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강현석 기자 = 장광현 창작공예연구소장이 소식을 전했다. 자신이 개발한 악기인 '코로아(KOROA)'를 소개하는 편지와 함께였다. 코로아는 코로 부는 악기로 '코리아(Korea)의 멋'이라는 중의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장 소장은 향후 코로아가 지역경제와 밀착된 관광상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그는 지자체와 협력해 코로아를 전 세계에 알리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세계인의 문화상품 코로아'라는 슬로건을 내건 장 소장. 그의 꿈은 이뤄질까.
장광현 창작공예연구소장은 지난 30여년간 광주에서 공예가로 활동했다. 주로 보석이나 금속을 가공하는 일을 했다고 한다. 장 소장은 최근 4∼5년간 영상 제작에 힘을 쏟았다. "평화와 나눔에 대한 이야기"라고 장 소장은 설명했다.
각국서 특허등록
그러나 '30년 된 공예가'의 본업은 공예였다. 장 소장은 공예 목걸이 겸 휴대용 악기인 '코로아' 개발자로 알려져 있다. 코로아는 맑고 청아한 소리가 특징인 목관악기로 대금·오카리나와 음색이 비슷하다.
연주법은 간단하다. 코로 공기를 주입한 뒤 입으로 바람이 빠져나오는 입구를 막고, 입술을 움직여 소리를 내면 된다. 휘파람을 불 듯 입술을 모아 공명을 만드는 게 소리의 핵심이다. 대략 3옥타브 내외의 음역을 표현할 수 있고, 음정 조절이 가능해 다른 악기와의 협주가 용이하다.
무엇보다 코로아는 남녀노소 누구나 간단한 연습으로 연주가 가능하다. 원하는 소리를 내는 데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로 휴대가 간편해 어떤 자리에서든 연주할 수 있다.
겉모양은 악기가 아닌 액세서리다. 하회탈이나 만화 캐릭터 모형이 호기심을 끈다. 장 소장은 코로아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특허 신안실용'(물품의 모양과 구조 또는 결합에 관한 산업적 권리의 특허)을 특허청에 신청했다. 세계 시장을 염두에 두고 미국·중국·호주 등에서 특허등록도 받았다.
그러나 아직 상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자금 확보 등 사업적인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까닭이다. 때문에 장 소장은 정부 등으로부터 투자금을 지원받고자 한다. 그는 "코로아 생산을 지자체와 협력해 특화사업으로 펼쳐보고 싶다"고 했다.
코로 부는 '코로아' 발명
맑고 청아한 소리가 특징
대금·오카리나 음색 비슷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어
최근 각 지자체는 지역 특산품 및 관광상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지역 브랜드 제고 및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장 소장은 코로아를 만드는 공장이 지역에 들어설 경우 일자리가 생김은 물론 코로아가 지역 고유의 문화산업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코로아가 음악 교구로써 활용도가 높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는 '1인 1악기 연주' 운동에 기여할 수 있고, 단기적으로는 유아들의 지능 개발과 정서 함양에 보탬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정대기 전주시립교향악단 클라리넷 수석은 "처음 접한 악기지만 잠깐의 연습으로 동요를 연주할 수 있었다"고 했고, 광주수문초등학교 임채강 교장은 "학생들의 음악 교구로 여러 학교에 권장하고 싶다"고 했다.
평소 생활 속 아이디어가 많은 그는 '기능성 종' 등의 특허를 갖고 있다. 장 소장은 자신의 번뜩이는 발명으로 무료한 일상에 즐거움을 불어 넣고 있다. 그는 "코로아가 다른 악기에 비해 미흡한 점도 있지만 우리의 일상에 위안이 될 것으로 자신한다"고 했다. 부족한 상품성을 보완하기 위해 디자인을 고급화하고, 자동 생산설비를 갖춘다면 해외시장 공략도 꿈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지자체 협력 희망
장 소장은 동봉한 편지에서 거듭 겸손함을 보였다. "소외된 사람들과 나눔을 갖고자 한다"는 메시지도 전했다. 일면 투박하지만 정성 어린 글귀에서 장 소장의 절실함이 묻어났다. 그는 장애인들과 함께 2006년부터 아름다운공예원을 운영하고 있다.
여러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장 소장의 '원대한 꿈'이 이뤄질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앞으로도 장 소장은 그가 찾은 '희망의 문'을 계속 노크할 계획이다.
[아름다운공예원은?]
▲1992년 공예품 전문업체 '우리방공예' 창업
▲1996년 신세계백화점 등 전국 16개 백화점 입점
▲1996년 코엑스 '국제선물용품대회' 1등 수상(보석인장선물세트)
▲1998년 광주 '지체장애인협회 공예부' 운영
▲2006년 광주 '장애인기능공예학교' 설립
▲2008년 '아름다운공예원' 개원
▲2008년 '기능성 종' 숭실대 소리공학연구소 인증서 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