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불교에 번뇌라는 말이 있다. 근본적으로 자신의 집착에서 일어나는 마음의 갈등을 뜻한다. 욕심이 불러일으키는 화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 번뇌를 억누르지 못해 표출되는 답답함을 두고 번민이라고 한다. 욕심을 실현하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에는 괴로움이 쌓인다. 인간이 문화를 만든 지 6000년이 넘었지만, 번민은 예나 지금이나 공존한다. 배우 이성민은 신작 <제8일의 밤>에서 번민을 연기한다.
연극을 주 무대로 삼았던 배우 이성민의 연기적 스펙트럼은 상당하다. 깃털같이 가벼운 인간이었다가, 누구보다도 신중한 의사였다가, 가장 서민의 형태인 샐러리맨이기도 했다. 때로는 한 국가의 수장이었다가, 때로는 북한 경제의 전권을 쥔 고위 간부이기도 했다.
퇴마사
그의 얼굴에는 선과 악, 귀족과 거지, 정의와 불의가 서려있다. 어떤 작품의 어떤 배역을 맡아도 수준급의 연기를 펼치는 그가 향한 곳은 퇴마다. 넷플릭스 영화 <제8일의 밤>에서 전직 스님으로 불교의 예언이 이루어지는 시기, 목숨을 바쳐 자신을 희생해 지옥을 막는 진수를 연기했다.
<제8일의 밤>은 오컬트 장르다. 나홍진 감독의 영화 <곡성>을 비롯해, 장재현 감독의 <사바하>, tvN 드라마 <방법> 등 대중성에 취약한 평가를 받은 오컬트 장르물이 일부 명작으로 인해 마니아층도 형성되는 등 기세가 좋다.
그렇다고 대다수 관객이 즐기지는 장르는 아니다. 그럼에도 이성민이 이 작품을 선택했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다. 양자역학이다.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이 과연 진짜인가. 우리가 보는 것이 전부일까’라는 생각을 출연 제안을 받았을 당시 하고 있었다. <제8일의 밤>에서 보통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인지하는 캐릭터를 맡았다. 흥미진진한 작업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양자역학과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흥미가 생겼다. 양자역학과 불교 세계관은 비슷한 지점이 있다. 게다가 진수 역할은 영적인 능력이 탁월하며, 귀신을 본다. 그게 매력적이었다.”
이성민이 맡은 ‘진수’는 쉽게 연기할 수 있는 캐릭터는 아니다. 매우 많은 분량을 책임짐에도, 가족을 잃은 고통에 여전히 허우적대면서 인류의 미래를 짊어진 인물인지라 누군가와 대화를 쉽게 나누지 않는다. 대체로 침묵한다. 오롯이 표정만으로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 무표정인데 번뇌와 번민을 전달해야 했다.
이런 류의 연기는 극도의 절제가 필요해 때에 따라선 고역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연기 내공 9단의 이성민에게는 그다지 어려운 문제가 아니었던 듯 보인다.
“진수는 가족이 희생당한 아픔을 가진 인물이다. 그것이 진수의 가장 큰 고뇌고, 헤어날 수 없는 아픔이라고 본다. 그 지점이 진수에게 주어진 능력, 수많은 영혼을 천도해주는 직업과 대립하면서 고뇌와 고통이 더 심해진다. 그걸 참지 못해 막노동으로 삶을 버티는 인물이다. 일반 사람들의 고통과 고뇌가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겠지만, 진수는 그보다 극단적으로 차 있는 것으로 전 이해했다.”
오컬트 장르 <제8일의 밤>서 열연
“헤어 나올 수 없는 아픔 표현했다”
수년 전 이성민은 “단 한 번만이라도 완벽한 연기를 했으면 하는 소원이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단 한 번만이라도 스스로 후회 없는 연기를 펼쳤으면 하는 내적인 바람이 있다는 것.
언제나 연기적으로 호평을 받는 그이지만, 스스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채찍질만을 가했다. 최근 <공작> 이후로 연기에 대한 태도가 달려졌다고 한다. 여유가 생겼다고.
“연기할 때 좀 덜 외로워졌다. 과거에는 내 연기만큼은 나 혼자 작업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영화와 인물이 혼자 힘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공작>이 분기점이었다. 연기하러 현장에 가면 그날도 뭔가 이뤄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다. 늘 평가받는 기분이었다. 감독 눈치를 늘 봤다. <공작>을 찍으면서 ‘내가 바보 같이 일하고 있었구나’라고 깨달았다. 감독은 나를 평가하는 사람이 아니라 배우 편에 있어 주는 사람이란 걸 알았다. 그때부터 덜 외로워졌고, 더 다양한 시도를 하게 됐다.”
언제나 그렇듯 일품의 연기를 보여주는 그에게 ‘믿고 보는 배우’라는 수식어가 뒤따른다. 출연한 작품에서 늘 훌륭한 연기를 선보였다. 작품이 비판받았을지언정, 배우의 연기력에 문제삼지는 않았다. 배우가 연기를 못하는 듯 보였다면, 그건 감독 책임으로 치부됐다.
이성민의 연기력을 대중이 충분히 알기 때문이다. 이성민의 능력은 즐기지 못하는 책임감에서 비롯된다.
“연기할 때 즐기지 못한다. 늘 고민하고 늘 예민하다. 새로운 작품이 공개될 때마다 실수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배우들 모두의 근원적 고민과 고뇌, 책임일 것이다. 실망하게 하지 않기 위해 애쓴다. 이건 배우의 숙명이다. 하지만 크게 스트레스 안 받으려 한다. 배우가 해야 할 당연한 일이니까.”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드는 그는 이미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이미 촬영을 끝낸 작품이 여럿 남아있는데, 개봉일도 정하지 못했다. 영화 <핸섬가이즈> <대외비> <기적> 등이 그 예다. 배우에겐 답답한 현실이다.
숙명
“영화 <기적>은 제작보고회도 한 후에도 개봉이 밀렸다. ‘이게 현실이구나’라고 느낀다. 기약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정말 아쉽고 안타깝다. 제작이 다 된 영화가 아직도 몇 편 남아있다. 우리는 농사짓는다고 표현하는데 창고에 쌓인 농산물이 많은 상황이다. 아무도 안 사가고 있으니 계속 농사를 지어야 하나 그런 고민도 한다. 저뿐만 아니라 영화계 모두가 답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