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에스디바이오센서 후계 구도에서 맏딸이 힘을 받고 있다. 지배구조가 정비된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남동생과의 지분율 격차를 벌리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부친의 증여 대상에서 남동생이 제외되자, 승계의 무게추가 맏딸 쪽으로 확실하게 쏠린 것 아니냐는 평가마저 나온다.
바이오노트·에스디바이오센서 계열은 ‘오너 일가→바이오노트→에스디바이오센서 및 자회사’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다. 진단키드 업체인 에스디바이오센서가 그룹의 캐시카우 역할을 수행하며, 바이오노트는 사실상 지주사 역할을 맡고 있다. 바이오노트는 지난해 3분기 기준 에스디바이오센서 지분 36.1%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의미심장 변화
오너 일가는 그룹 경영 전반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창업주인 조영식 회장은 에스디바이오센서·바이오노트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으며, 조 회장의 아들·딸 역시 바이오노트와 에스디바이오센서에서 임원으로 재직 중이다.
1987년생인 맏딸 조혜임 에스디바이오센서 전무는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생명공학과를 졸업했고, 2013년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에 마케팅 부문 이사로 입사했다. 현재 에스디바이오센서에서 마케팅총괄 전무로 활동하고 있다.
조 전무의 남동생인 조용기 바이오노트 이사는 2016년 4월 바이오노트에 입사했다. 2022년 임원 승진에 성공했으며, 진단시약S&M 부문 국내영업본부를 총괄하고 있다.
오너 2세들의 경영 참여가 활발함에도 그간 바이오노트·에스디바이오센서 계열은 승계와 관련해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1961년생인 조 회장이 현역으로 왕성하게 활동해온 데다, 조 회장의 지배력이 그룹 전체에 발휘되는 구도가 장기간 이어진 덕분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7월 바이오노트가 나머지 계열사를 지배하는 위치에 올라선 이후 승계 작업에 대한 주목도가 한층 높아지는 분위기다. 이 무렵 바이오노트는 에스디바이오센서가 단행한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를 취득했고, 이를 계기로 조 회장을 제치고 에스디바이오센서 최대주주에 등극했다.
바이오노트의 에스디바아오센서 최대주주 등극은 오너 일가가 바이오노트에 대한 지배력을 기반으로 그룹 전반에 영향력을 미치는 구조가 굳건해졌음을 뜻했다. 또 곧 조 회장의 후계자가 바이오노트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위치로 올라서면, 그룹 전반을 관장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됨을 의미했다.
체제 갖추고 격차 벌리기
아들 빼고 주식 증여
이런 가운데 최근 조 전무가 지배력 강화 움직임을 나타내자, 관련 업계에서는 조 회장이 조 전무를 후계자로 낙점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조 전무의 연이은 바이오노트 지분취득이 이 같은 견해에 무게를 더하는 양상이다.
조 전무는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바이오노트 지분 1.57%를 보유했고, 이는 남동생인 조 이사와 동일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둘 사이에 지분 균형은 지난해 8월 조 전무의 주식 추가 취득을 계기로 깨졌다.
당시 조 전무는 바이오노트 주식 13만주를 장내매수하면서 지분율을 1.69%로 끌어올렸다. 지분을 늘리는 데 사용된 금액은 총 7억5296만원에 불과했지만, 남동생과의 지분율 격차가 발생했다는 점이 부각됐다.
조 전무의 바이오노트 주식 취득 움직임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바이오노트는 지난달 26일 최대주주인 조 회장이 조 전무에게 주식 500만주를 증여했다고 밝혔다. 종가(4430원) 기준으로 환산하면 증여한 주식의 가치는 약 222억원 규모다.
이에 따라 조 회장은 지분율이 기존 49.69%에서 44.79%(4571만2000주)로 감소했다. 조 전무의 바이오노트 지분율은 1.69%에서 6.59%(672만9843주)로 상승하면서 3대 주주에 이름을 올렸고, 조 이사와의 지분율 격차는 5.02%로 확대됐다.
확연한 차이
조 전무의 남편인 김정훈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 상무가 보유 중인 지분 0.21%를 더하면 조 이사와의 지분 차이는 더 벌어진다. 김정훈 상무는 삼성전자 리서치 책임연구원 출신으로 벤처캐피탈 인터베스트를 거쳐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에 합류했다.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는 조 회장이 최대주주인 투자 관련 계열사로, 바이오노트 지분 15.22%를 보유한 2대 주주다.
<heaty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