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올 줄 알았건만 여전히 쌀쌀한 요즘.
점심으로 뜨끈한 김치찌개를 먹기로 합니다.
짠 것을 먹었으니, 카페에선 달콤한 카페모카를 주문했습니다.
저녁에는 친구들과 떡볶이 약속이 있습니다.
떡볶이와 순대를 먹고 난 후 볶음밥은 필수 코스죠.
그렇게 한바탕 수다를 떨고 집에 오니 오후 10시가 넘었습니다.
이런~ 엄마가 치킨을 시켜놨네요.
치킨은 못 참죠.
오늘은 아주 행복한 하루를 보낸 것 같아 만족스럽습니다.
그러나 내 몸도 만족할까요?
점심으로 먹은 김치찌개와 카페모카를 살펴봅시다.
단짠단짠이라는 단어가 생길 정도로 우리는 달고 짠 것을 하나의 코스로 즐기고 있는데요.
국, 탕에 녹여진 소금, 액젓류 등은 날것의 상태보다 짠맛이 덜 느껴져 간을 맞추다 보면 염분농도가 급격히 높아집니다.
실제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274㎎.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하는 권고기준 2000㎎보다 1.6배 높은 수준입니다.
나트륨은 수분 균형과 혈압 조절의 기능을 수행하는데요.
나트륨이 증가하면 혈압을 상승시킵니다.
그러므로 과다한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을 유발하게 됩니다.
또 나트륨은 칼슘과 결합해 소변이나 땀으로 배출되는데요.
나트륨 과잉 섭취 시 칼슘을 더 배출하게 만들어 뼈 밀도가 감소해 골다공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럼 단 음식은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우리나라는 식후에 달콤한 음료를 즐기거나 디저트를 습관처럼 먹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설탕, 액상과당 같은 이런 단순당들은 쉽게 당수치를 올리고 인슐린을 과다하게 분비해 급격한 혈당 저하와 허기를 유발해 다시 과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고혈압, 지방간, 고지혈증, 심혈관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암을 유발하는 물질 2군으로 65°C 이상의 뜨거운 음식을 선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뜨거운 음식물이 식도 벽에 손상을 입혀 식도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중국, 이란, 터키, 남미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뜨거운 차를 즐겨 마시는데 식도암 발생률 역시 전 세계적으로 높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국, 탕이 없으면 밥이 넘어가지 않는, 뚝배기의 나라 한국.
보글보글 끓는 뚝배기 국밥의 온도는 무려 98.2°C나 됩니다.
65°C를 훨씬 넘는 국밥은 식혀지길 기다렸다 먹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나 한국인은 8282(빨리빨리)의 민족인데요.
국가번호마저 +82번인 한국서 음식이 식길 기다리며 먹기란 쉽지 않습니다.
직장인의 평균 점심시간은 1시간.
식당까지 왕복 시간, 주문 기다리는 시간, 커피 사러 가는 시간, 양치하는 시간을 포함하면 실제 식사 시간은 2~30분 정도가 될까요?
실제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서 8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90%가량이 15분 이내에 식사를 끝내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천천히 먹는 사람들마저 이런 환경에서는 ‘후루룩’ 광속 식사 습관을 지닐 수밖에 없다는 거죠.
빨리 먹으면 몸에 어떤 작용이 나타날까요?
식사 시에는 포만감을 느끼게 해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렙틴과 식욕을 촉진하는 그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그렐린의 분비가 증가하면 과식이나 폭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음식이 소화되어 당분이 뇌에 도달하기까지는 약 2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 이후부터 그렐린(허기)이 감소하고 렙틴(포만감)이 증가하는데요.
한국인의 이런 빠른 식사 습관은 금방 허기를 느끼게 해 식사량 조절을 실패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과식이나 폭식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비만, 고지혈증, 당뇨, 비만, 위염, 역류성 식도염, 위암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위암 발병률 1위 국가가 우리나라인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한국인들의 소울푸드 떡볶이, 삼겹살로 시작해 닭갈비, 순대볶음 등 다양한 철판요리들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후식으로 볶음밥을 즐긴다는 것‘인데요.
그러나 이런 볶음밥은 소화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볶음밥 속 기름, 지방은 소화 속도가 가장 느린 성분이고 소화된 음식이 장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데요.
더군다나 후식을 가장한 2차 식사기 때문에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볶음밥의 가장 맛있는 부위는 뭐니뭐니 해도 철판에 눌어붙은 바삭한 누룽지 부분입니다.
이는 볶음밥 속 기름이 가열하면서 지방의 증발 과정을 거쳐 딱딱해지는 것인데요.
이렇게 딱딱해져 달라붙은 볶음밥을 숟가락으로 긁어먹는 행위는 철판의 코팅이 벗겨질 수 있어 알루미늄을 먹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딱딱한 음식 자체도 위를 자극하고 소화에도 방해가 됩니다.
모든 음식을 집에서 요리하며 먹을 수 없는 우리에게 당장에 위와 같은 식습관을 모두 멀리하기는 힘들 것 같은데요.
집에 있을 때 건강하게 먹는 습관을 기르는 것부터 차차 시작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성&편집 : 김미나
일러스트 : 정두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