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H지수 파생 연결 증권, ELS 상품 투자자들에게 대량 원금 손실 사태가 발생했다. 손실을 피할 수 없었던 본질적인 이유는 사라지고 은행의 불완전판매만 논란이다.
파생상품에 대한 사회 일반의 몰이해에 기댄 금융사의 부도덕은 아무도 지적하지 않는다. 아무리 봐도 그들이 선의를 가지고 금융상품을 설계했다고는 보이지 않는다.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존재하는 은행의 책임감은 눈을 씻고 봐도 보이지 않는다.
돈을 둘러싼 뺏고 뺏기는 싸움에 개인은 언제나 패배자다.
왜 이런 불행이 끝나지 않는 걸까?
옵션(파생상품)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가격의 상승(Call Option) 또는 하락(Put Option) 가능성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정도로 이해하면 좋겠다. 옵션은 다른 어떤 상품과도 다르게 가격결정 모델이 불완전하다.
노벨상을 수상한 블랙과 숄즈의 모델을 보편적으로 사용하지만 가격도(Moneyness)가 특정 시간, 가격대서 급격히 변하는 ‘비선형성’을 극복하지 못한다.
애당초 시간의 가치 변화를 정확히 측정할 수도, 예측할 수도 없다는 의미다. 옵션가격 변동성은 본질 가치의 변화보다 가격이 변하는 속도 자체에 더 빠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옵션의 위험은 바로 여기에 있다.
예컨대 자동차는 매우 위험한 상품이다. 사용자의 사소한 실수로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잃게 만드는 치명적인 살인 무기다.
한 해에만도 수천, 수만명의 생명이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죽이고 죽는다. 하지만 자동차 회사의 불완전판매를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기업은 더 안전한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국가는 운전면허제도를 엄격하게 시행한다.
교통안전을 담보할 대안을 모색하고 교육하며 보험을 통해 피해를 보상하도록 안전장치도 만들었다. 필요와 위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완성됐으므로 절대 완벽한 안전이 보장되지 않아도 위험한 물건을 판매할 수 있다.
하지만 파생상품은 그 점에서 완전히 다르다.
ELS, 이것은 마치 제한된 시간 동안 유효한 피해보상 보험상품과 비슷하다. 그 기간 동안 사고가 나면 모든 피해를 보상해준다. 거의 무한 배상 책임을 대신 진다.
문제는 여기서 보상을 하는 쪽 즉, 보험회사 역할을 떠맡은 게 이번 홍콩 H주 연계 파생 증권 상품, ELS의 투자자란 점이다.
자동차보험 가입자와 보험회사의 역할이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약간의 보험료를 추가 이익으로 얹어주며 극단적 손실위험을 투자자에게 떠넘긴 상품이란 얘기다.
판매의 완전성, 불완전성을 따질 필요조차 없는 더 근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이다.
위험을 알렸고 설명했으므로 책임이 없다는 판매 은행의 변명은 구차하다. 파생 거래의 손익구조와 위험을 교육했다곤 하지만, 상품의 설계구조를 이해하거나 실제 거래 경험을 통해 손실위험을 피부로 느끼는 판매 직원이 얼마나 있겠나?
수수료 수입을 독려받는 직원 입장서 고객에게 주는 적은 이익은 크게 부풀리고, 원금 손실위험 가능성은 작은 목소리로 얘기하지 않았을까?
그렇게 안전하고 좋은 상품이라면 나부터 가입하고 내 가족과 친구에게 먼저 권유하는 게 인지상정 아닌가? 과연 그런 직원이 몇이나 있을까?
파생상품은 제로섬 게임이다. ELS 상품서 손실을 입은 투자자가 생겨난다면 그 손실은 반드시 누군가의 이익이 된다. 과연 누구의 이익으로 돌아갈까?
애당초 불의한 의도를 가지고 설계한 상품이었다면 즉, 거대 자본의 손실 위험을 보상할 수단으로 투자자에게 보험사의 책임을 떠넘기려 만든 상품이었다면 범죄가 아닌가? 그렇다면 처벌과 함께 이익은 환수돼야 하며 피해자에게 보상해줘야 한다.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는 지금 과연 대한민국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의무를 다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조용래는?]
▲전 홍콩 CFSG 파생상품 운용역
▲<또 하나의 가족>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