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밤이 되자 천정에서 쥐가 찍찍거리며 소란스레 뛰어다녔다. 늙은 남자는 술냄새를 풍기며 이불 속으로 기어들어오더니, 괴로워 움직일 맥도 없는 처녀인 저의 몸을 사정없이 막 유린하였다.
나는 아프고 서러워 날이 샐 때까지 울고 또 울었다. 아침엔 일찍 일어나 밥을 짓고 청소를 하고 차가운 물에 빨래를 했다.
극단적 선택
시도 발버둥
시골 농가 일이란 건 해도 해도 끝이 없었다. 일도 안 하고 건들대던 남자는 술만 마시면 하루 밤에 댓 번도 달라붙어 괴롭히는지라 기절할 지경이었다.
농사꾼들이 할 일이 없는 긴긴 겨울에 늙은 남자는 빚돈을 내어 마작 놀이나 술판을 벌여대었다. 밤이면 바삐 웃통을 벗어 남자가 나를 들어 이부자리 위에 눕힌 후 옷을 다 벗길 사이도 없이 달라붙어 씨근거렸다.
마을에서는 어디서 저런 선녀 같은 고운 조선 색시를 데려왔는가 하며 칭찬을 했다. 하지만 궁색한 살림을 나름 꾸려 나가려 애쓰던 내게 돌아온 건 늙은 남편의 뭇매질이었다.
마작 놀음에 돈을 다 처넣었으니 집에는 먹을 식량도 쓸 돈도 없이 빈털터리였다. 술주정이 심한 남자는 나 때문에 집안이 망하게 되었다며 트집을 잡고 술만 먹으면 귀뺨을 때리고 발길질을 했다.
나는 몇 번이나 자살할 생각을 했는지 모른다. 하지만 한숨을 씹어 삼키며 기를 쓰고 살아내려 발버둥을 쳤다. 어머니 소식이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저 멀리 지옥 같은 북조선에서 살았을지 죽었을지 모를 아빠, 엄마, 동생들, 오빠의 행적도 찾고 언젠가 좋은 세상 구경도 하고 싶은 욕망에 차마 결단이 서지 않았다.
나를 기다리고 계실 어머니 생각으로, 살아서 돈을 벌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해야겠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자나깨나 나의 소식만을 기다리며 눈물 흘리고 가슴 앓을 어머니를 위해 나를 희생하자는 생각을 했다.
마을 할머니들과 아줌마들이 틈틈이 자기 집에 나를 데려다가 같이 놀며 말동무도 해주곤 했다.
정말 고마운 분들의 정 앞에 나는 괴로움을 삭이며 살 용기를 얻었다. 어느 소수민족 출신 아줌마한테 이런 이야기도 들었다.
“중국 농촌엔 장가 못 간 사람이 많아요. 환갑이 되도록 여자 맛 못 보고 사는 사람도 있고요. 중국 사람들이 여자들 데리고 놀다가 이 집 저 집 다니면서 팔아먹지요. 우린 싸우고 싶어도 싸우지 못해요. 사이가 나빠지면 신고하니까. 죄없이 져주면서 사는 게 너무나 힘들어요. 우린 값이 없는 몸이니까 가족 내에서도 업신여기는 게요. 아이를 낳고 살아도 사람 취급을 안 하고 막 대해요. 어떤 날은 남편이라는 사람이 성관계를 요구하고, 어떤 날은 시아버지란 사람이, 또 어떤 날은 시아주버니라는 사람이 요구하고…. 그게 우리뿐 아니라 다 겪는 고통이랍니다.”
말로만 강성대국…사실상 지구상 최빈국 근접
탈북하다 함남 농촌으로 추방 “남의 일 아냐”
아, 다른 나라 여자로 태어났더라면 운명이 이렇게 기구하지는 않을 텐데..... 멀고 가까운 곳곳에 어쩔 수 없이 숨막히게 살고 있을 수많은 북한 여자들.....
태어나게 만들어 놓고는 책임져 주지도 못하고 정처 없이 헤매도록 만든 북한 사회가 저주스러웠다.
이국 땅에서의 설움은 크나큰 고통이었지만 한편으로는 하나의 깨우침을 주기도 했다. 만일 북한이 중국보다 잘 사는 나라였다면 우리가 이렇게 팔리는 몸이 되었겠는가?
말로만 강성대국을 부르짖는 북한은 어찌하여 한 국가로서 많지도 않은 인구를 먹여 살리지 못해 수많은 인민들이 이국 땅에서 헤매게 하는가?
나라 없는 백성은 상갓집 개만도 못하다 하였는데, 지금도 중국 땅에서는 수많은 우리 동족들이 가녀린 생명의 빛을 잡고 서럽게 울고 있다.
수많은 북조선 여성들이 중국 사람들에게 팔려가 아이를 낳고 살지만, 아내도 아니고 며느리도 아니고 다만 씨받이일 뿐이다.
늙은 남자는 내가 도망칠까 봐 늘 경계하며, 집을 나가면서 자물통을 잠그고 들어올 때는 칼을 든 채로 막 협박했다. 의심이 심해 쇠사슬로 내 발목을 묶어 개처럼 기둥에다 매 놓을 때도 있었다.
그는 알아듣지 못할 중국말을 지껄이며, 창고에 있는 도끼로 머리를 짝어 부대자루에 넣어 야산에 묻어 버리겠다는 듯 무서운 시늉을 하며 겁을 주곤 했다.
아아, 생지옥이었다. 마음속 깊이 꿈이 하나 있었건만 이젠 이룰 수 없는 허상이었다.
‘부지런히 일하여 돈을 벌어서 엄마를 꼭 모셔 오리라. 아니, 이곳으로 모셔 오진 못할망정 고국 땅에서나마 편안히 해드리리라.’
새해 초에 하도 고향 소식이 궁금하여 겨우 기회를 봐 전화를 걸었더니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식이 기다리고 있었다. 엄마는 딸의 탈북으로 인해 함경남도 어느 이름 모를 농촌으로 추방당했다는 것이었다.
너무나도 뜻밖의 소식을 전해 들은 내 마음은 뼈가 저미도록 아팠습니다. 비통한 후회는 이미 때늦은 것이었다.
‘불쌍하신 나의 엄마, 지금쯤 어느 산골짜기에서 헤매며 모진 고생 하고 계실까. 아, 자식 된 도리를 못할망정 어머니께 고통만 겪게 하는 이 죄 많은 딸자식은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요?’
봄이 오자 어떤 희망을 걸고 하루하루를 겨우 견디며 농사일을 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험한 땅을 갈아 암소처럼 농사일을 하면서 슬픈 영혼의 울음을 체험하기도 했다.
그런 비인간적인 생활을 반년나마 하였을까, 그러던 어느 날 늙은 남자는 빚돈에 쪼달린 나머지 나를 비밀스레 팔아 버렸다.
그리하여 난 다시 흑룡강 목단의 어느 시골집 홀아비 한족 남자한테 얽매이게 되었다. 그 집의 남자는 한쪽 다리가 장애인데다 성격장애까지 지닌 이상한 사람이었다.
나라 없는
백성들
그는 밤이면 혀로 자신의 온몸을 핥으라고 강요했다. 나이 차이도 많고, 또 스무 살 난 불량스런 아들이 행패를 부리는 막된 집안이었다.
너무 서러워 내가 밥도 못 먹고 눈물로 세월을 보내자 그들은 교대로 마구 때리면서 욕설을 내뱉었다. 나는 더 이상 그곳에서 살 수 없다고 생각한 끝에 목숨 걸고 탈출의 길을 선택하였다.
한밤중에 남몰래 맨발로 수십 리를 걸어 겨우 길림 쪽으로 들어갔다. 그곳에 자리잡고 있다는 동족인 조선족 마을을 찾기 위해.....
<다음호에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