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심리학자 닮은 화가 권인경

"흔적으로 남은 기억을 그리죠"

[일요시사 사회팀] 강현석 기자 = 동양화가 권인경이 오는 26일까지 서울 종로구 갤러리 아트비앤에서 개인전을 연다. 여덟 번째 개인전 제목은 '상상된 기억들(Imagined memories)'이다. 전통적인 화풍으로 현대적인 도시 풍경을 담아 온 권 작가는 공간에 스민 '휴머니즘의 흔적'에 대해 말하고 있다.

권 작가는 현실과 무의식을 연결 짓는 작업을 하고 있다. 현실과 무의식의 화학작용이 일어나는 물리적 공간은 한지다. 권 작가의 상상은 수묵과 아크릴을 혼용한 작품으로 탄생한다. 단 하나의 공간에서 발생한 단 하나의 사건은 권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복합적인 기억'과는 차이가 있다.

무의식을 연결

권 작가가 쓴 작업노트를 빌면 인간은 그들이 속해 있는 장소나 특정 공간, 사물에서 기억과 기대 그리고 추억을 만든다. 공간 속 사물과 인간은 크건 작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들과 관계 맺고, 유대·소통·공감 등 심리적 작용을 경험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불의의 사고로 자신의 집과 소유물을 잃었다면 그 사람을 지배하는 감정은 상실감이다. 보통의 인간은 공간 또는 사물에 자신의 정체성을 이입한다. 권 작가는 '우리를 둘러싼 물건들은 결국 우리인 것과 분리될 수 없다'는 심리학자 칙센트 미하이의 말을 인용했다.

이번 개인전에 전시된 12점의 작품은 모두 모호한 기억에 의존하고 있다. 기억을 겹겹이 쌓아올린 풍경은 꿈결처럼 생생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낯설다. 권 작가 작품에 등장하는 무의식의 파편은 '온화한 지휘자'의 손에서 조율된다. 권 작가는 무균질의 기억을 제어하기보다는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오케스트라'의 울림을 극대화하고 있다.


미술평론가 이선영씨의 평론에 따르면 '상상된 기억들'전은 권 작가 지인이 겪고 있는 심각한 트라우마에서 비롯됐다. 이씨는 권 작가 그림을 설명하기 위해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의 공간>이란 책을 예로 들었다. 강제수용소가 트라우마의 장소인 것은 그곳에서 자행된 폭력의 과도함이 인간적 이해력과 인내의 한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이해될 수 있고 표출될 수 있다면 그것은 더 이상 트라우마가 아니다.

전통화풍으로 현대 풍경·공간 담아
12점 작품 모두 모호한 기억에 의존

권 작가의 작품에는 전형적인 동양화가 지닌 '여백' 또는 '여유로움'이 없다. 대신 화면 빼곡한 각 조형이 상징하는 '강박'이 있다. 이들 조형은 서로 무질서하게 뒤엉켜 편집증적 징후를 드러낸다. 다만 이씨는 권 작가의 작품에 대해 "부정보다는 긍정적 요소가 강하다"라며 "도피보다는 전진을 떠올리게 하는 경쾌한 에너지가 있다"라고 평했다.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은 어떤 사물이나 공간이 상기하는 불안에 잠식된다. 이들은 자신만의 도피공간 혹은 치유가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안식을 느끼고자 한다. 친구들과 자주 갔던 카페,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목걸이 등이 트라우마를 잠시나마 잊게 한다. 이들 매개는 과거의 기억을 해체시키는 버팀목이 되며, 상상 속에서 해체된 기억은 트라우마가 아닌 '철지난 추억'으로 입력된다.

트라우마 치유

권 작가는 작품 '두개의 문'에서 화분과 창문, 사람을 배치했다. 어떤 창에는 밤이, 어떤 창에는 낮이 찾아 왔다. 그림 속에는 또 다른 그림이, 풍경 속에는 또 다른 풍경이 배치됐다. 작가는 이들을 지켜보는 관찰자로 화분을 제시했다. 화분은 달빛처럼 평등한 시선으로 모두를 내려 봤다. 화분은 텅 빈 공간에 놓인 의자와 함께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공유했다.

권 작가의 작품에서 인간은 시간 속 흔적으로 나타날 뿐이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기억과 지각밖에 없다. 왜곡된 시공간에서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이어지는 기억은 은하수를 연상시킨다. 집을 잊지 않으려 귀로 곳곳에 쿠키를 남겼던 헨젤과 그레텔처럼 권 작가는 '누군가'를 잊지 않으려 그들이 남긴 추억을 가슴에 새긴다.



<angeli@ilyosisa.co.kr>


[권인경 작가는?]

▲홍익대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 석·박사 졸업
▲개인전 공평아트센터(2005) 문화일보갤러리(2006) 가나아트스페이스(2011) 한국문화원(2013) 등 8회
▲기획전 국립현대미술관,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그랜드하얏트 홍콩,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그림손 갤러리, 부산 벡스코,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등 다수
▲Cite des Arts(Paris), OCI 레지던시 등 입주
▲제25회 중앙미술대전 특선(2003) 제7회 송은미술대상전(2007) 63스카이아트 미술관 New Artist Project 신진작가(2011) 서울시립미술관 Emerging Artist(2013) 가송예술상(2014) 등 수상
▲<도시에 미학을 입히다>(고명서 저), ㈜두산동아 중학교 미술교과서 등 수록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