 더 효과적인 교육방식이 맞는지 검증 과정을 거친 후 재논의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해당 청원은 5만5449명의 동의(이날 오후 4시40분 기준)를 얻으며,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돼 심의 대상이 됐다.
지난 26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정부의 디지털 정책에 대해 “학부모님들의 불안과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면서도 “너무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교실 내 기술적인 환경이 첨단 기반으로 바뀌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교육감은 이날 서울 동작구 인근서 열린 ‘2024 교육감과 함께하는 학부모 100人 100分 토론회’서 “미래교육과 디지털 전환은 양면을 보고 가야 한다. 구더기가 무서워 장을 못 담글 순 없지 않느냐”고도 했다.
이어 “우리가 살아갈 시대에 필요한 역량은 이전처럼 암기식 학습이 아닌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등”이라며 “챗GPT를 놓고 어떻게 창의적인 질문을 던질지, AI를 지식과 성장도구로 어떻게 활용할지 등 교실 수업과 지식 습득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22년,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청와대 영빈관서 열린 ‘국정과제 점검회의’서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해 2025년 상반기부터 디지털 교과서를, 하반기부터 AI 튜터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아이들의 다양한 역량과 잠재성에 맞춰서 교육하려면 AI와 디지털 기술을 현장에 가져와야 한다”며 “디지털 교과서, AI 튜터 본격 도입을 윤석열정부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더 빨리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