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지성은 자기객관화로부터 출발한다. 나를 나와 관련이 없는 누군가가 바라보듯 매우 냉정하고 정확하게 바라보는 것을 자기객관화라고 한다. 내가 무엇을 잘하고 못하고,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무엇에 강하고 무엇에 취약한지를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다.
자기객관화가 잘 된 인물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장점은 넓히고 단점은 좁힌다. 타인에게 인정받을 가능성이 크고, 나아가서는 타인의 시선에 조금도 흔들리지 않는다. 독립적인 인간으로서 제 기능을 발휘한다. 이런 사람은 대체로 외형이 특별하지 않아도 멋있고 섹시하다. 선순환이 반복된다.
반대로 자기객관화가 안 된다면 타인의 시선에 집착한다. 휘몰아치는 감정에 매몰되고 시야가 좁아진다.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못하며, 주위의 환경은 고려하지 않은 채 어린아이처럼 떼만 쓴다. 문제를 찾아내지 못하니 고칠 수도 없다.
타인의 인정은커녕 모두 떠나버릴 공산이 크다. 아무리 휘황찬란하게 꾸며놔도 매력이 없다. 악순환이 반복된다.
넷플릭스 신작 <차인표> 속 주인공 차인표(차인표 분)는 아쉽게도 후자다. MBC <사랑은 그대 품안에> 시절에 머물러 있다. 아직도 자신이 손가락만 흔들면 사람들이 엄청 좋아하는 줄 안다.
<힐링캠프>로 봉사를 하는 인물로 알려졌지만, 연기로서 특출난 결과물이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전 세계에서 인정받은 작품의 주인공이었던 최민식, 송강호, 이병헌, 설경구와 동급으로 생각한다. 그들과 어울릴만한 결과물이 없음에도, 충분히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인물로 여긴다. 부끄러움도 없다.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생각에 빠져있는 그에게 누군가 “그건 사실이 아니”라고 직언하면 “나는 진정성이 있고 너는 진정성이 없어서 그런 말을 한 것”이라며 타인을 뭉갠다. 정작 진정성이 없는 인물은 극중 차인표다.
그런 차인표가 무너진 건물 더미에 갇힌다. 여고 샤워실에서 샤워하다 갇힌 것이다. 벌거벗은 상태로 갇혔다. 신사적인 이미지를 위해 24년 동안 베드신도 안 찍은 그의 몸을 대중에 보여주게 생겼다. 이미지에 집착하는 차인표에게는 극한의 충격이다.
매니저(조달환 분)를 부른다. 경찰이나 소방관은 부르면 안 된다. 오롯이 매니저와 단둘이 나갈 생각만 한다. 아무도 모르게 조심히 빠져나가기 위해 극한의 상황을 견딘다. 하지만 무거운 건물 더미를 매니저 홀로 힘으로 꺼내기란 불가능하다. 불가능한 일인데 진정성이 없는 것으로 치부한다. 매니저는 미칠 노릇이다.
차인표는 벗은 몸으로 나올 생각이 없다. 목이 마르고 배가 고프고, 외롭고 힘든 것보다 벗은 몸을 타인에게 보여주는 것이 더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그 집착이 더 큰 화를 부른다. 경찰과 소방관은 물론 동네 주민, 취재진까지 온다. 그의 알몸은 온 천하에 까발려진다. 심지어 변태로도 몰린다. 최악의 장면과 함께 영화는 막을 내린다.
극중 차인표가 자기객관화가 안 된 인물이지만, 실제 차인표는 매우 명확하게 자신을 바라본다. 연기하고 싶어도 시나리오가 들어오지 않은 4년을 되돌아보며, 건물 더미에 갇힌 차인표나 현실의 차인표나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한다. 100분가량 차인표를 희화화하는 데 스스로 몸을 던진다. 그 결정이 매력적이다.
‘아니 어찌 저럴 수 있는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처절하게 자신을 무너뜨린다. 용감하다. 차인표의 인생을 나눠볼 때 <차인표> 출연 전‧후는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 같다. 신선하면서도 강렬하다.
<차인표>의 장르는 페이크 다큐멘터리다. 사실과 픽션이 혼재하는 장르다. 일명 ‘후까시’로만 점철된 룰라 리더 시절부터 사업 후 법적인 문제에 휘말린 최악의 이미지였던 이상민이 온갖 조롱을 전면에 나서서 받은 M.net <음악의 신>과 일맥상통한다. 이상민은 <음악의 신> 시리즈 이후 방송가에 블루칩으로 부활했다.
그 당시 이상민처럼 차인표도 첫발을 뗀 셈이다. <4대 천왕>에 출연할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손가락을 흔드는 등 자기도취에 흠뻑 취해있는 차인표, 이미지를 위해 베드신을 하지 않았다는 말을 서슴없이 내뱉는 차인표, 마지막 순간에도 중요 부위를 찾기 위해 여자 팬티를 집어 입는 차인표를 스스로 연기한다.
작품을 위해 자신을 완전히 내려놓은 차인표의 태도만큼은 진정성이 확실하다.
다만 영화적 콘텐츠로 <차인표>가 훌륭하냐는 데는 동의하기 어렵다. 가장 아쉬운 건 극중 차인표가 너무 건물더미에 갇혀있다는 거다. 답답함을 최고조로 일으키기 위한 장치였겠지만, 너무 오랫동안 한 공간에 머물러 있다 보니 지루함이 느껴진다.
이미지에 갇힌 차인표를 다른 식으로 보여줄 방법은 없었을까라는 아쉬움이 돈다. 성장하는 차인표를 보여주려는 메시지에 매몰돼 관객의 니즈를 읽지 못한 느낌이다. 건물 더미에 갇히기 전까지 이야기를 흥미롭게 끌고 가는 점이 오히려 아쉬움을 높인다.
그럼에도 <차인표>는 단순한 영화가 아니다.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홀연히 뚫고 가는 모험이자 도전이다. 한국 영화계에 <차인표>란 이름으로 낯선 무언가를 던졌다.
기발한 각본을 만들고 주위의 의심에도 뚝심을 갖고 밀어붙인 김동규 감독이나, 자신을 희화화하는데 온 몸을 내던진 차인표는 미지의 땅을 개척한 개척자나 다름없다. 이들의 모험이 앞으로 지속되길 바라는 마음이 동한다.
지금도 어딘가에선 극중 차인표처럼 자신을 바라보지 못하는 이가 있다. 누군가의 시선에 흔들리고, 중심을 잡지 못하는 이도 있을 테다. 타인의 칭찬과 비난에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자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좋아하고 싫어하는지도 몰라 어디로 가야할지 갈피를 못 잡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혹시 그런 마음이 있다면 이 영화를 보자. 그리고 현실의 차인표처럼 벌거벗은 자신을 바라보자. 비록 사람들 앞에서 벌거벗은 몸을 보여주듯 견디기 힘든 창피함을 느끼겠지만, 결과적으로 성숙한 자신을 만날 수도 있다. 앞으로 승리를 맛볼 현실의 차인표처럼 말이다.
함상범 기자 intellybeast@ilyosisa.co.kr