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차철우 기자 = 국민의힘이 여전히 어지럽다. 오히려 당내 갈등은 점차 심화돼가는 양상이다. 당권주자들끼리는 조기 전당대회 시기를 두고 서로를 견제하는 모습도 비친다. 조기 전당대회가 언제 열리고, 누가 당권을 잡느냐에 따라 국민의힘 방향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국민의힘은 첫 전당대회서 역사상 유례없는 흥행 돌풍을 일으켰다. 2010년 이후 열린 보수당 전당대회 중 최고 투표율을 기록하며 정권교체까지 이뤄냈다. 개최만 하면 흥행하는 전당대회를 두고 최근 국민의힘이 뒤숭숭하다. 이준석 전 대표의 부재 이후 당권을 노리는 주자들의 여러 계산이 깔렸기 때문이다.
신경전 과열
조기 전당대회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시점은 권성동 원내대표의 위기부터다. 지도체제를 두고 의견이 갈렸다. 당이 안정되기도 전에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 사이에서 불화설이 점화되자, 당도 함께 혼란에 빠지기 시작했다.
권 원내대표는 대통령실 사적 채용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여기에 더해 윤석열 대통령과의 사적 문자메시지가 언론에 노출되면서 직무대행 체제가 크게 흔들렸다.
결국 국민의힘은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급하게 시도했지만 최근 조기 전당대회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또다시 혼란을 겪는 중이다. 당권주자들 사이에서는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 국민의힘이 조기 전당대회를 언제 여는 게 적당한지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현재 조기 전당대회 개최 시점으로 거론되는 날짜는 9월~12월 초, 9월 말~10월 초, 국감 이후, 정기국회 임기가 끝난 뒤인 내년 초다. 최대 4~5개월 차이가 있는 셈이다.
당권주자들은 본인에게 유리한 전당대회 시기를 두고 분주한 가운데, 아전인수식 해석 등 제각각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일찌감치 세를 다지고 있는 김기현 의원의 경우 국정감사가 끝난 뒤 해가 넘어가기 전 조기 전당대회를 열기를 원한다. 그는 처음부터 직무대행체제보다 조기 전당대회 필요성을 언급해왔다. 전당대회 개최 시기와 정기국회는 상관이 없다며 계속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촉구 중이다.
그가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배경에는 이미 충분히 다져놓은 원내 세력 때문이다. 김 의원은 원내대표를 지낸 바 있으며 친윤(친 윤석열) 세력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는 편이다. 일각에선 유력 경쟁자인 안철수 의원과 나경원 전 의원을 견제하려는 심리가 작용했다고 분석한다.
비대위 장기화 시 동력 상실
이러다 당내 반윤석열 반기?
안 의원과 나 전 의원 역시 연말에서 연초 사이가 조기 전당대회를 열기 적당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동시에 김 의원을 견제하고 나서는 모양새다.
안 의원은 “사람이 가진 에너지라는 게 한계가 있다. 한 가지에 집중하면 다른 일을 제대로 신경 쓸 여력이 부족하다”며 “예산심사를 끝내고 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이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빌미를 제공하지 않는 게 좋겠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읽힌다.
나 전 의원도 “조기 전당대회를 9월이나 10월에 개최하는 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당권주자들이 각자 자신에게 유리한 시기를 언급하자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내년 1~2월 사이 새 지도부를 꾸릴 수 있다”며 교통정리에 나섰다.
주 위원장이 내년 초로 가닥을 잡은 이유는 준비와 과정에 시간이 다소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정기국회가 끝나야 본격적으로 권역별 토론회나 TV 토론회 등 전당대회 준비에 매진하기 수월하다.
비대위 내부적으로 전당대회 준비에는 45일 정도의 물리적인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주 위원장의 ‘내년 초 조기 전당대회 개최’ 발언에 대해 윤 대통령은 최근 비공개 만찬 자리에서 “전당대회가 무슨 내년이냐”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방향키 누가 잡나
이견 좁히지 못해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의 발언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으나, 누가 당 대표가 되는지는 관심일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과 비슷하게 당권을 잡기 위해 혼란의 기간을 겪었던 민주당은 지난달 27일, 이재명 의원을 대표로 선출하며 전당대회를 마무리했다. 내부 잡음이 여전하지만 이 대표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견제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변수는 6개월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고 있는 이 전 대표다. 법원으로부터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면서 재기할 수 있는 활로도 생겼다. 내년 초 전당대회가 개최될 경우 22대 총선을 1년 남긴 시점으로 이 전 대표의 재출마가 가능해진다. 또 다른 변수는 김 의원, 나 전 의원이 당권을 잡는 경우다.
두 인사 모두 친윤계가 아닌 만큼 당권을 잡을 경우 독자 세력을 꾸려 차후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 윤심의 향방도 눈여겨볼만하다. 아직까지는 의원 대부분이 윤 대통령에게 밀착하려는 모습을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윤핵관을 향한 불신과 불만이 터져 나온다.
이런 탓에 윤핵관과 윤 대통령에 불만을 가진 인사들이 불만을 공식화하면 당의 내분이 재차 불거질 수도 있다. 당이 비상 상황으로 치닫게 되고 비대위 체제가 길어질수록 윤정부의 국정 동력은 상실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간만 허비?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하루라도 빨리 당이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게 좋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이미 국민의힘은 이 전 대표의 징계 이후 비대위 구성까지 한 달 넘는 시간을 허비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당이 계속 비상 상황이면 전당대회까지도 또다시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kcjfdo@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