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성홀딩스 후계자의 존재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핵심 부서에 배치된 것도 모자라, 이사회 진입 초읽기에 접어든 분위기다. 이제 남은 과제는 부친이 보유한 지분을 어떻게 넘겨받느냐 정도뿐이다. 이마저도 오너 가족회사의 확실한 쓰임새를 감안하면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김의한 대성홀딩스 전무가 이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20일 대성에너지 정기주주총회에서 김 전무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이 통과됐고, 대성홀딩스와 대성창업투자 역시 오는 27일과 29일에 주주총회에서 김 전무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쏠리는 힘
▲대성에너지 ▲대성홀딩스 ▲대성창업투자 등 3곳은 그룹에서 중요도가 남다르다. 지주회사인 대성홀딩스는 지배구조에서 중심축 역할로 부각되며, 대성에너지와 대성창업투자는 각각 에너지, 벤처캐피탈 부문을 이끄는 사업회사다.
물론 1994년생인 김 전무의 이사회 진입은 김영훈 대성홀딩스 회장을 잇는 그룹의 유력 후계자였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김 회장 슬하의 자녀 넷 중 유일한 아들인 김 전무는 20대 초반에 계열회사 경영 활동에 모습을 드러냈다.
2015년 미국 법인 대성아메리카에서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선임됐고, 이듬해 대성청정에너지 이사회 구성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지난해 대성홀딩스 전략기획실을 총괄하는 위치로 올라서면서 주목도가 한층 높아진 양상이다.
김 전무의 사내이사 선임 이후 오너 일가가 그룹 경영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은 한층 커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오너 3세 경영체제가 생각보다 이른 시점에 가동될 수 있다고 점치기도 한다. 이 경우 김 회장이 보유한 지분을 어느 시점에 김 전무가 흡수하느냐가 관건이 될 수 있다.
김 회장은 지난해 3분기 기준 대성홀딩스 지분 39.90%(641만9379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반면 김 전무는 대성홀딩스 주식을 전혀 갖고 있지 않다. 김 전무는 2017년 11월 보유 중이었던 주식 전량(258만4307주)을 정리한 이후 대성홀딩스 특수관계인 명부에서 사라졌다.
서른에 이사회 진입
부족함 메꿔주는 아군
공교롭게도 부자 간 현격한 지분 격차는 ‘알앤알’이라는 오너 가족회사를 주목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알앤알 활용법이 김 전무의 경영권 승계 수순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01년 출범한 알앤알은 소규모 계열회사를 아우르는 역할이 부각되는 반면 뚜렷한 영업활동은 드러나지 않는다. 총 매출 가운데 99% 이상을 지분법 이익을 통해 올리는 수익구조를 갖추고 있다. 2022년의 경우 매출 17억원 중 용역매출로 잡힌 19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가 지분법 이익이었다.
알앤알은 출범 당시만 해도 사실상 김 회장의 개인회사였다. 이 무렵에는 김 회장이 99.8%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지분구조에 일대 변화가 감지된 시점은 김 전무가 대성홀딩스 주식을 정리한 시기와 맞물린다. 김 전무는 2013년 첫째 고모 김영주 부회장과 둘째 고모 김정주 대표부터 392억원 규모의 대성홀딩스 지분 29.07%를 증여받았다. 이후 증여세 납부를 위해 13.01%를 처분했고, 나머지 지분 16.06%만 갖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2017년 11월 보유 중이었던 대성홀딩스 지분 16.06%를 알앤알에 현물출자 방식으로 털어냈다. 대신 유상증자를 거쳐 발행한 신주를 받아 알앤알 지분 40.1%를 취득했고, 순식간에 알앤알 2대 주주로 이름을 올렸다. 알앤알은 대성홀딩스 보유 지분을 기존 16.8%서 32.84%로 끌어올릴 수 있었다.
존재감 부각
이는 곧 지배구조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다. 실제로 ‘김 회장→대성홀딩스→사업회사’로 이어졌던 지배구조는 현물출자 이후 ‘김 회장·김 전무→알앤알→대성홀딩스→사업회사’ 등으로 바뀌었다. 큰 틀에서 옥상옥 구조가 구축된 셈이다.
김 전무는 알앤알 주식을 보유한 이후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알앤알은 김 회장 내외가 대표를 맡아 직접 경영을 챙기고 있으며, 김 전무는 2019년 3월부터 사내이사에 이름을 올렸다.
<heaty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