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사회팀] 강현석 기자 = 일본 막부는 조선백자를 동경했다. 임진왜란·정유재란 당시 조선도공은 일본으로 대거 납치됐다. 후일 일본은 황금보다 비싼 '아리타(有田)자기'로 세계적인 명성을 누렸다. 그에 반해 우리는 '원류'에 걸맞은 대우를 받지 못했다. 한국전쟁을 겪고 나서는 도자를 찾는 수요마저 줄었다. 값싼 공산품은 생활 속의 예술인 도자를 대체했다. 그럼에도 지금껏 우리 전통의 명맥을 이어 온 이가 있다. 조선백자의 명인, 정두섭 작가다. 정 작가는 최근 강원도 춘천·양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세계가 탐냈다는 조선백자의 자태는 허언이 아니었다.
이달 강원도 남이섬에서는 의미 있는 전시가 기획됐다. 지난 20여년 동안 꾸준히 도예품을 제작해 온 정두섭 작가의 개인전이 열린 것이다. 정 작가가 발표한 현대도자는 지난 1일부터 양구백자박물관(양구백자랑)에서 관객을 만나고 있다.
전통의 명맥 이어
전시 제목은 '양구백토 & 양구백자'전이다. 조선백자의 정신과 멋을 계승한 작품들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작품 수는 20여점으로 강원도 양구에서 굴취된 양구백토가 재료로 사용됐다. 같은 제목의 전시는 양구근현대사 박물관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다. 양구백토를 사용한 작품 40여점이 도자 애호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전시는 같은 듯 다른 콘셉트로 준비됐다. 남이섬 전시가 백자에 현대성을 입힌 결과물이라면 양구 전시는 백자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고증한 집합체다. 정 작가는 두 전시를 통해 양구백자의 미래와 과거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양구백자는 양구백토로 이뤄진 조선시대 전통 도자다. 해방 후 1970년대까지 명맥을 이었다. 양구 인근에서 굴취된 백토는 여말선초 때부터 백자 제작의 원료로 쓰였다고 한다. 도자의 본고장으로 불리는 경기 이천·여주와 같이 양구에서도 오랜 기간 양질의 백토가 제공된 셈이다. 때문에 이번 전시는 한국 도자의 '백토 산지'이자 '백자 생산지'로서 양구가 지닌 역사적 의미를 드러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전시에 앞서 정 작가는 '양구백자'를 완벽히 고증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당시 쓰인 백자를 원형 그대로 빚는 한편 유적발굴과 문헌연구를 병행했다. 나아가 그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만지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록'으로서의 작품을 구상했다. 이 같은 노력은 창작물과 논문, 연구집에 오롯이 담겼다.
양구백토 & 양구백자전 열어
제작기법 고증 생생히 재현
100년 전 전통기법으로 구워
정 작가는 "예술가로서 양구백토를 만난 건 커다란 기회이자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천년에 걸쳐 내려온 전통을 발견하고, 그 핵심에 이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은 기회이나 더욱 진일보한 형태의 백자를 구현하고, 후대로 계승해야 한다는 숙제가 어깨에 지워진 것이다.
윤용이 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의 평론을 일부 인용하면 정 작가의 작품들은 조선 후기백자의 고운 빛과 단순한 선, 해학 넘치는 생명의 움직임을 포착했다. 재현된 양구백자는 대부분 우리 선조가 실생활에서 쓰던 도자기인데 정 작가는 당시 태토와 유악 등을 한국세라믹기술원과 공동으로 분석해 특유의 질감을 살려냈다.
윤 교수는 "소박하고 수수한 조선 사기장들의 꾸밈없는 노력을 2014년 현재로 불러오는 일은 어떤 사명감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라고 평했다. 또 "전통을 대하는 작가의 겸허하고 존경을 다하는 마음은 이미 충분히 검증되었거니와 앞으로 펼쳐질 작품세계의 자유로운 여정은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구 토박이
정 작가는 양구에서 나고 자란 양구토박이다. 도예가로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할 시기에 조선백자에 매료됐고, 그 전통의 깊이를 불러내기 위해 양구에 남았다. 도자는 우리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우리는 도자를 대하며 삶을 깊이 있고 풍요롭게 가꿀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때로는 인간을 닮은 도자의 부드러운 곡선을 음미하며 여유를 가져보는 건 어떨까. 정 작가의 전시는 이달 31일까지다.
[정두섭 작가는?]
▲강릉대 산업공예과 및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13회·단체전 100여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우수상, 서울 현대도예공모전 우수상 등 수상 다수
▲DMZ박물관 유물감정위원·춘천미술협회 이사 등 활동
▲현 양구백자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