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전문]
일제강점기였던 1917년 1월4일.
황해도 은율군에서 한 사내아이가 태어납니다.
아이는 두 살이 되던 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랍니다.
집안은 가난했었고 형, 누나와 함께 밀죽으로 끼니를 때우는 일이 허다했습니다.
아이는 살기 위해 돈을 벌어야만 했고, 대중목욕탕 심부름꾼부터 모자가게 점원에 이르기까지 닥치는 대로 일을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이는 인생의 일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됩니다.
15살이 되던 해, 친척의 소개로 평양 기성 의학강습소에 급사로 취직하게 됩니다.
책이 귀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등사기로 찍어낸 의학 교재로 공부해야 했고.
아이가 급사로서 맡은 일은 매일 등사기로 수천 장의 교재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일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신기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매일 수천장씩 등사 일을 하다 보니 자연스레 교재의 내용이 눈에 들어오게 된 것이죠.
심지어 어느 순간부터는 머리로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어려운 용어도 있었지만, 옥편을 이용해 가며 독학을 이어나갔습니다.
아이는 "나도 한 번 해볼까"라는 생각을 가지며 본격적으로 의사고시에 도전하게 됩니다.
주경야독으로 의사고시에 매달린 지 꼬박 2년.
아이는 만 19세의 나이로 당당히 의사 고시에 합격합니다.
그 아이는 바로 ‘국내 최연소 의사’ 신화의 주인공 정재원.
1937년 의사고시에 합격한 정재원은 그 해 서울 명동 성모병원의 견습 의사가 됩니다.
그렇게 평탄한 병원 생활을 보내던 중 정재원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놓는 사건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한 여자가 갓난아이를 업고 병원으로 달려왔습니다.
여자는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꼬박 하루 걸려 도착했다며 자신의 아이를 살려달라고 애원했습니다.
뼈가 앙상하고 배만 볼록 솟아오른 신생아는 이유 없는 설사와 구토를 했습니다.
차트에 적힌 병명은 ‘소화불량’.
하지만 별다른 치료 방법은 없었고 아기는 결국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이후에도 복부팽만으로 병원을 찾은 신생아가 영문도 모른 채 설사만 하다 무력하게 죽어 나갔습니다.
당시 신생아들에게 원인 모를 소화불량은 공포의 대상이었고, 소아과 의사들에게는 큰 숙제였습니다.
정재원 또한 의사로서 무력감과 죄책감을 떨쳐낼 수 없었고 “죽어가는 아이들을 언젠가는 내 손으로 꼭 고치겠어”라고 다짐했습니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1960년, 당시 43세였던 정재원은 의사로서 안정된 삶을 포기하고 아내와 6남매를 뒤로한 채 영국 유학길에 올랐습니다.
오직 아이들을 살리겠다는 사명감으로 런던대학교에 갔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 못했고, 곧장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UC메디컬센터로 이동했습니다.
1964년, 한 도서관에서 소아과 교재를 읽던 중 그는 드디어 신생아들이 죽어 나갔던 원인을 발견하게 됩니다.
유당불내증 우유나 모유의 유당 분해효소인 락타아제 결핍으로 제대로 소화되지 않은 유당이 대장에 도달해 유독물질이 생성되는 병을 발견했습니다.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유당 분해 효소인 락타아제가 적다는 것을 알게 된 정재원은 유당이 함유되지 않은 대용식을 만드는 게 급선무라 생각했고, 어린 시절 어머니가 끓여줬던 콩국을 떠올렸습니다.
1965년 서울 명동에 도착한 정재원은 '정소아과'를 운영하며 아내 김금엽 여사와 함께 우유 대용식을 개발하기 시작합니다.
매일 맷돌로 콩을 갈아 콩국을 분석하며 실험용 흰쥐를 통해 유당불내증이 나타나는지 실험하길 3년…
마침내 ‘두유’가 탄생합니다.
두유를 먹이자 설사병에 걸린 아이들은 거짓말처럼 기력을 회복했습니다.
하지만 ‘정소아과가 용하다’는 입소문이 번지면서, 전국 각지에서 신생아 환자들이 몰려들었습니다.
결국, 병원에서 생산하는 두유량으론 턱없이 모자랐고 정재원은 결심하게 됩니다.
“아픈 아이들에게 부족함 없이 두유를 주고 싶다.”
1973년 정재원 회장은 ‘정식품’이란 회사를 세워 두유를 대량으로 생산합니다.
이때 만들어진 두유가 바로 식물(vegetable)과 우유(milk)의 영문명을 합친 ‘베지밀’입니다.
아이들을 살리겠다는 마음으로 두유를 만든 정재원 회장은 이후에도 사업 다각화를 꾀하지 않고 꾸준히 두유 생산에만 매진했습니다.
1984년에는 혜춘장학회를 설립해 이후 33년 동안 2,350명에게 21억원의 장학금을 전달하는 등 후학양성에 기여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10월9일 향년 100세의 나이로 별세합니다.
두유의 아버지라 불리던 정재원 회장의 일대기를 살펴봤는데, 여러분은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저의 부모님이 건강하게 계실 수 있었던 것은 정재원 회장의 두유 때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오늘은 집에 가는 길에 베지밀 한 통 사서 가야겠습니다.
저는 다음에 더 재밌는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