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정치팀] 19대 국회 하반기 국회의장 선출 시기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후보군이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5선)와 정의화 의원(5선)으로 좁혀진 모양새다. 그간 국회의장은 관례적으로 여당 내 최다선 의원이 맡아왔던 만큼 이들보다 급(?)이 높은 후보군이 더 있지만 모두 다른 곳에 관심이 가 있어 5선까지 후보군이 내려온 것이다. 그 내막을 <일요시사>에서 들여다봤다.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 수장인 국회의장은 국가 의전서열이 대통령에 이어 2위다. 19대 국회 들어 국회선진화법의 영향으로 정치적 힘은 과거에 비해 줄었지만, 여전히 국회의 최고어른으로 영향력도 상당하다. 그런데 강창희 의장에 이어 하반기 국회를 책임질 차기 국회의장을 선출할 시기(5월)가 다가왔음에도 불구하고 유력한 후보군은 이 자리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 이유가 뭘까.
관례상 여당 최다선
국회의장은 국회법상 국회의원 전체의 무기명투표를 통해 선출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국회의장의 권위를 감안해 여당 내부에서 최다선 의원을 추대하고, 투표는 요식행위로 진행하는 것이 관례다. 최다선 의원이 복수이거나 출마의지를 밝히는 중진의원이 있는 경우에는 여당 의원총회에서 투표로 결정해왔다.
이런 기준으로 보면 새누리당 최다선인 7선의 서청원·정몽준 의원과 6선의 이인제 의원이 유력한 후보군이다. 그러나 서 의원과 이 의원은 차기 국회의장보다 차기 당권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 의원은 지난 2일 서울시장 출마를 공식화하며 후보군에서 아예 빠지게 됐다. 여당 최다선급에선 국회의장을 맡을 만한 인사가 사실상 없는 셈이다.
그 아래인 5선에는 김무성·남경필·이재오·정의화·황우여 의원이 있다. 하지만 김 의원은 당권에 도전할 예정이고, 남 의원은 지난 5일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했다. 당내 비주류의 좌장격인 이 의원은 국회의장직에 뜻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이 의원은 주요 정치적 사안 마다 박근혜 대통령과 의견을 달리하면서 쓴소리를 가해 당내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과 감정적 골이 깊다. 때문에 차기 국회의장 출마 의사를 밝히더라도 주류의 반대로 선출 가능성이 낮다.
이처럼 유력한 후보군들이 국회의장을 기피하는 것은 국회선진화법의 영향으로 가장 큰 권한인 직권상정이 제한돼 매력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임기(2년)를 마치면 사실상 정계은퇴 수순을 밟는 것이 정치권의 오랜 관행이어서 아직 정치에 뜻이 더 있는 인사들이 고의로 기피하는 면도 없지 않다.
국회선진화법 영향 국회의장 권한 감소
유력후보군, 차기 대권·당권에 더 관심
결국 후보군은 자연스레 황 대표와 정 의원으로 좁혀졌다. 실제로 이들은 차기 국회의장에 대한 의지도 강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들 중에선 당초 여당 수장인 황 대표의 무난한 우위가 점쳐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당내에서 정 의원 쪽으로 약간 기우는 듯한 기류변화가 감지된다.
6·4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경쟁력 있는 중진들이 당·청의 요청으로 차출돼 선거전에 뛰어들었지만 정작 출마를 강요했던 황 대표는 인천시장 차출론이 꾸준히 거론됐음에도 불구하고 버텼기 때문이다. 지난 5일 유정복 전 안전행정부 장관이 출마를 선언하며 황 대표의 인천 차출론은 가라앉았지만, '선당후사'의 솔선수범을 당대표가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내부 시선이 곱지 않다.
새누리당 한 중진의원은 "(황우여 대표는) 자신은 국회의장으로 나오겠다고 포석을 깔아놓고, 딴사람들만 끌어내는 작업만(중진 차출론) 했다"며 "다른 중진들도 뜻하는 바가 다 있었을 텐데 본인만 뜻대로 하게 된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반면 정 의원은 당내 비주류에 인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 지난 18대 국회 하반기 부의장직을 원활히 수행했다는 평가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최근 친박 주류의 불만이 높은 국회선진화법 처리에 황 대표가 앞장섰을 때 정 의원은 '국회마비법'이 될 수도 있다는 이유로 반대해 주류들의 호감도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일각에서는 추대가 아닌 당내 경선으로 갈 경우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는 말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같은 달(5월) 치러지는 원내대표 경선 못지않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변수는 차기 당권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유력 후보들의 상황변화다. 현재 거론되는 인사는 서청원·김무성·이인제 등 3명인데 실제 당대표는 1인밖에 할 수 없다. 때문에 7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들의 마음에 변화가 생길 경우 차기 국회의장 후보군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실제로 서 의원은 지난달 초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당대표 출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지방선거에 올인하겠다"며 즉답을 피했고, "차기 국회의장은 맡지 않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도 "그런 얘기는 하지 말아 달라"고 대답을 회피했다. 당권, 국회의장 모두 가능성을 열어 놓은 셈이다.
선출 일정 지연 변수
6월 지방선거, 7월 재·보궐선거 및 여당 전당대회 등 정치일정상 5월로 예정된 국회의장 선출이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이럴 경우 당권에 뜻을 가진 후보군 중 일부가 당내 주류인 친박과 당권, 국회의장 선출을 놓고 사전 조율을 거쳐 국회의장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국회의장실 관계자는 "하반기 정치일정상 차기 의장 선출이 지연될 수도 있다"며 "대통령에 이어 의전서열 2위인 국회의장의 부재 상황이 발생하면 국가 이미지에도 타격을 줄 수 있어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허주렬 기자 <carpediem@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