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엔씨소프트 성적표

“용써도 안 된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지난해 ‘확률형 아이템’ 논란과 신작 게임의 부진으로 곤혹을 치렀던 엔씨소프트가 좀처럼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다. ‘리니지W’가 나름 흥행에 성공했지만 마케팅 비용과 인건비 확대는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치는 성적표에 주가마저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엔씨소프트의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3752억원으로 전년 8248억원보다 55% 급감했다. 매출은 2조3088억원으로 전년 2조4162억원에 비해 4% 감소했다. 2020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사상최대를 달성하며 워낙 좋았던 것을 감안해도 지난해 영업이익 감소폭은 도드라지게 컸다. 

영업익 급감

엔씨소프트 영업이익 감소에 원인으로 마케팅비와 인건비 등 영업비용의 증가가 꼽힌다. 특히 4분기 신작 리니지W 출시를 앞두고 광고비 등 마케팅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인력 증가와 신작 게임 성과 보상 지급 등으로 인건비마저 증가하면서 4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0% 급증했다.

연간 영업비용도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여기에다 기존 주력인 리니지M과 리니지2M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34%, 23% 줄어들었고 블레이드&소울2 매출은 544억원으로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냈다. 다만 지난해 11월 출시한 리니지W는 서비스 2개월여 만에 3576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그나마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했다.


이 같은 실적 부진은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엔씨소프트는 52주 신저가를 또 경신했다. 지난 7일 엔씨 주가는 전일 대비 1만2500원(2.86%) 하락한 42만4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엔씨 주가가 42만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8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2월 100만원대를 달성했던 것과 비교하면 주가가 60% 가까이 떨어졌다.

끝없이 떨어지는 엔씨소프트의 주가를 바라보며 전문가들도 제각각의 의견들을 내놓고 있다. 리니지의 지적재산권(IP)은 여전히 ‘경쟁력이 있다’는 의견과 더 이상의 혁신이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지난해 리니지 시리즈는 엔씨소프트 전체 매출의 약 80%를 차지했고, 특히 모바일 분야에서는 매출 중 97%를 차지했다. 한국 시장 매출 비중이 80%가 넘어 내수 의존도가 크다.

리니지 IP의 존재감이 흔들리고 있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출시하는 게임마다 획일화된 리니지식 비즈니스모델(BM)와 과도한 과금(P2W) 구조가 유저들의 반발로 이어졌다. 

지난해 11월 출시한 리니지W는 기존 BM을 대폭 완화하겠다는 발표에도 달라진 게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앞서 출시한 트릭스터M는 ‘아기자기한 리니지’, 블소2는 ‘껍데기만 바꾼 리니지’라는 혹평을 받았다. 블소2는 리니지의 핵심 과금유도 아이템을 적용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이름만 바꾼 유사 시스템을 적용해 유저들의 분노를 샀다. 

마케팅·인건비 부담에 영업이익 급감
52주 신저가 또 경신…반등은 언제쯤?


이에 엔씨소프트는 리니지 IP의 의존도를 벗어나기 위해 사업전략을 전면 수정했다. 이용자의 의견을 개발 과정에서 수렴해 IP를 다양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리니지W 제2권역(북미, 유럽 등)에 NFT를 접목할 계획을 밝혔다. 

이마저도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끌어내진 못했다. 다른 게임 담당 연구원은 “리니지 IP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르를 도전하겠다지만, 지금까지 해온 것들이 MMORPG에 집중돼있어 얼마나 경쟁력이 있을지 모르겠다”며 “국내와 달리 해외는 MMORPG의 인기가 적어 리니지W에 NFT를 도입하더라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 말했다.

‘리니지 IP’의 힘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입장도 있다. 한 게임 담당 연구원은 “모바일 게임 전환기에 엔씨소프트는 소극적이었지만, 결국엔 모바일에서도 엔씨소프트가 우위를 차지했다”며 “견고한 핵심 IP가 있는 이상 NFT 및 P2E 시장에서도 타사보다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내수 의존도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기존 게임들의 자연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나, 리니지W의 국내외 매출이 견조하고, 3분기 중 북미·유럽 등 제2권역 출시가 예정돼있어, 매출 및 영업이익(률) 상승이 예상된다”며 “특히, 제2권역 출시되는 리니지W는 NFT 방식의 게임으로 출시 예정이어서, 그동안 부진했던 북미·유럽 지역의 흥행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엔씨소프트는 올해 신작을 통해 실적 개선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 3분기 중 북미와 유럽 등 제2권역에서 출시되는 리니지W와 4분기 글로벌 동시 출시 목표인 TL(Throne and Liberty)을 중심으로 글로벌 공략을 가속한다.

특히 리니지W에는 NFT가 적용될 계획이다.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전날 컨퍼런스콜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유저들에게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철학이 내부적으로 확고하다”며 “처음부터 P2E라는 개념을 가지고 NFT 게임에 접근하지 않았으며 NFT 투자자나 코인 투자자에게 가치를 주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설명했다.

신작 공개 방식에도 변화를 시도한다. 그간 엔씨소프트는 론칭 직전 쇼케이스 등을 통해 신작 정보를 공개했으나 앞으로는 개발 과정에서부터 이용자의 피드백을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

홍 CFO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는 다작 론칭 모드를 진행한다는 것이 회사의 계획”이라며 “진행 중인 신작을 시장에 보여드리고 그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을 촘촘하게 가져가려 한다”고 말했다.

턴어라운드

엔씨소프트는 올해를 턴어라운드 시점으로 삼고 실적과 수익성 개선에 힘쓸 방침이다. 지난해 지출이 컸던 마케팅비를 매출액의 10% 수준으로 낮추는 등 비용 관리에 중점을 둔다. 홍 CFO는 “올해를 실적이나 수익성 측면에서 턴어라운드 시점으로 삼을 것”이라며 “계획을 현실화해 주주와 투자자들이 회사에 대한 신뢰와 응원이 턴어러운드 될 수 있는 해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tikti@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