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이 최근 자사 아파트의 계약자를 형사 고소했다. 고소를 당한 주인공은 롯데캐슬전국연합회장을 맡고 있는 김상우씨와 그의 아내다. 롯데건설은 이들 부부가 건설사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금품을 요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김 회장은 롯데건설이 자신을 비하하기 위해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무고죄로 맞고소를 준비하는 등 팽팽한 대립중 이다. 어떻게 된 사연인지 <일요시사>가 김 회장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롯데건설 계약자 형사고소 조치… 공갈미수·신용훼손 혐의
건설사 “금품요구”주장 vs 계약자 “터무니없는 거짓”
롯데건설이 아파트 계약자인 김 회장 부부를 형사 고소한 것은 지난달 22일이다. 업계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2007년 분양한 서울 서초구 방배동의 ‘롯데캐슬 로제(이하 방배로제)’ 계약자인 김 회장 부부를 경기 분당경찰서에 고소했다. 롯데건설이 주장하는 김 회장 부부의 법위반 혐의는 공갈미수, 신용훼손,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등 3개다.
롯데건설의 고소장에는 김 회장 부부가 지난해 6월부터 자사가 허위·과장 광고를 해 분양가를 올리고 해당 구청과 유착해 부당하게 승인을 받았다는 등의 허위 사실을 인터넷 매체 등에 제보해 자사의 신용을 훼손했다는 주장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수억 원 요구했다(?)
또한 고소장에는 김 회장 부부가 건설사 직원에게 “분양가(22억원)에 8억원을 더해 30억원으로 변상해 주지 않으면 언론사 등을 찾아가 비리를 폭로하겠다”고 협박했다는 주장도 포함됐다. 이 같은 고소 사실에 김 회장은 “나는 롯데건설이 주장하는 모든 혐의에 대해 무고하다는 것이 진실이다”며 건설사의 주장에 맞섰다. 그는 “나는 허위 사실을 유포한 적이 없으며 롯데건설의 허위과장 광고는 사실이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지난 2007년 방배로제 계약 당시 건설사는 ‘2009년 인근에 장재터널이 착공되면 교통권이 편해지고 덩달아 아파트 값도 상승할 것’이라고 홍보했다. 그러나 분양 당시 건설사가 대대적으로 홍보한 장재터널은 현재까지 착공되지 못했고 서울시에 확인 결과 터널 착공에 대한 어떤 것도 결정된 사안은 없었다”며 “결국 확정되지도 않은 터널사업을 가지고 건설사가 계약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허위광고로 사기분양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30억원의 금품을 요구했다는 건설사의 주장에 대해서도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배로제 계약 당시 건설사의 분양팀은 계약금 22억원의 아파트가 3년 후 장재터널이 뚫리면 입주시점에는 30억원을 호가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다”며 “그러나 건설사의 주장과 달리 터널은 건설조차 되지 않았고 이에 터널 착공이 가능하도록 조치를 취하거나 이것이 지켜지지 않을시 큰소리쳤던 30억원이라도 보상하라는 식의 표현을 했을 뿐” 이라고 항변했다.
김 회장은 “나는 지난해 초부터 계속해서 장재터널 개통과 계약 당시 조건과 동일한 자재 사용 등 건설사측의 계약 이행을 일관성 있게 요구하고 있다”며 “그러나 그동안 단 한 차례도 별도의 금전을 요구한 적은 없다”고 자신의 무고함을 알렸다. 김 회장은 금품으로 사람을 매수한 것은 오히려 롯데건설이라는 새로운 주장도 제기했다.
김회장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사전점검 당시 방배로제 입주민 대표회의에는 몇 명의 임원들이 있었는데 롯데건설이 이들 중 일부에게 금품과 향응을 제공해 입막음에 나섰다는 것. 김 회장은 “당시 한 임원은 롯데건설측에 집안 내 이태리 바닥재 시공을 지시했고 건설사는 이에 대한 보수를 전혀 받지 않았다”며 “해당 임원은 자신이 이태리 대리석을 직접 구입해 공사현장에 전달 뒤 시공을 부탁했다고 주장했지만 지난해 10월 한 공사현장 담당자는 해당 임원으로부터 전체 시공비용 3억원 가량을 한 푼도 받지 않았다고 고백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담당자는 모 임원을 룸살롱에서 3차례나 따로 만나 술을 마셨다는 얘기도 전했으며 이 같은 내용은 모두 별도의 녹취 파일로 보관 중”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현재 롯데캐슬전국연합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지난해 10월 롯데건설을 향해 피해를 호소하는 계약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한 그가 전국 단위의 연합회를 결성한 것.
현재 모임에는 인천 청라, 경기 평택, 강동 롯데 등 전국 21개 지역의 롯데건설 계약자 대표들이 함께하고 있다. 이들은 전국 단위의 롯데건설 불매운동과 함께 각 지역별로 피해보상 소송을 진행 중이다. 김 회장은 롯데건설의 이번 형사 고소가 자신을 인신공격해 연합회의 기세를 꺾으려는 의도라고 해석하고 있다.
김 회장은 “나는 현재 롯데건설의 부당한 횡포에 대해 고발하고자 롯데건설 관계자를 상대로 고소장을 작성해 놓고 있으며 최근에는 롯데건설과 뒷거래한 혐의가 있는 서울의 한 구청을 상대로 소장을 접수했다”며 “또한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합회 차원의 기자회견을 앞두고 있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결국 연합회의 활동이 달갑지 않은 건설사가 기자회견에 앞서 무고한 내용으로 자신을 폄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종의 ‘사전 물타기’라는 것.
건설사 속내 따로 있다(?)
김 회장은 이번 형사 고소에 대해 롯데건설을 무고죄 혐의로 맞고소 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롯데캐슬전국연합회 21개 지역 대표들은 조만간 합동기자회견을 열어 롯데건설의 부당함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번 형사 고소와 관련해 롯데건설은 “경찰에서 수사 중인 사안이라 별도의 말을 할 수 없다”며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거절했다. 일부 임원들에게 향응을 제공했다는 김 회장의 주장에 대해서도 “방배로제와 관련한 어떤 질문에도 답할 수 없다”며 답변을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