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넥스 오너 일가 ‘기막힌’ 익절 타이밍

손해보지 않는 ‘주테크’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에넥스 오너 일가에서 연이은 지분 매각이 목격되고 있다. 회사의 후계자를 제외한 나머지 오너 일가 구성원의 지분율이 크게 요동치는 모양새다. 절묘한 타이밍에 팔아치운 덕분에 주식을 매도하는 과정에서는 좀처럼 손해 보는 장사를 하지 않았다.
 

▲ 박유재 에넥스 명예회장과 박진규 부사장 ⓒ에넥스

에넥스는 창업주인 박유재 명예회장이 1971년 설립한 종합가구기업이다. 회사 경영은 2019년 3월 부회장에서 승진한 박진규 회장이 맡고 있다. 박 회장은 박 명예회장의 장남이다. 지난달 9일 기준 오너 일가 지분율 총합은 28.58%.

팔기 바쁘다

오너 일가의 에넥스에 대한 지배력은 제법 탄탄하다. 외부의 경영권 위협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승계는 물론이고, 확고한 지배구조까지 구축한 양상이다.

2006년 말 박유재 명예회장과 박진규 회장의 에넥스 지분율은 각각 13.8%, 3.6%였고, 오너 일가의 지분율 총합은 23% 수준에 머물렀다. 오너 일가의 지분율은 이듬해부터 급격히 오름세를 나타냈다. 적대적 M&A를 노린 외부세력에 대한 대응 차원이었다. 

박 명예회장은 2000년 9월 이후 7년 만에 장내에서 에넥스 지분을 매입했고, 이는 2년에 걸쳐 이뤄졌다. 그 결과 박 명예회장의 지분율은 22% 근방까지 치솟았고, 외부 세력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위험 요소가 희석되자, 오너 일가는 곧바로 장자 승계 작업에 본격 돌입했다. 박 명예회장은 2011년 3월과 2012년 1월 두 차례에 걸쳐 에넥스 보유지분을 박 회장에게 팔았다. 단 두 번의 거래로 박 회장은 에넥스 지분 25.6%를 보유한 최대주주에 올랐다.

경영권 위협이 사라진 이후 에넥스 특수 관계인들은 조금씩 주식 매도에 나섰다. 시작은 박 명예회장의 차남인 박진호 전 사장 일가의 주식 처분이었다. 박 전 사장이 2016년 별세하자, 그의 유가족은 2018년 상속받은 보유 주식을 처분했다. 별세 당시 박 전 사장의 지분율은 2.21%였으나, 현재 유가족이 보유한 지분은 전혀 없다.

박 명예회장의 부인 정숙자씨 역시 주식 매도에 동참했다. 한때 에넥스 지분 2.79%를 보유했던 정씨는 2018년 4월부터 주식을 팔기 시작했고, 현재 모든 주식을 청산한 상태다.

위협 사라지자 연이은 매각
증여 직후 되판 손자들

지난해에는 박 명예회장의 삼남인 박진우 엔텍 대표가 본인 소유의 40만주(0.67%) 전부를 장내매도했다. 이어 박 회장의 동생인 박미영씨가 지난해 11월부터 한달 사이 73만주를 매도하면서 지분율이 1.40%에서 0.17%로 낮아졌다.

올해 역시 비슷한 기조가 이어졌다. 박 회장의 아들인 성은씨와 경태씨는 지난달 9일  20만주씩 총 40만주를 매도했다. 두 사람은 1주당 각각 2421원, 2400원에 팔았고, 매각 금액은 각각 4억8420만원, 4억8000만원이다. 이로 인해 두 사람의 보유 주식은 나란히 100만주에서 80만주로 줄었고, 지분율은 기존 1.67%에서 1.34%로 낮아졌다. 
 

▲ ⓒ에넥스

두 사람의 에넥스 주식 보유는 박 명예회장의 증여에 따른 것이다. 박 명예회장은 지난 1월21일 두 사람에게 에넥스 주식을 100만주씩 나눠줬다.


연이은 에넥스 오너 일가의 주식 처분은 증여·상속세 납부 차원으로 해석된다. 다만 처분 목적과 별개로 몇몇은 주식 매각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성공했다.

2018년 4월 주식을 대량 매각한 정씨는 에넥스 주가가 최고점에 근접한 상태에서 쏠쏠한 이익을 챙겼다. 2017년 10월 한때 880원까지 떨어졌던 이 회사 주가는 정씨가 주식 매각에 나서기 전날 유가증권시장에서 1660원으로 장을 마친 상태였다.

손해를 최소화한 경우도 눈에 띈다. 성은씨와 경태씨가 주식 매각에 나서기 직전일 종가 기준 2355원이던 에넥스의 주가는 약 보름 후인 지난달 24일 1995원에 장을 마쳤다. 주가 하락은 부진한 실적의 영향이었다. 

미리 알았나

이날 에넥스는 지난해 영업손실 85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이는 전년(영업손실 28억원) 대비 적자폭이 200.8% 증가한 수치다. 순손실 역시 2019년 38억원에서 지난해 89억원으로 136.2% 증가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