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국내에서 SF 장르는 꿈에 가까웠다. 할리우드 영화 <아바타>나 <그래비티> <스타워즈>와 같이 상상력을 동원해 만든 공간이 ‘그토록 정교할 수 있을지’는 어쩌면 꿈에 가까웠다. <신과 함께>를 제외하면 CG를 활용한 국내에서 제작된 영화에서 눈엣가시 같은 장면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내서도 할리우드 못지않은 기술력의 작품이 나왔다.
넷플릭스 신작 <승리호>가 SF 장르에 목마른 국내 관객들의 꿈을 실현했다.
당초 <승리호>는 지난해 개봉을 염두에 뒀다. 2019년 7월 크랭크인한 이 작품은 지난해 여름 개봉을 계획했다가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자, 추석으로 개봉일을 연기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호전되지 않자 무작정 개봉일을 미뤘으며, 겨울 대목도 포기했다. 이후 신년으로 바통을 넘겼고, 끝내 넷플릭스와 손을 잡았다.
영화가 개봉을 미룬다는 건 이미지상 좋지 않다. 묻혀둔 영화라는 개념의 ‘창고 영화’처럼 불명예가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개봉일이 늦어진다는 건 해당 영화에 대한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막판으로 몰리던 <승리호>가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는 건 불가피한 결정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면서 영화 관계자들의 입방아에 올랐다. 250억원의 제작비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것. 이는 작품의 수준이 떨어진다는 공식으로 흘러갔다. <승리호>가 예상보다 재밌지 않은 영화라는 예견이 돌았다.
이는 영화계의 기우에 불과했다. 5일 공개된 <승리호>는 그 어떤 영화보다 높은 퀄리티를 자랑한다. 할리우드에서 손꼽을만한 SF 장르물과 비교해 절대 뒤처지지 않는다. 마치 우주공간에 있는 느낌이며, 초반부 우주 쓰레기를 처리하는 승리호의 시퀀스에서는 강렬한 쾌감을 선사한다. 후반부 정체 모를 집단과의 우주선 체이싱 장면도 강한 흡인력을 갖는다. 흠잡을 곳 없는 CG다.
기술이 대거 투입된 작품의 경우 스토리가 빈약한 경우가 많았다.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사실 스토리를 포기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신과 함께>도 괄목할만한 CG에 비해 내용이 부실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승리호>는 다르다.
<타짜> <도둑들>을 연출한 최동훈 감독의 작품처럼 대사가 빠르게 오고 가는 흐름을 보이며, 죽어가는 지구 대신 인간들이 살 수 있는 공간으로 우주에 새로 설계된 UTS는 매우 그럴 듯하게 보이며, 그 안에서 보이는 인간의 탐욕을 통해 진한 메시지를 남긴다. 디스토피아 세계관을 띠는 가운데 종말을 극복하는 방법을 새로운 생명으로 설정한 부분도 신선하다.
<늑대소년>과 <탐정 홍길동>을 통해 판타지 장르에서 재능을 발휘한 조성희 감독의 혼신이 이 영화에 담긴 듯하다. 이전 작품에서 보인 조 감독 특유의 동화적인 순수성이 <승리호>에서도 엿보인다. 작품 자체가 가진 색감이 긍정적이고 활기차다.
대부분의 SF물이 그렇듯 권선징악의 형태를 띠지만, 클리셰 형태로 흘러가지 않는다. 특히 히어로 영화나 각종 SF 장르물에서 영웅화됐던 백인이 악역이라는 점도 주목할만한 포인트다.
악역을 맡은 설리번(리차드 아미티지)은 천편일률적인 악이 아니다. 경제적인 능력에 따라 인간을 차별한다는 게 그의 못된 면모다. 자신의 탐욕을 합리화하기 위해 타인의 욕심을 조롱하는 악한 면모를 보여주는 한편, 보기에 따라서 혁신적인 기술로 죽어가는 지구의 사람들을 구해낸 세계적 영웅 혹은 구원자에 가깝다.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배우인 리차드 아미티지가 꽤 입체적인 악역을 구현했다. 이런 백인을 상대하는 동양인이라는 구도는 <승리호>만의 매력이다.
배우들의 연기력도 상당하다. 태호 역의 송중기가 중심을 잡고 현실성을 불어넣으면서, 카리스마를 가진 장 선장 역의 김태리, 겉은 거칠지만 속은 부드럽고 촉촉한 타이거 박 역의 진선규, 여자의 성 정체성을 가진 해골과 같은 로봇의 업동이를 맡은 유해진이 재기발랄한 연기력으로 영화적 재미를 선사한다.
이미 다수의 작품으로 신뢰감을 쌓은 네 배우는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김태리와 진선규, 유해진이 특히 돋보이는데, 여기에는 중심을 잘 잡은 송중기의 공이 크다. 비록 작은 분량이지만 신스틸러로 등장하는 김무열마저도 강렬한 임팩트를 남긴다.
<탐정 홍길동>에서 아역 캐스팅에 놀라운 재주를 선보인 조 감독은 이번에도 자신의 장기를 발휘한다.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이 영화의 분위기를 환기하는 건 아역의 몫이다. 보기만 해도 귀엽고 사랑스러운 아역을 세팅해 영화의 긴장감을 줬다 풀었다를 반복한다.
남녀노소 누가 봐도 즐겁고 흥미로운 작품이다. 볼거리도 상당하며 영화적 상상력이 풍부하게 삽입됐다. 전반적으로 명랑한 분위기가 유지되며, 딱히 반전이랄 것도 없는데도 이야기만으로 뚝심 있게 밀어붙인다.
한국서도 이런 영화가 나올 수 있나 싶을 정도로 <승리호>의 결과물은 유의미하다. 지난해 <기생충>을 비롯해 <미나리>가 예술적인 면으로 전 세계적인 씨네필의 사랑을 받는 가운데 <승리호>는 대중성을 띤 작품 면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을만하다.
코로나19가 아니었다면 1000만 관객 동원은 물론, <명량> <극한직업>에 버금가는 새 역사를 썼을 작품이다. 대중성 측면에서는 확실한 강점이 있다. 걸출한 결과물만큼 보상을 받지 못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조금 아쉬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