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재벌기업이 대한민국 경제에 끼치는 영향력은 실로 막대하다. 눈에 보이는 영역은 물론이고, 대중이 인지하지 못한 곳에서도 재벌기업의 손이 닿아 있다. 재벌기업은 또 다른 재벌기업을 탄생시키기도 한다. 계열분리를 거치며 홀로 선 ‘방계기업’이 산업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방계기업은 재벌기업 창업주의 직계 후손이 아닌 동생이나 조카 등 방계혈족이 독자 경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탄생하곤 한다. 창업주와 친인척 관계로 묶인 오너 일가 구성원이 많을수록 다수의 방계기업이 분포하는 게 일반적이다.
밀고 당기고
긴밀한 관계
또 모기업의 업력이 오래됐거나 덩치가 클수록 방계기업의 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나곤 한다. 한 예로 ‘범삼성가’로 묶이는 방계기업들은 독자적으로 재벌기업 반열에 올라 있다. CJ그룹, 신세계그룹의 경우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된 상태며, 한솔그룹, BGF그룹 등은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렸다.
‘범현대가’ 역시 비슷한 흐름이었다. 정주영 창업주가 타계한 이후 현대그룹은 지속적인 분리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창업주의 친인척들이 독자 경영에 나서면서 현대라는 울타리만 공유하는 수많은 방계기업이 탄생했다.
범현대가에 속한 상당수는 지금껏 대기업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를 필두로 HD현대, 현대백화점그룹, HDC그룹, KCC그룹 등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분류된 상태며, HL그룹은 공시대상기업집단에 포함됐다.
범현대가에 속한 모든 방계기업이 대중에게 각인될만한 인지도를 갖춘 건 아니다. B2B(기업 대 기업) 솔루션에 주력하거나 덩치가 대기업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몇몇 방계기업은 대중의 시선에서 한 발 비껴나 있다. ‘후성그룹’이 대표적이다.
후성그룹은 한국내화에 뿌리를 둔 중견기업 집단으로, 현재는 후성, 퍼스텍 등을 거느린 그룹사의 면모를 갖춘 상태다. 창업주인 김근수 회장(1948년생)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관계로 인해 현대그룹 방계로 분류된다.
김근수 회장은 정주영 창업주의 여동생인 고 정희영 여사와 고 김영주 한국프랜지공업 명예회장의 둘째 아들이다. 김 회장은 1983년 현대그룹으로부터 울산화학을 사들이며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나타냈다. 현재 오너 일가는 후성HDS에 관한 확고한 지배력을 바탕으로 나머지 계열사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뿌리는
같지만…
LG그룹 역시 수많은 방계기업을 탄생시키며 ‘범LG가’를 형성했다. 방계기업 중 LS그룹, LX그룹 등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분류되고 있다. LF그룹, 아워홈 등 인지도 높은 중견기업도 범LG가로 묶인다.
범LG가는 철저한 ‘장자 승계’ 원칙에 따라 형성됐다. 장자 승계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이전 세대는 그룹 후계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그룹에서 떨어져나왔다. 최근까지도 범LG가에 속하는 중견기업 집단은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구본준 회장이 LX그룹으로 홀로서기를 선택한 게 가장 최근 일이고, LT그룹 역시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 비슷한 전철을 밟았다.
LT그룹은 2019년 1월 출범한 기업집단이다. 오너인 구본식 회장은 둘째 형인 구본능 회장과 함께 희성그룹 경영을 이끌다가, LT삼보(옛 삼보이엔씨)를 비롯한 4개 계열사를 떼어내 홀로서기를 선택했다.
구본식 회장 일가는 2017년 LT삼보 지분 93.47%를 보유한 희성전자로부터 LT삼보 지분을 매입하면서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이후 구본식 회장은 LT삼보를 주축 삼아 LT그룹을 출범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출범 5년 차를 맞이한 그룹은 최근 지배구조 변경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7월, LT삼보는 투자 부문 ㈜LT(신설)와 건설 부문 LT삼보(존속)로 기업을 분할했다. 분할 결정에 따라 그룹 지배구조는 ‘㈜LT→LT삼보·LT메탈·LT정밀→LT소재’로 이어지는 그림으로 재편됐다.
LB인베스트먼트 역시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덜한 범LG가 구성원이다. LB인베스트먼트는 유망 기업을 유니콘 기업으로 키워낸 역량이 부각되는 곳으로, 고 구인회 LG 창업주의 넷째 아들인 구자두 회장 일가가 운영하고 있다. 1996년 LG전자와 LG전선 등 LG그룹 계열사들의 출자로 설립됐으며, 2008년 LG그룹에서 분리됐다.
LB인베스트먼트 지분은 비상장사인 ㈜LB가 100% 보유하고 있으며, 구자두 회장의 장남인 구본천 LB인베스트먼트 부회장과 차남 구본완 LB휴넷 대표는 ㈜LB 지분을 각각 28.27%, 26.65%씩 보유하고 있다.
멀고도 가까운 이웃사촌
적당히 끈끈한 유대관계
GS그룹은 2005년 동업 관계를 청산하면서 LG그룹에서 떨어져나왔고, 현재는 GS그룹을 축으로 하는 ‘범GS가’가 형성돼있다. 가장 눈에 띄는 GS그룹 방계기업은 코스모그룹이다.
코스모그룹은 허만정 명예회장의 넷째 아들인 허신구 회장 계열 오너 3세인 허경수 회장이 지배하고 있다. 허경수 회장과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사촌지간이다. 코스모그룹은 2015년 GS그룹과 계열분리를 끝내고 지주사 코스모앤컴퍼니를 설립하는 등 독립 경영을 시작했다.
모기업과의 순탄치 못한 관계로 방계기업이 설립된 경우도 종종 목격된다. ‘범롯데가’는 롯데그룹을 필두로 농심, 푸르밀, 롯데관광개발 등으로 구성돼있다. 고 신격호 롯데 명예회장과 나머지 형제 사이에 견해 차이가 컸고, 이를 계기로 방계기업이 생기는 일이 반복됐다.
신격호 명예회장은 5남5녀 집안의 장남이고, 신춘호 농심 회장은 신격호 회장의 둘째 남동생이었다. 신춘호 회장은 일본 롯데 이사를 지내며 신격호 명예회장을 돕다가 1965년 롯데공업을 차렸는데, 라면 사업을 하고자 하는 동생의 구상에 신격호 명예회장은 반대했다.
결국 신춘호 회장은 1978년 사명을 ‘농심’으로 바꾸고 홀로서기에 나섰다.
신준호 푸르밀 전 회장도 신격호 명예회장과 관계가 썩 좋지 않았다. 신준호 전 회장은 과거 롯데제과·롯데칠성·롯데물산 등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를 지내는 등 그룹 내 영향력이 컸지만, 2007년 계열분리를 선택했다.
신준호 전 회장은 신격호 명예회장이 브랜드 사용을 막으면서 ‘롯데’라는 상호를 쓰지 못했고, 롯데햄으로부터 롯데우유 지분 100%를 인수한 신준호 전 회장은 2009년 사명을 푸르밀로 바꿨다. 롯데그룹은 2010년 롯데삼강이 파스퇴르유업을 인수하며 우유 사업에 재진출했다.
롯데관광개발도 엇비슷한 흐름이었다.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은 신격호 명예회장의 막내 여동생인 신정희 동화면세점 대표의 남편이다. 롯데관광개발이라는 사명에는 ‘롯데’ 두 글자가 들어가지만 롯데그룹의 지분은 없다. 과거 신격호 명예회장은 김기병 회장이 롯데 브랜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적당히
홀로서기
재벌기업에서 갈라져 나온 방계기업을 보는 시각은 마냥 호의적이지 않다. 일부 방계기업은 모기업에 기대면서 덩치를 키우거나, 지명도를 이용한 인수합병(M&A)에 치중한다는 지적을 받곤 한다.
한익스프레스는 한화그룹의 방계기업으로 분류된다. 한익스프레스는 2020년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솔루션으로부터 부당한 지원을 받은 사실이 적발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72억8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1979년 한화그룹 계열사로 설립된 한익스프레스는 2009년 김영혜씨와 그의 차남인 이석환 한익스프레스 대표가 경영권 지분을 확보하며 한화그룹의 특수관계기업에 포함됐다. 김영혜씨는 김승연 회장 누나다. 한익스프레스는 현재 ‘이석환 체제’로 접어든 상태다. 2021년 이석환 대표의 부친인 이재헌 전 한익스프레스 대표가 경영에서 물러났고, 지난해에는 김영혜씨가 본인 지분 전량을 증여했다.
<heaty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